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늘을 나는 새를 사냥하는 ‘호랑이물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새를 사냥할 수 있는 비결을 알려주겠니?남아프리카 포체프스트룸에 있는 노스트웨스트대학교 환경과학과의 니코 스미트 박사 연구팀은 제가 정말로 새를 사냥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제가 살고 있는 슈로다 댐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15일 동안 관찰했어요. 그러던 중 제가 물 위를 낮게 나는 새를 ... ...
- [시사] 생생포착! 위기의 야생동물들수학동아 l2014년 04호
- 멸종 위기를 판단하는 수학 공식도 있다. 호주의 애들레이드 대학과 제임스쿡 대학의 학자들은 멸종 위기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종의 능력을 지수화한 세이프(SAFE)지수를 만들었다.이 지수에 따르면, 멸종 위기를 벗어날 수 있는 최소 개체 수는 5,000마리이다. 연구팀은 이보다 개체수가 적다면, ... ...
- 대한민국을 덮친 AI의 정체는? AI 바이러스 수사 파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오리로부터 감염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다. 인 . 터 . 뷰 김재홍(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 AI 역학조사위원회 위원장)만약 우리나라 농가의 오리나 닭에서 AI 바이러스가 처음 생겼다면 오리나 닭의 사체에 항체가 있어야 해요. 하지만 조사 결과 항체는 없었지요. 동림저수지에서 발견한 ... ...
- [교과연계수업] 층간소음 바로 알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자연에서 나는 여러 가지 소리가 합해진 소리이므로 ‘백색소음’이라고 불러요. 숭실대학교 소리공학연구소에서 백색소음을 사람들에게 들려주고 뇌파를 관찰했는데, 집중력과 관련 있는 알파파가 크게 늘어났다는 결과를 얻었답니다. 1. 대상 : 층간소음, 넓게는 소음과 소리에 대해 ... ...
- 캡틴 아메리카, 준결정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이공학부 물리학과, 물질재료연구기구, 도호쿠대학 다원물질과학연구소, 영국 리버풀대학 공동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단일 원소로 이루어진 3차원 준결정 구조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그간 많은 준결정은 2개 이상의 원소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제작됐는데, 많은 원소로 만들수록 결정 구조가 ... ...
- 수학자 출신 억만장자 제임스 사이먼스수학동아 l2014년 04호
- 한치의 망설임도 없이 수학과에 진학했던 것 같아요. 이후 미분기하학을 연구한 이유는 대학교 2학년 때 처음 배웠는데, ‘내가 연구해야 할 분야가 바로 이거다!’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에요. 수학의 그 어떤 분야보다도 재미있었거든요.삶을 되돌아봤을 때 아쉬운 점이 있나요?제가 한 일에 ... ...
- 내 허파에 낀 초미세먼지는 정말 중국산일까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노출되면 영아사망률이 급격하게 올라가기 때문이다. 손지영 미국 예일대 산림환경대학원 박사와 이종태 교수팀은 서울에서 2004~2007년까지 태어난 아기 중 생후 1년 이내 사망한 225명이 태아 상태에서 미세먼지에 얼마나 노출됐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PM2.5 미세먼지에 많이 노출된 상위 25% 엄마들이 ... ...
- “화공과 나오면 뭐 해 먹고 사냐고요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말했지만, 사실 진로가이드를 제작하면서 자료조사에 무척 애를 먹었다. 이공계대학 진학정보와 각 직업군 정보는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었지만 전공과 진로를 하나로 묶는 통합 정보가 없었기 때문. 이 학과를 가면 뭘 배우고, 그걸 가지고 어디에 취직할 수 있는지 한 눈에 볼 수 있는 정보를 찾을 ... ...
- 연구팀에게 보내는 헌사-그들의 강철심장은 빅뱅보다 위대했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존 코백 교수를 처음 만난 건 2002년 칼텍(캘리포니아공대)에서였다. UC데이비스의 대학원생이었던 나는 우주배경복사의 중력파 ‘B-모드’를 검증할 수 있다는 논문을 출판했고, 관측장비 개발을 준비하고 있었던 칼텍에서 자문을 요청해 온 것이다.칼텍 연구실에서는 중력파를 검증하기 위한 회의가 ... ...
- [hot science] 울퉁불퉁 지방으로 만든 가짜 식스팩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나타나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다가, 결국 119 구조대를 불렀다. 구급차를 타고 인근 대학병원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숨진 상태였다. 의사들은 이 사고에 대해서 수술로 인한 호흡곤란 자체보다 응급처치를 제대로 못하는 병원 환경이 문제라고 말한다. 흔히 성형수술을 위한 수면마취를 ... ...
이전4944954964974984995005015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