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emistry
화학기계
기계
화학물리학
물리학
자연 과학
뉴스
"
화학
"(으)로 총 6,917건 검색되었습니다.
석유로 신약제조 물질을? 유기분자 핵심성분 쉽게 합성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02
분해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중간 단계에서 물질이 분해되는 것을 막기 위해 계산
화학
기법을 이용해 새로운 이리듐 촉매를 찾아냈다. 이렇게 찾아낸 촉매는 상온에서도 중간 단계에서 분해되는 것을 막고 탄소-질소 결합이 완성될 수 있도록 도왔다. 장 단장은 “이번에 개발한 촉매 반응이 ... ...
[단독] 보호구 없이 실험하던 KAIST 학생, 플라스크 터져 안면부 부상…실험실 사고 76%는 ‘안전 불감증’ 탓
동아사이언스
l
2018.02.26
예산을 충당하기 때문에 늘 예산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덕환 서강대
화학
과 교수는 “안전에 대한 투자를 아까운 비용으로 여겨서는 결코 실험실 사고를 막을 수 없다. 불편할 정도로 강제성 높은 안전관리체계와 대학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며 ... ...
'더러운 욕망' 억제 못 한다면...
화학
적 거세 후 몸에 생기는 일은?
동아사이언스
l
2018.02.22
대한 문제가 계속 제기되는 원인 중 하나다. 박광성 전남대병원 비뇨기과 교수는 “
화학
적 거세는 성범죄를 근절할 마법의 약이 아니다”며 “우리 사회에 널리 퍼져 있는 힘의 논리, 폭력성, 부실한 사회안전망과 같은 여러 가지 요소가 성범죄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 ...
겨울철 미세먼지, 왜 더 독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2.20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아니라 이산화황(SO2) 같은 오염물질과 유기화합물(VOCs) 등의 광
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됩니다. 겨울에는 난방 등으로 인해 PM2.5의 원인물질이 더 많이 배출됩니다. 경유차 등 자동차 배기가스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NO3)도 기온이 높은 봄에는 금세 휘발돼 날아가지만 차가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
2018.02.20
놀라운 선견지명이었지만... 이무렵 대서양 건너 영국의 런던대에서는 의사이자 생
화학
자인 존 유드킨이 영양학을 가르치고 있었다. 그는 생활과학대에 소속돼 있었기 때문에 의료연구위원회(MRC)에서 연구비를 받지 못했고 기업체의 지원을 받았다. 유드킨은 1979년 한 인터뷰에서 “난 언제나 ... ...
불 붙어도, 가위로 찢어도 안전한 배터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20
전해질을 바꿨다. 나이트릴 물질은 불이 잘 붙지 않는데다 온도가 80℃가 넘어도 전지
화학
적으로 안정적인 물질이다. 이 교수는 “이차전지 분야에서 가장 큰 관심사는 폭발에서 안전한 전고체전지”라며 “가위로 자르거나 불에 넣어도 타지 않고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전지를 만드는데 ... ...
세계적 구조생물학자 김성호 UC버클리 교수 "게놈 해독 통해 한국인 암 연구하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20
'인천 1만 명 게놈 프로젝트'(가칭)을 설명하고 있는 구조생물학자 김성호 미국 UC버클리
화학
과 명예교수. - 윤신영 기자 제공 생체구조 분야의 전문가인 김 교수가 새 분야에 도전하는 이유는 단 하나다. 한국이 잘할 수 있는 분야라는 것. 그는 “게놈 해독은 아직 국가 간 격차가 크지 않다”며 ... ...
4차산업혁명 핵심인데...올 고교 신입생은 수능 수학에서 기하 안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19
그 중에서도 이과 학생들이 선택하는 수학 가형이었다. 발제를 맡은 정진갑 계명대
화학
과 교수는 “난도가 높은 진로선택과목인 기하를 출제하면, (수학의) 모든 일반선택과목과 함께 기하까지 추가로 배워야 해 학생들의 수학 학습 부담이 지나치게 커진다”며 “기하를 수능 출제에서 ... ...
전 부칠 때 비상? “프라이팬 재료 비만 일으킬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18.02.15
덧붙였다. 다만 당장 전 부칠 때 프라이팬을 치울 필요는 없다. 이덕환 서강대
화학
과 교수는 “안정한 물질이라 음식 을 조리할 때 체내에 직접 유입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며 “다만 이 물질이 부서져 일부가 환경에 흘러갈 경우 분해되지 않은 채 떠돌아다니는데 이것이 체내에 유입될 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신은 칼슘맛을 느끼십니까
2018.02.13
- 사이언스 제공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서울대
화학
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 ...
이전
495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