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척
진전
전진
과정
진출
진보
순서
d라이브러리
"
진행
"(으)로 총 8,613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좌뇌와 우뇌를 잇는 다리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박사는 좌뇌와 우뇌를 연결하는 뇌량이 절단된 여자 환자를 대상으로 다음 실험을
진행
했다. 먼저 환자의 눈앞에 스크린을 준비하고, 영사 장치를 통해 환자의 오른편 화면에 칼을 보여주었다. 질문 1: 무엇을 보았습니까? 반응 1: 칼이요. 화면 가운데 점을 보여주고 응시하게 한 후 이번에는 왼쪽 ... ...
The Next Sudoku?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 오프라 윈프리의 파워가 책에 있다면 윌 쇼츠의 파워는 퍼즐에 있다. 유명한 토크쇼
진행
자인 오프라는 양서라고 판단되는 책을 대중들에게 정기적으로 소개하는데 이 책들은 곧 베스트셀러가 된다. 같은 방식으로 뉴욕타임스 크로스워드퍼즐 편집자인 윌 쇼츠의 추천은 황금과도 같은 가치를 ... ...
올림피아드 어떻게 바뀌나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해당 학년을 대상으로 뽑는다. 생물올림피아드는 중등부 시험을 폐지하고 고등부만
진행
할 예정이고, 지구과학올림피아드는 중등부를 폐지할지 논의 중이다.▶중등과학올림피아드 중학생만을 대상으로 하는 중등과학올림피아드는 당장 올해부터 교과부의 개편방향에 맞는 새로운 전형을 ... ...
자연 속의 역제곱법칙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8분이나 걸릴 정도로 멀리 떨어져 있다. 따라서 지구에 도달한 태양광선은 거의 평행하게
진행
하고, 에너지는 태양이 방출한 에너지의 극히 일부분만 지구에 입사한다. 대기와 구름의 영향을 무시하면 지구 위 어느 지점의 해수면에 단위시간, 단위면적당 입사하는 태양에너지는 태양의 고도에 의해 ... ...
21세기 지구촌 리더 키우는 탑스라운드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기 위해 기획된 커뮤니케이션 클리닉은 일 년에 두 번
진행
되며 학생들은 글쓰기뿐 아니라 효과적으로 말하는 법, 인터뷰하는 법과 동영상 제작법을 배운다. 결과물이 완성되면 학생들은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수정한 뒤 캠프에서 발표하는 시간도 갖는다. 탑스라운드 ... ...
슬픔보다 더 슬픈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매우 낮다. 영화 속 K가 항암제 치료를 받지 않은 이유도 진단 때 이미 암이 많이
진행
된 4기였기 때문이다.K처럼 말기 암환자가 항암치료 대신 진통제에 의존하는 것을 ‘호스피스 케어’라고 부른다. 호스피스란 라틴어 어원인 hospes(손님) 또는 hospitum(손님을 맞이하는 장소)에서 기인되며 ‘주인과 ... ...
나노광학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등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배경지식을 습득하기보다는 연구를
진행
하면서 필요한 지식을 학습하고 새로운 현상에 대해 꾸준히 관심을 갖는 자세가 필요하다.5 어떤 학생을 원하나요?새로운 것을 배우는 데 두려움이 없고 필요한 지식은 스스로 찾아서 채워나갈 줄 아는 ... ...
[물리]전하 세계에서도 에너지는 보존된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물체가 운동마찰계수 μk인 표면에서 일정거리 x를 움직이고 정지했다. 정지하기까지
진행
한 거리를 에너지 보존법칙과 운동 방정식을 세워서 풀어라.2)어떤 별의 궤도속력이 v, 주기는 T일이고 질량 m1은 태양질량 Ms의 6배다. 이 별은 보이지 않는 별과 짝을 이뤄 원 궤도를 돌고 있다. 보이지 않는 ... ...
[지구과학]바닷물의 특성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두 요인의 영향을 고려해서 음속 변화를 알아봅니다. 깊이에 따른 속력의 차이가 음파의
진행
에 미치는 영향을 추론합니다. 3) 새벽녘에 혼합층과 수온약층의 온도 분포를 예상하고, 음속 분포의 변화 양상을 통해 음파 경로를 추론합니다. 1) 심해저의 깊이는 평균 3~4km 정도이기 때문에 빛이 거의 ... ...
한반도 가뭄의 숨겨진 원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일어나는 원인에 더 주목한다. 온실기체의 증가와 해수면 온도의 상승, 토양 수분 감소가
진행
되고 있다는 점은 익히 알려진 사실. 이 환경 인자들을 변수로 했을 때 대부분의 기후 모델들은 앞으로 한반도에 강수량은 늘지만 집중호우가 심해서 가뭄의 빈도는 줄지 않을 거라고 예측한다.연세대 ... ...
이전
494
495
496
497
498
499
500
501
5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