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교수"(으)로 총 5,546건 검색되었습니다.
- 양자역학 문제, 게임으로 푼다2016.05.10
- 0.176초까지 줄일 수 있었다. 이 결과에 대해 연구자들 자신도 놀랐는데 셰르슨 교수는 “양자역학은 우리가 생각했던 것만큼 반직관적이지 않을지도 모른다”며 “게이머들의 전략을 해석한 결과 터널링 효과 등 양자역학의 현상도 설명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논문 말미에서 저자들은 “사람이 ... ...
- 호기심의 두 얼굴: 호기심은 인간을 이롭게 만들까, 아니면 해롭게 만들까? 2016.04.19
- 눈앞에 있는 상자를 열어 봐야 직성이 풀린다는 말이다. 미국 시카고대 크리스토퍼 시 교수는 이런 경향을 ‘판도라 효과(Pandora effect)’라고 부른 뒤 위스콘신대 박사과정 보웬 루안과 함께 다양한 상황을 설정해 사람들의 행동을 관찰했다. 먼저 판도라 효과가 정말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실험으로 ... ...
- 완벽주의자일수록 일을 뒤로 미룬다?!2016.04.05
-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그 결과 교수들의 경우도 완벽주의적인 교수들이 그렇지 않은 교수들에 비해 출간한 논문의 수가 적고 논문의 질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완벽주의가 정신건강에도 또 수행에도 별로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Flett 등의 연구자들은 완벽주의는 ‘불행의 ... ...
- 미지의 뇌 연구: 기억과 의사결정, 시간 지각의 비밀을 찾아서IBS l2016.04.04
- 2013년에는 기억 및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로 한국뇌신경과학회에서 1세대 뇌 과학자 장진 교수를 기념하는 제1회 ‘장진 학술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아직도 갈 길이 멀다고 말하는 정 부연구단장이 생각하는 뇌 분야 연구의 미래는 어떨까. 정 부연구단장은 고위 뇌 기능 연구로 정신 질환의 ... ...
- 만물의 중매쟁이 촉매, 환경 지키는 구원투수로 나선다IBS l2016.03.31
- 모양을 조절해 표면적을 넓히는 방식 등이다. IBS 나노입자 연구단(단장 현택환 서울대 교수) 성영은 그룹리더(서울대 화학생물학부 교수) 연구진은 연료전지의 백금 사용량을 줄이면서 성능을 높이기 위해 합금 촉매에 주목했다. 백금과 전이금속을 원자 단위로 배열해 반응성을 높이는 동시에, ... ...
- 10파운드 지폐 인물이 된 스코틀랜드 신사임당은 누구?2016.03.28
- 상태였고 몇몇 수학자들이 본격적으로 대륙의 수학을 도입하려는 시점이었다. 왈라스 교수도 이런 사람 가운데 하나로 그가 메리 소머빌에게 추천한 책 가운데는 프랑스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피에르 시몽 라플라스의 ‘천체역학’도 있었다. 소머빌은 1831년 이 책의 번역서를 냈는데, “나는 ... ...
- ‘태양의 후예’ 시청주의보? “일리 있지 말입니다”2016.03.27
- identification)’ 현상도 시청주의보의 원인이 된다. 나은영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저서 ‘미디어 심리학’에서 “등장인물이 실제 시청자와 유사성을 지닐 때, 혹은 자기가 더 닮고 싶어 하는 인물에게 동일시 효과가 커진다”고 말했다. 자신이 하고 싶은데 하지 못한 일을 하는 ... ...
- [석기(石器)의 재조명]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것은 정말 ‘도구일까’2016.03.21
- 말이다. 논문에 인용된 참고문헌 30편 가운데 리버만 교수의 논문이 여러 편이고 랭엄 교수의 논문도 여러 편 있지만 두 사람의 공저는 한 편도 안 보였다. 같은 과에 있으면서도 서로 다른 주장을 펼치는 학계의 라이벌이 확실한 것 같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 ...
- 리포솜 화장품, 깊숙이는 커녕 각질도 못 뚫는다2016.03.15
- 도달하기는커녕 표피의 각질층도 통과하지 못한다는 것. 남덴마크대 요나단 브레버 교수팀은 유도방출억제현미경을 써서 피부에 바른 리포솜의 운명을 촬영해 이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유도방출억제현미경은 독일 막스플랑크 생물물리연구소 슈테판 헬 소장이 발명한 장치로 헬 소장에게 2014년 ... ...
- [동영상] 태양이 다시 나오는 순간 빛나는 다이아몬드링을 보세요~동아사이언스 l2016.03.09
- 개기일식에서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는 아마 까만 동그라미(달) 주변에서 환하게 빛나는 태양빛(코로나)일 겁니다. 또, 실처럼 가늘게 보이던 태양이 완전히 사라 ... 왼쪽 사진의 일식 왼쪽에서 불꽃 기둥인 홍염을 선명하게 볼 수 있습니다. - 오준호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제공 ... ...
이전4934944954964974984995005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