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15,52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악마문 동굴人’ 유전체서 한국인 뿌리 찾아과학동아 l201703
- 몸 냄새가 적은 유전자, 고혈압에 취약한 유전자, 우유를 소화하지 못하는 유전자 등이 확인됐다. 현대 동아시아인과 비슷하다.연구팀은 현재 이 동굴 근처에 사는 울지(Ulchi) 족을 제외하면 현대인 중에서 악마문 동굴인과 가장 유사한 유전자를 가진 것이 한국인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인과 이 ... ...
- [과학뉴스] 조울증 일으키는 단백질 실마리 찾아과학동아 l201703
- 그 결과 활동성과 식욕, 쾌락적 활동이 과도하게 높아지고, 기억과 학습능력은 떨어지는 등 조증과 유사한 이상 행동을 보였다. 또 조울증 치료 약물을 투여하자 이런 이상행동이 바로 사라졌다. 즉, 쥐의 이상행동이 조울증의 증상이었던 것이다. 이런 반응은 PLCγ1이 결핍된 흥분성 신경세포가 ... ...
- [Issue] 과학·공학·의학 발달의 일등공신 ‘히든 피겨스’과학동아 l201703
- 의사이자 여성 최초 의사인 김점동(세례명 박 에스더)을 비롯해 허영숙, 이채희, 장문경 등이 남성의사에게 갈 수 없었던 많은 여성환자들을 치료했습니다(의료정책연구소, ‘우리나라 근·현대여성사에서 여의사의 활동과 사회적 위상’, 2012.9). 그러나 남성과 동일한 교육을 받고도 사회적 편견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03
- 엄마와 아빠 중 누구를 더 좋아할까요? 정자와 난자, 적혈구와 몇몇 면역세포, 근육세포 등을 제외한 우리 몸의 세포는 모두 46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22쌍의 보통 염색체, 그리고 여자는 XX, 남자는 XY 성염색체를 갖고 있죠. 각각의 염색체는 하나는 엄마, 하나는 ... ...
- [Origin] 겨울잠과 잠을 동시에 자는 여우원숭이?과학동아 l201703
- 춥고 먹이가 부족한 겨울이 되면 많은 동물이 겨울잠을 잔다. 곰, 다람쥐, 박쥐 등이 대표적이다. 그런데 놀랍게도 인류의 사촌인 영장류 중에도 겨울잠을 자는 종이 있다.바로 마다가스카르 섬에 사는 여우원숭이다.일년 365일 영장류 생각만 하는 필자 같은 학자들도 접할 때마다 놀라는 사실이 ... ...
- [Career] 건강장수의 비밀, 초백세시대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703
- 영역, 즉 ‘프라이빗에이징시대’가 된다는 것이다. 박 교수는 “영양학, 생물학,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의 리더들이 함께 포괄적인 연구를 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융합 레시피독창성 × 친화력국내외 다양한 학자들과 교류하고 있는 박상철 석좌교수는 노화와 장수 연구에서 세계적인 ... ...
- 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과학동아 l201703
- 실렸다(논문➎).허 교수는 “우리나라에는 태풍 외에도 가뭄, 한파, 폭설, 폭염 등 다양한 이상 기후가 발생한다”며 “각각에 대한 위험성과 취약성을 분석해 국가가 효율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방법을 계속 연구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떠내려가는 회의론 ... ...
- [Future] 집 나간 국민생선이 돌아왔다! 명태의 귀환과학동아 l201703
- 찾기가 힘들다.③ 어업 환경의 변화와 극심한 경쟁 : 한일, 한중 어업협정, 유류비 증가 등으로 어장 면적이 줄어들고, 어장 위치도 근해에서 연안으로 이동했다. 어업을 할 수 있는 면적이 1990년대 초(86만4336km2)에 비해 2012년에는 23%나 줄어들었다(66만9860km2). 이에 따라 어업 간 경쟁이 심해지면서 ... ...
- [Future] 주목받지 못한 반도체 영웅, 강대원 박사과학동아 l201703
- 모스펫을 중요한 발명으로 꼽았다. 이런 공로로 강 박사는 토머스 에디슨과 라이트 형제 등이 헌액된 미국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렸다. 비록 늦은 감이 있지만 한국반도체학술대회(SK하이닉스, 한국반도체산업협회, 한국반도체연구조합 주관)에서도 강 박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올해 ... ...
- [과학뉴스] 빨리 마르는 19세기 물감의 비밀이 밝혀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03
- 물감을 똑같이 만들고 전자현미경과 분광기법으로 물 감의 형태, 변형, 화학적 특징 등을 조사했지요.그 결과, 비결은 납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납에서 만들어진 활성산소가 물감 속 기름과 만나 빠르게 건조된 거예요. 또 납은 색을 덧칠할 때 물감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도 ... ...
이전454647484950515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