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d라이브러리
"
직접
"(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초의 수학자와 과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확실히 모른다. 탈레스보다 나중에 살았던 사람들이 남긴 기록만 있을 뿐, 탈레스가
직접
쓴 책이 하나도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탈레스를 최초의 수학자이자 과학자로 인정하고 있다.기록에 따르면 수학자로서의 탈레스는 몇 가지의 기하학 정리를 증명했다. 이렇게 어떤 ... ...
의뢰 3 마술의 비밀을 밝혀 주세요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닥터 피노키오 씨의 생일을 알아맞혀 보겠습니다.” ✚생일마술수학동아 친구들도
직접
계산해 보세요. 앞단계의 결과 값에 연산을 하면 됩니다.➊ 태어난 연도 뒤 두 자리 숫자에 18을 더하세요.➋ 25를 곱하세요.➌ 333을 빼세요.➍ 8을 곱하세요.➎ 554를 빼세요.➏ 2로 나누세요.➐ 태어난 달을 ... ...
화석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뼈나 미화석, 삼엽충 등과 함께 몸통 화석의 일종이에요. 몸통 화석은 그 생물에 대한
직접
적인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생물에 대해 많은 것을 알 수 있게 해 줘요.최근에는 유인원이나 동물의 머리뼈 화석을 통해 뇌 구조를 연구하기도 해요. 머리뼈 안에는 뇌의 무늬가 남아 있기 때문에 뇌의 어느 ... ...
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②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의해 사실로 밝혀지는 경우는 많다. 이제 수학은 자연 현상을 정리하는 것뿐만 아니라
직접
확인하기 어려운 현상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도구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영원한 찰떡궁합 수학과 과학 최초의 수학자와 과학자는 누구? 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①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 ...
진짜기자 명예기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봐요. 이젠 가만히 보고만 있을 순 없었어요. 체면이고 뭐고 나도 멋진 명예기자들을
직접
만나야겠어요! 종이비행기가 훨훨~, 명예기자도 훨훨~!그런데 이게 웬일이죠? 내가 온 줄 어떻게 알았는지 명예기자들이 날 부르는 거예요. 친구들과 함께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종이비행기를 만들며 놀기로 ... ...
지진도 폭풍처럼 몰아친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수밖에 없다. 이것이 지진이다.하지만 아이티와 칠레의 경우는 위치와 규모로 볼 때
직접
적인 영향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게 대다수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이들은 “아이티 지진은 유래 없는 사상자를 낸 큰 지진은 맞지만 칠레까지 도달할 정도로 규모가 크지 않고, 규모 7.0의 지진(아이티)이 ... ...
전자의 또 다른 얼굴 ‘스핀’으로 정보 쌓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바뀌지 않는다. V램에 저장한 정보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는 이유다.또 V램은 전자가
직접
이동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물질의 자화 상태만 변하기 때문에 기록과 수정을 수없이 반복할 수 있어 메모리 수명이 길다는 장점도 있다.김 교수는 “그동안은 전하를 모아서 정보를 저장했지만 가까운 ... ...
창의적인 발명가 되는 비결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전하고 평가받기 위해서라도 발명 노트는 꼭 필요하다.발명노트가 완성됐다면 발명품을
직접
만들어볼 수 있고, 각종 발명 대회에 출품을 할 수도 있다. 또 특허 출원을 내서 나만의 창의적인 발명을 재산으로 보호받을 수도 있다. 다음 회에서는 발명을 특허로 보호하는 방법과 발명을 활용할 수 ... ...
거대동물 출현 잦아진 속사정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거대동물의 출현이 항상 반가운 소식만은 아니다.‘무서운 괴물’을 넘어사람의 생활을
직접
적으로 방해하는 존재가 되기도 한다.최근 한국과 일본 연안 에서는 원래살지 않던 해파리의 개체수가 늘어나면서 골치를 썩고 있다. 바로 노무라입깃해파리(Nemopilema nomurai)와 유령해파리(Cyanea nozakii)다. ... ...
지금은 사라진 그때 그 동물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설명했다. 곤충은 다리에 퍼져 있는 호흡기관에 공기를 꽉 채운 다음, 세포로
직접
확산시키는 방법으로 숨을 쉰다. 산소의 비중이 적어진 지금 대기에서는 호흡하기가 비교적 어렵기 때문에, 곤충이 성장하는 데 일정한 한계가 있다는 얘기다. 결국 대기 구성 성분이 달라지면서 메가네우라는 ... ...
이전
494
495
496
497
498
499
500
501
5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