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과제
퀴즈
물음
수수께끼
제목
목표
d라이브러리
"
문제
"(으)로 총 13,165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자탐방] 금 나와라 뚝딱! 3D 프린팅의 세계
수학동아
l
2014년 02호
꿈을 꾸면 위험해요. 범죄에 악용되거나 공해
문제
가 심각하게 발생하는 등 사회적으로
문제
가 될 수 있는 기계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에요. 따라서 기계공학 기술자를 꿈꾸고 있다면, 사회에 도움이 되는 일이 뭐가 있을지 함께 고민해 봤으면 좋겠어요 ... ...
상속자들 공평한 분배법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4년 02호
배분이 이뤄지게 된다. 보너스! 고전 속 공평한 분배 다시보기!공평한 분배와 관련된
문제
는 오래 전부터 전해오는 이야기나 역사 속에서도 종종 찾아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이솝우화와 솔로몬의 재판 이야기를 수학적인 공평한 분배로 해석해 보자.1. 이솝우화 이야기하루는 사자가 ... ...
동작 그만! 인산염 뺐다고 꼼수 부리냐?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따져 보니까 이런 결과가 나온 겁니다.이와 비슷한 일은 많습니다. 앞으로는 이런 식품
문제
에 의문이 생길 때마다 ‘얼마나’를 집어넣어 생각해 보세요. 각종 미네랄이 풍부해서 몸에 좋다는 해양심층수 광고를 봤다고 했을 때, 하루에 우리가 물을 통해 섭취하는 미네랄이 얼마나 되며, 미네랄 ... ...
LED 밑에서 잠 못 드는 닭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화재나 누전 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어 2012년부터는 방수 LED 전구를 보급했다.더 큰
문제
는 닭들의 반응이었다. 가장 먼저 닭들이 LED 전구 밑에 몰리는 현상이 나타났다. 닭이 밝은 곳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백열전구는 빛이 사방으로 퍼져서 적당히 띄어서 설치하면 양계장이 고루고루 밝았다. ... ...
다윈이 없었다면 진화론도 없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몸에 집어넣는 장면을.여기서 퀴즈. 위 이야기 속 남자는 누굴까. 속으로 ‘풋, 이런 쉬운
문제
를’이라며 비웃을 지도 모르겠다. 에드워드 제너, 또는 지석영을 떠올리며.하지만 아쉽게도 ‘땡’이다. 답은 ‘아무도 모름’이다. 처음으로 천연두 환자의 종기(또는 소의 종기)에서 고름을 짜내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기술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이
문제
는 21세기에도 물리학의 가장 중요한
문제
가 될 것이다.게다가 표준모형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것들이 우리 우주에는 너무나 많이 있다. 최근의 관측 자료에 따르면 우주에서 우리가 그 정체를 아는 요소(보통의 물질)는 전체의 5% 정도 밖에 안 된다. ... ...
그들은 어떻게 과학을 지배하고 있나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논문보다는 대중의 관심을 끌만한 자극적인 논문을 게재한다”면서 학술지 심사과정에
문제
를 제기했다. 실제로 사이언스는 2005년 황우석 교수가 조작한 논문을 잡아내지 못했다. 하지만 ‘황우석 신화’는 바로 사이언스에 논문이 나가면서 시작됐다. 사이언스의 권위에 누구도 제대로 된 비판을 ... ...
PART2. 화성여행의 비결은 겨울잠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우주인의 대퇴부 근력은 무려 25~42%나 감소했다. 우주임무를 수행하는 동안 당연히
문제
가 된다.따라서 겨울잠 동물들이 각성할 때 증가하는 열충격단백질 발현의 원리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면 우주인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 연구팀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 ...
고압송전탑 밑에 살면 정말 암에 걸릴까?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좀 더 납득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송전선을 땅에 묻으면 안전할까?
문제
가 커지면서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 송전선을 땅 밑으로 묻는 ‘지중화’다. 대도시 주민은 지중화 덕분에 안전한 반면 지방 소도시 주민은 머리 위로 송전선이 지나가서 위험하다며 ‘환경불평등’을 해소해야 ... ...
아무거나 중독이라 말하지 말라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감이 있다.하 교수는 “게임중독이라고 찾아오는 환자 대부분은 실제로 게임중독이
문제
가 아니다”라고 말한다. 그는 게임중독을 불면증에 비유했다. 불면증 환자 90%는 다른 질환이나 원인 때문에 잠을 자지 못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게임중독도 마찬가지다. 진짜 질환은 따로 있고 그 질환의 ... ...
이전
495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