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간"(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유로파를 향해 떠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대신 쓸 강력한 원자력 로켓 엔진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원자력 로켓 엔진을 쓰면 도착 시간을 극적으로 줄일 수 있다. 기존의 로켓을 이용하면 2년이 걸릴 거리를, 새 로켓으로는 6개월 만에 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효율의 원자력 전지를 이용해 1MW의 전력을 생산하는 기술도 연구했다. 이 전지는 ... ...
- [교과연계수업] 과학으로 예방하는 화재, 우리 집을 지키자!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골든타임 연장한다! 사고나 사건이 났을 때 사람 생명을 구조할 수 있는 초반의 중요한 시간을 ‘골든타임’이라고 해요. 화재 골든타임은 ‘플래시 오버’가 결정하지요. 플래시 오버는 화재 초기에 생긴 가스처럼 불이 잘 붙는 물질에 한꺼번에 폭발적으로 불이 붙는 현상을 말해요. 플래시 ... ...
- [과학뉴스] ‘아리랑 3A호’ 26일 러시아에서 발사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최초로 적외선 관측이 가능한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3A호’가 우리 시간으로 3월 26일 오전 7시 8분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서 드네르프 로켓에 실려 발사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아리랑 3A호의 발사 준비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11일 밝혔다.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2006년부터 8년간 개발한 ... ...
- [Life & Tech] 페이스북 ‘과고드립’ 운영자 인터뷰 “너드요? 저는 개성이라고 생각해요”과학동아 l2015년 04호
- ” (이석형 씨)과고드립은 2012년 처음 생겼다. 당시 대전과학고 2학년이던 이 씨가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을 가지고 친구들과 웃고 즐기다 ‘아예 페이스북 그룹을 만들어 공유해보자’는 생각을 한 게 출발이었다. 처음에는 같은 고등학교 친구들끼리 소소하게 놀았는데, 우연히 ... ...
- [Knowledge] ‘휘어진 시공간’은 어떻게 증명한 걸까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일반상대성이론에서 가장 흔히 등장하는 개념 중 하나가 휘어진 시공간인 까닭은 바로 시간과 공간에서 평행선의 공리가 성립하지 않기 때문이다.이제 드디어 일반상대성이론의 탄생이 눈앞에 다가 오고 있었다. 과연 리만 기하학을 사용하면 등가원리를 잘 확립된 이론으로 끌어올릴 수 있을까? ... ...
- 삶은 달걀을 날달걀로 돌릴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달걀은 단백질이 많이 들어 있는 식품이에요. 달걀을 삶으면 단단하게 굳는 이유는 단백질 때문이에요. 달걀이 열을 받으면 내부 단백질 물리적인 구조가 변하 ... 그러나 달걀 1개를 바꾸는 데 4일이 넘게 걸렸지요. 이번 연구로 단백질 형태를 바꾸는 시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든 셈이에요 ... ...
- 양띠 독자가 나섰다! 양의 비밀을 밝혀낼 거양!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섬유로 가장 사랑받고 있어요. 한국의류시험연구원에서 실험한 결과, 털을 데우고 한 시간이 지났을 때 83% 이상 온도가 유지됐답니다. 그 비결은 표면에 빽빽하게 늘어선 작고 예리한 비늘이에요. 털이 서로 얽히기 쉽기 때문에 안쪽에 많은 공기를 품을 수 있거든요. 이런 특성을 살려 양털을 그대로 ... ...
- [지식] 네 번째 요리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로그와 햄버거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로그 덕분에 천문학자의 수명이 2배는 늘었다”고 표현할 만큼, 로그는 계산에 걸리던 시간을 ‘천문학적’으로 줄여 줬습니다. 계산기가 등장하기 전까지, 로그는 가장 완벽한 ‘계산기’였습니다.로그는 단위를 정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소리의 크기인 데시벨(dB), 산성도(pH), 지진의 ... ...
- [생활] 미디어아트팀, 태싯그룹 새로운 소리를 발견하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씁니다. 사실 되게 힘든 과정이에요. 코딩을 계속 해야 하고, 어떤 때는 하루에 코딩만 10시간씩 해야 될 때도 있고요. 그래도 정말 재밌어요.”머리로 쓰고 가슴으로 느끼는 음악어떤 소리가 소음이 되고, 어떤 소리가 음악이 될까. 그 명확한 기준을 아는 이는 없다. 몇백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많은 ... ...
- 제왕나비는 왜 추운 곳에서 겨울을 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없답니다.제왕나비는 다른 동물들처럼 태양을 보고 이주방향을 잡아요. 하지만 태양은 시간에 따라 위치가 바뀌지요. 그래서 더듬이 안에 있는 ‘체내 시계’를 함께 이용해요. 태양의 위치를 보고, 낮과 밤 같은 하루의 시각을 인지하는 체내시계로 현재의 시각을 파악해 방향을 찾는 것이랍니다. ... ...
이전4934944954964974984995005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