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4. 총성 없는 우주전쟁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쏴 위성을 공격할 수 있다. 탄도미사일은 한번 지나가면 끝이고 비행 궤도도 사전에
알
수 없지만 위성은 아무리 고도가 높아도 항상 정해진 궤도를 반복해서 돌기 때문에 오히려 요격하기 쉽다.앞으로 개발될 대부분의 소형위성도 잠재적인 ASAT 무기가 될 수 있다. 소형위성에 차세대 첨단 추진 ... ...
내 머릿속의 국어사전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꼭 그렇지 않다.영어권의 같은 증상을 보이는 난독증 환자는 다르게 발음한다. 즉
알
파벳 철자를 하나씩 나눠 말한다고 한다. 책상에 해당하는 단어인 ‘desk’를 발음한다면 ‘d…e…s…k…desk!’라는 식이다. 뇌에 3000여 글자 저장남 교수는 “머릿속의 사전은 왼쪽 뇌에 있고 우리 뇌속의 ... ...
빛의 혼돈이 만든 초소형 레이저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한다. 만약 중간에 누군가 정보를 가로채면 1이란 신호가 0으로 바뀌게 돼 도청 유무를
알
수 있다.아직은 이론을 검증하는 단계에 불과하지만 10월에는 실제로 제작한 100μm 크기의 마이크로디스크에서 초소형 레이저가 어떻게 나오는지 테스트할 예정이다. 실험에 성공하면 정보를 초당 3Gb(기가비트 ... ...
6층 보다 높은 곳에서 떨어져야 안전하다?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물리량을 구할때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차원이 없는 계수에 대한 정보는 전혀
알
수 없다는 흠이 있다. 이 계수는 실제로 물리적인 운동방정식을 풀어야 구할 수 있다. 차원분석을 하고나니 머리는 복잡해졌겠지만 마음은 편해졌을 것이다 ... ...
가장
알
수 없는 존재, 인간을 분석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경험을 통해 자신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풍부한 사진자료,
알
기 쉬운 지도, 표, 일러스트는 이해를 도와주며 책을 한층 돋보이게 한다. 번역이 깔끔해 막힘없이 읽을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 ...
할로윈 데이는 크리스마스다?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하자. 이 사람에게 500+500이 얼마냐고 물으면 답을 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10진법을
알
고 있는 사람이라면 5+5=10이라는 계산으로부터 500+500=1000이라는 결과를 금방 유추할 수 있다.이처럼 0의 발명은 수의 이름에서 표기법을 해방시킨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아무리 큰 수의 연산도 얼마든지 ... ...
무기자 메디컬 취재노트 엿보기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내부에 있는 유리체, 망막, 맥락막 등에 이상이 있는지를 관찰하면 이런 질병에 걸렸는지
알
수 있다. 이렇게 동공을 통해 눈의 내부구조를 관찰하는 검사를‘안저검사’라고 한다. 동공을 확대시키는 약을 넣고 직접 관찰하는 직상검안경법을 주로 사용하지만, 건강검진을 할 때는 보통 사진으로 ... ...
통신대란 예측하는 법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인한 통신대란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현재 우리의 통신 인프라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
알
려져 있고 그 개발 속도 또한 세계 최고 수준이다. 그러나 거듭되는 기술 진보에는 예기치 못한 사고가 동반되기 마련이다. 갑작스런 사고에 잘 대처할 수 있는 위험관리가 중요한 이유다 ... ...
자연이 펼치는 유혹의 기술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연구팀은 수컷 긴수염고래가 암컷에게 사랑을 고백하기 위해 노래를 부른다는 사실을
알
아 냈어요. 연구팀은 멕시코 연안과 캘리포니아 만을 길이 120m의 줄을 매단 배를 타고 훑어갔어요. 줄에는 작은 소리까지 잡아 낼 수 있는 16개의 수중용 마이크로폰을 설치해 두었지요. 그 결과 수컷 ... ...
다시 열린 철의 실크로드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아직도 논란이 끊이지 않는 우리의 경부고속철도 천성산 터널 구간을 돌아보면
알
수 있다. 미래 철도 기술의 핵심 키워드는 ‘자연친화’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과학 타고 지구 한 바퀴 현대 문명을 낳은 철도 1. 세계로 가는 철도 다시 열린 철의 실크로드 2. 모양은 같아도 기술은 ... ...
이전
494
495
496
497
498
499
500
501
5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