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간
경우
타임
시각
더러움
얼룩
오물
스페셜
"
때
"(으)로 총 6,12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없앨 수 있다. 이 경우 식물 게놈에 외부 유전자가 없고 자기 유전자만 편집된 개체이기
때
문에 유전자재조합생명체(GMO)가 아니라는 말이다. 참고로 지난달 일본 연구자들이 개발한 파란 국화의 경우 다를 식물 두 종(초롱꽃과 나비콩꽃)의 유전자가 들어간 GMO다. 연구자들은 이번 시도가 크리스퍼 ... ...
수 천만 개의 원자가 하나처럼 움직이는
때
는?
동아사이언스
l
2017.09.10
특정 상황이 되면 규칙적인 움직임을 보인다. 원자가 절대영도(-273도)에 가깝게 냉각될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상온에서 제각기 따로 놀던 원자들이 초저온으로 온도가 내려가면 갑자기 모두 하나의 원자처럼 똑같이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1920년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샤텐트라 보스가 처음 ... ...
지금 현재를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법
2017.09.09
고삐를 쥐고 간다는 느낌이 들곤 한다. 마음을 환기시키고 나면 한 각도에서 바라봤을
때
는 너무 크게만 보였던 일더미가 다시 보니 그렇게 크지 않았다는 깨달음이 오기도 하고 엄청 중요해서 실패하면 인생이 끝장날 것만 같았던 일 또한 실은 그렇게까지 중요하지 않았다는 깨달음이 오기도 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초신성 폭발 데이터를 분석했다. 24시간 전에 얻은 데이터에는 폭발의 흔적이 없었기
때
문에 초신성 폭발은 그 사이에 일어났을 것이다. 분석 결과 폭발 하루 이내 관측된 파란빛의 양이 동반성-충격 모형이 예측하는 것과 잘 맞아떨어졌다. 이에 따르면 초신성 폭발을 일으킨 백색왜성의 가까이에 ... ...
휴가는 당신을 얼마나 행복하게 했나요?
2017.09.02
재미있었던 일로 추억되곤 한다. 경험은 순간이지만 그 기억은 오래 간직되며 필요할
때
마다 꺼내보고 미소지을 수 있는 즐거움 주머니가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고생을 사서 하며 ‘추억 만들기’에 열중하게 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결국 우리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실제 경험 못지 않게 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섹스와 젠더의 과학
2017.08.29
과 남성(임상시험)을 대상으로 테스트 한 결과를 바탕으로 승인이 되고 용량이 결정되기
때
문이다. 따라서 체중, 근육 및 체지방 비율, 호르몬의 조성이 남성과 꽤 다른 여성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실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약물 부작용을 호소하는 사례가 50~70% 더 많다. 대표적인 예가 수면제인 ... ...
아프리카 하드자 족에겐 있고, 도시인에겐 없는 것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8.27
비만 억제 균의 일부가 사라진 것이다. 사라졌던 박테로이데테스는 다시 건기를 맞이할
때
생겨났다. 같은 계절에 채취한 샘플은 장내 미생물의 구성이 거의 유사했다. 연구진은 이를 통해 장내미생물 환경 변화가 식습관에 기인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연구진은 하드자 족의 장내 미생물과 16개국 ... ...
백인우월주의자는 어떤 성향의 사람들인가
2017.08.26
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미국의 현재 그리고 앞으로의 경제 상황을 평가해보라고 했을
때
극우 집단의 평가와 일반인 집단의 평가가 크게 다르지 않았다는 점이다. 되려 극우집단 사람들이 일반 집단 사람들에 비해 더 낙관적인 경제 전망을 보였다. 이들은 사회적으로 외로운 사람들일 거라는 ... ...
반려동물이 정신질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이유
2017.08.20
싶을
때
세상과의 끈을 완전히 놓아버리지 않게 도와주는 존재라는 점, △나쁜 생각이 들
때
그 생각에서 벗어나게 도와준다는 점, △동물을 돌보기 위해서라도 움직이게 되고 산책을 위해서 집 밖에 나가게 만들어준다는 점, △자신의 삶을 의미있게 만들어준다는 점 자살 시도로 인해 몸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것. 그리고 애벌레가 먹는 밀랍의 탄화수소 구조가 폴리에틸렌의 탄화수소와 비슷하기
때
문에 분해하는 효소 시스템이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럼에도 확증을 위해서는 탄소13 동위원소 표지법 같은 좀 더 명쾌한 실험이 필요하다는 데는 동의했다. 문득 2010년 ‘비소박테리아’ 논문 해프닝이 ... ...
이전
494
495
496
497
498
499
500
501
5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