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진"(으)로 총 5,24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안에 우뚝 선 나 서대문자연사박물관 취재기(2014.5.31)기사 l20140603
- 야호! 서대문자연사박물관 취재에도 선정이 되었어요!5월 31일. 우리는 때 이른 불볕더위를 뚫고 박물관에 도착했습니다.역시 소문대로 중앙홀에는 멋진 공룡 뼈가 떡하니 서 있더군요.이 녀석의 이름은 아크로칸토 ... 얼마나 자연을 더 아름답고 소중하게 생각해야 하는지,, 더 많은 친구들이 박물관에 와서 깨닫고 느끼길 기대해봅니다. 그리고 ...
- 오늘 기자단은 서대문자연사박물관에 다녀왔지요? 저는 여러번 가봤었지만 이번엔 정말 알차게포스팅 l20140531
- 오늘 기자단은 서대문자연사박물관에 다녀왔지요? 저는 여러번 가봤었지만 이번엔 정말 알차게 배운 것 같아요. 신생대, 중생대, 고생대 ,지구가 생겨진 원리 등을 알았어요. 예전에는 그냥 휙 하고 지나쳤지만 오늘 배우고 나니 다시한번 생각해봐야겠어요*^-^* ...
- 초여름 더위 빨리 온 여름이 더 위험하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기사 l20140529
- 요새는 초여름 더위가 흔하다. 그런데 이것은 좋은 징조일까, 아니면 나쁜 징조일까? 그것은 나쁜 징조이다. 왜냐하면 사망률이 더 높기 때문이다. 그래서 KEI는 "초여름에 더위가 시작되서 우리나라 전체 인구가 36%죽었지만, 그렇지만 한여름에 더위가 시작되면 우리나라 전체 인구가 23%죽는다"고 말했다.사람들은 보통 초여름 더위를 좋아하지만, 그 속에는 악 ...
- 신청했다. Rsam 발명수업 불편한 거 있나요?기사 l20140529
- 먹을 수 있는 밥을 달라고 했는데 야채, 빵 등을 갈아서 주먹밥처럼 가져왔던 것이다. 이것에 아이디어가 생겨서 샌드위치가 만들어진 것이다. 샌드위치 사업이 완전 잘됐고 도박도 그만뒀다. 나도 발명을 하려면 뭔가 불편한 걸 찾아야하는데 불편한 게 왜 잘 안보이는지 모르겠다. 마지막으로 창의력퀴즈를 했다. 나는 창의력 퀴즈라고 해서 아주 어려울 줄 ...
- 자동차 사고 없는 안전한 학교 앞 만들기 학교 앞 어린이 보호구역의 건널목에서 자동차들이 천천히 달리게 하는 방법기사 l20140526
- 줄이고 신호를 잘 지킬 수 있게 만드는지에 대해 궁금하다면.... 제가 인터넷에서 검색한 사진으로 만든 숙제 슬라이드의 사진이예요. 아무리 다양한 모양의 도로를 만든다고 해도 제일 중요한 것은 학교 앞에서 조심조심 길건너는 우리 어린이들과 조심조심 달리는 자동차 운전자들의 마음이겠지요? ... ...
- J1037-0524-A1 저녁을 먹고 임실 두번째 지역으로 탐사. 개구리는 어디서 무얼하는탐사기록 l20140524
- J1037-0524-A1 저녁을 먹고 임실 두번째 지역으로 탐사. 개구리는 어디서 무얼하는지~ 고요~~~ 논에는 로타리가 다 되어있어 들어갈 수가 없고~ 모가 심어진 곳에는 거머리가 잔뜩! 짝짓기중인 물방개도 한쌍~ ...
- [미션수행] 꿀~ 같은 체험! 우석헌 자연사박물관 주니어큐레이터 인턴쉽 1탄 엄청 재밌었던 우석헌 자연사박물관 주니어큐레이터 인턴쉽1탄기사 l20140520
- 생각한다. 왜냐하면 고사리가 옛날부터 살았다와 포자식물이라고 밖에 쓰지 않았기 때문이다. 벌써부터 다음 수요일이 기다려진다. 이번에는 남양주 역사박물관에 가서 발굴체험과 복원체험을 할 것이다. 기대가 되고 시간이 늦게 가는 것 같다. 빨리 수요일이 와서 주니어큐레이터 활동을 다시 해보고 싶다. 그래서 나는 박물관에서 많은 사람들을 돕는 큐레이터 ...
- 통영 앞바다 남해안에는 왜 섬이 많을까 통영-거제도-소매물도-욕지도-고성 남해안 섬 체험기사 l20140519
- 상승하고 산맥과 산의 방향으로 물이 차면서 계곡 골짜기 사이사이로 물이 들어오면서 빙하기 때 침식이 되어서 깊은 골짜기가 만들어진 곳에 바다물이 들어와 삐죽삐죽한 해안선이 된 것이다. 반대로 동해안은 산맥방향이 해안선과 나란 하니까 그 방향대로 물이 올라오니까 산의 능선방향처럼 해안선이 산맥과 평행하게 발달했다고 한다. 여섯 째날엔 통영 공설 ...
- [미션수행] 학교 연못에는 누가 살까? 직접 보고 만지고 쓰는 기사기사 l20140518
- 있어 물에 뜬다고 합니다. 또 기름기 묻은 잔털이 물을 밀어내게 되어 앞으로 갑니다. 놀라운 사실 ! 소금쟁이는 육식입니다. 물에 떨어진 곤충을 잡아먹는다고 하니 작다고 얕보면 안됩니다. 동동 뜨는 소금쟁이 실험 집에서 소금쟁이 실험을 해 보았습니다. 기름을 바른 것은 아니고 철사를 돌돌 말아서 소금쟁이 발을 만든 다음, 물에 살짝 놓습 ...
- J1712-0517-04 모가 심어진 논 쪽에서 노래소리가 우렁차다 수원청개구리 청개구리탐사기록 l20140517
- J1712-0517-04 모가 심어진 논 쪽에서 노래소리가 우렁차다 수원청개구리 청개구리 참개구리 모두 사이좋게울고있다 ...
이전4944954964974984995005015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