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인
자신
자기
자아
내
d라이브러리
"
나
"(으)로 총 8,153건 검색되었습니다.
곤충계 싸움의 기술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흘러
나
오는 달착지근한 수액을 먹고살기 때문이다.
나
무 수액은 발효되면 향긋한 향이
나
사슴벌레뿐 아니라 다양한 곤충이 먹으려고 모여든다. 이때 사슴벌레는 큰턱으로 다른 종들을 위협해 자기 영역을 지킨다. 편집자주 을파소에서 출간한 '생생 클로즈업! 동물체험관'에 실린 동물들을 매달 ... ...
500원이 50원처럼 작아졌어요! 동전축소 저금통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작가가 책마다 일일이 친필 사인과 캐릭터 일러스트를 그렸다. 세상에 단 하
나
뿐인
나
만의 책을 얻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 권당 선착순 45명에게 특별한 책을 드린다. 또 초판본에는 귀여운 캐릭터 인형을 만들 수 있는 ‘페이퍼토이’가 부록으로 들어 있다. 2. ‘딱과’에 교사용 지도서와 학생용 ... ...
한겨울 추위 이기게 하는 입 큰 생선 대구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갈아서 죽의 재료로 이용하거
나
푹 고아 깊은 맛을 내기도 한다. 간은 그대로 익혀 먹거
나
기름(간유)을 뽑아 의학용으로 쓰는데, 대구의 간유에는 비타민 A와 D가 많이 들어 있다. 대구 껍질을 이용한 요리도 다양하다. 최초의 한글 요리서 ‘음식디미방’에는 대구 껍질누르미, 대구 껍질채, 대구 ... ...
특명! 사라진 생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다양한 온대 식물과
나
무들이 살고 있다. 또 국내 조류의 75% 이상인 337종의 철새들이 지
나
가는 곳으로서 그 가치가 높다. 특히 섬마다 발달한 넓은 갯벌과 천일염을 생산하는 염전은 염생식물의 다양성 보존으로도 의미가 크다 ... ...
얼음요정이 사는 세계로 고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우아~, 밤 사이 내린 눈이 또 다 얼어붙었어! 미끄러워~! 정말 얼음은 쓸모 없다니까! 거기 너, 얼음의 진가를 모르는구
나
.
나
얼음 요정이 가르쳐 주지.응? 네가 요정이라고? 잠깐만! ... 수 있구
나
.
나
도 집 앞에 언 얼음을 모아서 조각상을 만들어 봐야겠어. 앗! 얼음 요정,
나
랑 같이 ...
미래형 산타클로스 썰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주머니가 실려 있거든요. 그러니 처음부터 애써 선물을 싣고 갈 필요가 없어요. 굴뚝에서
나
오는 탄소를 이용해 그 집에서 선물을 만들 수도 있답니다. 어때요? 이만하면 미래형 산타클로스 썰매답죠? 아직은 상상이지만, 미래에는 가능할 거예요. ‘어 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이 실제로 만들어 ... ...
뫼비우스 띠, 위상수학 돋보기로 다시 보자!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같은 도형으로 분류한다. 일반적으로 평면도형은 이 식의 값이 1이다. 고무공을 늘이거
나
줄여서 만들 수 있는 모든 입체도형의 이 값은 2다.닫힌 곡선 원과 연결 상태가 같은 곡선이 닫힌 곡선이다. 실로원 모양의 띠를 만들고 실의 양끝을 떼지 않고 이리저리 옮겨 보자. 다른 모양이 만들어지지만 ... ...
새 교과서의 첫 번째 성격! 대화가 필요해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이렇게 달라졌다 새 교과서의 첫 번째 성격! 대화가 필요해 새 교과서의 두 번째 성격!
나
는 ○○○○! 새 교과서의 세 번째 성격! 문제 해결의 힘 정순영 교수님이 밝히는 2010년 수학 공부 방법! 얼음 위에 새기는 스포츠 수학 겨울스포츠의 꽃 얼음 위의 날쌘돌이 곡선 위의 ... ...
정순영 교수님이 밝히는 2010년 수학 공부 방법!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이렇게 달라졌다 새 교과서의 첫 번째 성격! 대화가 필요해 새 교과서의 두 번째 성격!
나
는 ○○○○! 새 교과서의 세 번째 성격! 문제 해결의 힘 정순영 교수님이 밝히는 2010년 수학 공부 방법! 얼음 위에 새기는 스포츠 수학 겨울스포츠의 꽃 얼음 위의 날쌘돌이 곡선 위의 ... ...
2. 순간의 대변신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얼마
나
고르냐는 자장면 요리사의 실력에 달려 있다. 하지만 굵기가 고르지 못한 면이
나
와도 큰 문제는 아니다. 최근 손으로 면을 뽑아 낸다고 하면서도 기계로 만든 면을 쓰는 곳이 있기 때문에 굵기가 다른 면이 섞여 있으면 손으로 뽑았다는 증거가 된다 ... ...
이전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5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