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5. 중력파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중력파 관측소를 띄우려는 노력도 진행 중이다. 2020년경에 다섯 대가 모두 가동되기
시작
하면 본격적인 중력파 천문학 시대가 열릴 것이다. 운이 좋으면 5년 이내에 중력파 최초 검출 소식을 들을 수 있을 것이다.우리나라에도 약 20여 명으로 구성된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이 있다. 2009년 9월 ... ...
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꼭 성공하길 기원합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에볼라 쇼크2 : 인간의 반격이
시작
됐다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BRIDGE. “당신은 에볼라에 오염됐습니다.”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 ... ...
[과학뉴스] 화석연료 만드는 엔진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독일 에너지기업 ‘선파이어(Sunfire GmbH)’에서 이 ‘당연하지만 아무도 하지 않던’ 일을
시작
했다. 당장의 쓸모보다는 미래를 내다본 계획이다. 앞으로 신재생에너지 사용이 점점 늘어나면, 화석연료로 움직이던 기존 장비들은 쓸모가 없어진다. 화석연료를 합성할 수 있다면 폐차장으로 갈 수많은 ... ...
[Hot Issue] 남극탐험가 섀클턴의 위대한 실패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일행은 다시 커드 호에 탔고, 포경선 기지가 있는 섬에 도착할 수 있었다. 섬을 횡단하기
시작
했다. 빙하와 산맥을 헤매고 넘어야 하는 고된 행군이었다. 믿을 만한 지도가 없는 상황에서 일행은 끊임없이 헤맸지만 결국 문명의 흔적을 발견하는 데 성공했다. 뱃고동 소리였다. “1914년 12월 ... ...
[Life & Tech] 사랑은 얼음스케이트를 타고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오가는 말이 줄고 마주잡은 손끝이 신경이 쓰일 때가 돼서야 가슴이 다시 콩닥거리기
시작
합니다. 그러고 보면, 사랑이 타오르는 온도는 영하 17℃인 것 같네요.괜찮다는 소녀를 소년은 굳이 집까지 바래다줍니다. 소녀와 소년의 눈에서 하트가 ‘뿅뿅’ 나오고 있네요. 역시 부끄러운 새내기 ... ...
굶주린 늑대 ‘다자바 머그리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하면 강을 건널 수 있을까?”썰렁홈즈의 패배를 예상한 양들은 눈물을 흘리며 떨기
시작
했다. 늑대에게 잡아먹히느니 강물에 풍덩 빠지는 게 낫겠다는 생각이었다.늑대가 나타났다~!“으하하하, 다 맞혔다. 순순히 양들을 내놓으시지.”“흑흑, 약속은 약속이니까, 양들을 모두 줄게.”썰렁홈즈의 ... ...
웰컴 투 얼음왕국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연주하는 음악을 들으면 가슴이 들뜨면서 설렐 거야.자, 그럼 이제부터 즐거운 파티를
시작
해 볼까? 봄이 오면 얼음왕국이 모두 녹을 테니 겨울 동안 실컷 즐기자~ ... ...
[지식] 첫 번째 요리_영양 가득 오일러 공식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1988년 미국의 수학잡지 ‘매스매티컬 인텔리전서’는 흥미로운 설문조사를
시작
했습니다. 독자들에게 유명한 수학공식 24개를 주고 가장 아름다운 공식을 고르라고 한 거죠. 2년에 걸친 투표 끝에 영광의 자리에 오른 건 바로 오일러 공식이었습니다. 20년이 지나 이번엔 물리학잡지 ‘물리학 ... ...
뜨개질과 수학의 크로스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짤 때는 어떤 지점에서 뜨개질을
시작
할지 결정하는 게 중요하다. 무작정 뜨개질을
시작
했다가 원하는 물체가 만들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뜨개질을 함수로 나타내 3D 컴퓨터 모델로 만들면, 어떤 경로로 바늘이 움직여야 뜨개질이 되는지 눈으로 확인해 볼 수 있다. 일종의 바늘 지도다. 이 모델을 ... ...
PART6. 일반상대성이론 뒤집히나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DESI(Dark Energy Spectroscopy Instrument) 프로젝트에 참여해 거시세계에서 상대론을 검증하기
시작
했다.광시야관측으로 은하 수천만 개의 분포를 알게 되면 우주거대구조가 진화한 역사를 알 수 있다. 아인슈타인이 가정한 중력상수가 우주 전 공간에 적용되는지도 알 수 있다. 이런 노력이 2020년경에는 ... ...
이전
495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