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동
아이
유아
소아
어린애
아기
어린
d라이브러리
"
어린이
"(으)로 총 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3. 대형망원경 기술로 핵융합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거의 날마다 낮에 일본인들이 방문한다. 천문대의 관측실 천장에는 일본 각지의
어린이
들이 날씨가 맑기를 바라는 뜻으로 보낸 하얀 인형들이 주렁주렁 매달려 있다. 일본 국민은 스바루 망원경에 큰 자부심을 느끼는 듯하다.우리의 어린 세대들에게도 자부심을 심어줄 수 있는 한국 대형망원경이 ... ...
한 번 영재는 영원한 영재?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여전히 발달단계에 있으므로
어린이
마다 차이가 많이 난다. 따라서 소규모 단위로
어린이
들의 특성을 감안한 맞춤형 교육을 실시할 것”을 제안했다. 이에 따라 영재교육을 전문적으로 담당할 컨설턴트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오는 4월 중순경 ‘과학 신동 프로그램’의 바람직한 운영방향에 ... ...
고양이 눈의 동공은 왜 세로로 길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닫힐 수 있어서 어두운 밤에 활동하기 편하답니다. 환경에 맞게 진화 한 것이죠. 우리 ‘
어린이
과학동아’ 친구들도 이제 겨울 방학을 끝내고학교생활로 진화(?) 해야겠네요 ... ...
'지지리마 란드러'의 밀린 숙제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주부터 일기를 쓴다고 하면 개학인 2월 7일까지 며칠 동안의 일기를 써야 할까? 혹시‘
어린이
과학동아’친구들은 말썽꾸러기 지지리마 란드러처럼 겨울 방학 일기가 밀려 있는 것은 아니겠지?! 썰렁 홈즈의 정답첫 번째 문제의 정답방 안을 잘 살펴보자 아래의 그림에서처럼 방 안에는 여덟 마리의 ... ...
올림픽 하늘에 뿌리는 눈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결국은 중심시야만 남게 된다 주로 망막아세포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의 하나 5세 이하의
어린이
에 많으며 망막교양종(網膜膠樣腫)이라고도 한다생후 1년 이내에 발증하며 약 1/3은 양안성으로 유전되고 편안성은 유전되지 않는다증상은 병의 경과에 따라서 다르나 사시 또는 동공이 고양이가 빛을 ... ...
4. 한반도 지키는 태권 거인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1세기 로봇산업의 중요한 경쟁요소라고 강조했다. “로봇캐릭터는 국가와 민족을 넘어서
어린이
들의 사랑을 받습니다. 향후 한국산 로봇이 대장금처럼 주요한 한류상품이 될 가능성도 높지 않을까요.”태권V는 수십년이 지난 우리에게도 새로운 의미로 다가오고 있다. 그리고 되묻고 있다. 희망과 ... ...
우리가 몰랐던 돈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3호
2006년 새해 벽두에 새롭게 옷을 갈아입은 오천 원권이 등장했습니다. 앞으로 천 원권, 만 원권도 새로운 모습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하지요. 그래서인지 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어요. 그런데 우리는 돈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 없으면 하루도 살기 힘들고, 어느 누구나 많이 갖고 싶어하 ... ...
웃음의 프리즘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시청자에게 웃음을 선사하기 위해 다양한 작전을 구사한다. 어른이 젖병을 빠는
어린이
처럼 행동하거나 상식 밖의 잘난 체를 하기도 한다. 때로는 독특한 유행어를 만들어내기 위해 애를 쓴다. 1970년대 코미디 프로그램은 온 국민의 사랑을 받았으며 시청률이 30%대를 웃돌았다. 지금도 주간 평균 ... ...
야광귀를 아시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귀신이 인간 세상에 내려와 자기 발에 맞는
어린이
의 신을 신고 가면 신을 잃어버린
어린이
는 1년 동안 운이 없다고 믿었습니다. 야광귀를 막기 위한 방법은 신을 방안에 들여놓고, 체를 문 앞에 걸어두고 일찍 자는 것 입니다. 체를 걸어두는 이유는 야광귀가 와서 무수히 많은 체의 구멍을 세어 ... ...
임신 기간을 조절하는 캥거루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과학잡지 뉴사이언티스트 2005년 12월호에 소개된 동물들의 기발한 능력을 좇아보자.개에게 범인이 입었던 옷 냄새를 맡게 한 다음, 그를 추적하게 하는 장면을 영화에서 종종 보았을 것이다. 개는 냄새를 인식하는 단백질 수용체가 사람보다 20~40배정도 많아 냄새 맡는 능력만큼은 사람보다 탁월하 ... ...
이전
495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