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순간 포착! 아기별의 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태어나고 죽는 별을 통해 우주의 진화 과정을 알 수 있기 때문이죠. 그 과정에서
우리
는 아름다운 별들의 모습을 볼 수 있어요.우주를 화려하게 수놓는 별들의 일생을 생생한 사진으로 감상해 볼까요 ... ...
PART 2 학문을 품은 브릭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분야에서 전문가의 연구를 돕는다. 팔방미인 브릭의 매력은 어디까지일까? 분명 브릭은
우리
주변에서 단순한 장난감 그 이상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게 확실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팔방미인 수학자 브릭PART 1 기하학을 품은 브릭PART 2 학문을 품은 ... ...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들어 보자.
우리
집 근처에서 짝을 애타게 찾고 있는 매미는 과연 누굴까? ※ 편집자 주_
우리
나라에서 살고 있는 다양한 매미 사진을 감상하고 싶다면 김선주 선생님이 운영하는 블로그(blog.naver.com/rlatjswn875)에 가 보세요. 각 매미의 울음소리는 윤기상 박사님의 블로그(blog.naver.com/cicadasou ...
[생활] 공간을 꿰뚫어 보는 눈, 공간지도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대원을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게 중요하다. 문제는 어디에 얼마나 필요한지다. 하지만
우리
눈으로는 이런 공간정보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 수많은 경우의 수를 일일이 비교할 수도 없다.이때 소프트웨어(SW)로 ‘공간지도’를 만들면 정확하고 빠르게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 공간지도는 땅의 ... ...
[생활] 수학으로 사랑을 이해할 수 있을까? 네이든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참가하기 위해 집으로 돌아온다.[이진수★ 이진법을 써서 표현한 수.
우리
가 주로 쓰는 십진법과 달리 이진법은 왼쪽 자리로 갈수록 자리가 나타내는 값이 2배가 된다. 첫째 자리는 1(=20), 둘째 자리는 2(=21), 셋째 자리는 4(=22)의 자리다. 예를 들어 5는 1×22+0×21+1×20이므로 이진수로 나타내면 101(2)이 ... ...
[참여] 게임카페 1기, 첫 번째 수업 상상력과 논리의 멋진 조화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조금만 더요~!”라고 외치는 소리에 예정 시각을 넘긴 뒤에야 끝이 났답니다.자랑스런
우리
의 게임마지막으로는 부모님들까지 모신 채로 각자 만든 게임을 발표했어요. 조별로 판넬을 들고 앞으로 나와 마이크를 돌려가면서 한 명도 빠지지 않고 모두 발표했어요. 학교에 지각하지 않도록 ... ...
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경우 그 자식도 메틸화 패턴이 바뀌어 스트레스나 우울증 등에 취약해진다.이처럼
우리
의 경험과 마음가짐은 모두 DNA에 기록돼 사용법을 바꾼다. 세대를 넘어 자식에게 유전되기도 한다. 어떻게 보면 인간이 DNA를 스스로 조정할 수 있는 자유의지를 가진 셈이다. DNA로부터 탈출한 당신에게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아무도 모른다는 것이다. 어쩌면 몸에 해가 되는 행동을 해도 별 문제가 없을 수도 있다.
우리
가 아는 것은 내가 나쁜 행동을 한 게 유전자에 기록되고 그것이 전달될지 모른다는 가능성뿐이다.최 : 좋은 연구인데 한편으로는 스트레스를 받을 것 같다. 항상 조심해야 되는 것 아닌가.노 : 너무 신경 ... ...
'기쁨'과 '슬픔'은 정말 뇌 안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있다. 정 교수는 “영화 속 설정은 감성 시스템에만 좌우되는 감정적인 인간으로
우리
를 묘사하고 있다”고 말했다.감정이 모든 의사결정을 하진 않지만, 그래도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건 사실이다. 세계적인 심리학자 폴 에크만은 뉴욕타임스에 기고한 글에서 “감정은 현재 상황에서 내가 ... ...
너도 금사빠?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다섯 번째, 북반구에서는 시리우스, 아르크투르스에 이어 세 번째로 밝습니다. 특히
우리
나라가 있는 중위도 지역 바로 위를 지나기 때문에 도심의 빌딩들 사이에서도 휘황찬란하게 빛나지요. 지구의 세차운동으로 약 1만2000년 뒤에는 지금의 북극성 자리를 차지하게 될 별이기도 합니다. “그 옆에 ... ...
이전
494
495
496
497
498
499
500
501
5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