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각"(으)로 총 6,296건 검색되었습니다.
- 원통 거울로 그리는 작품! 아나모르포시스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2호
- 새긴 거예요. 아나모르포시스 그림에 도 일대일 대응이 담겨 있어요. 직사각형 그림판의 각 칸에 그린 그림을 아나모르포시스 그 림판 위에 그대로 대응해 그리기 때문이에요 ... ...
- [기획]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응원은 가슴으로 분석은 수학으로!수학동아 l2022년 02호
- 2월 4일부터 열리는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는 어떤 드라마가 탄생할까? 승패를 떠나 최선을 다하는 선수들의 모습은 언제 봐도 아름답지만, 승리를 위 ... 수학으로!Part1. [기획] 눈치 싸움에서 찾은 내시 균형Part2. [기획] 화려한 회전의 비밀은 각운동량Part3. [기획] 해머 잡을까, 말까 ... ...
- [기획] 눈치 싸움에서 찾은 내시 균형수학동아 l2022년 02호
- 경기의 양상은 이보다 복잡해. 선수 수도 많고, 선두와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도 제각기 다르고, 같은 국가 소속 선수끼리 협동하기도 하는 등 변수가 훨씬 더 다양해. 그만큼 눈치 싸움도 치열해질 수밖에 없지. 이번 스케이팅 종목을 볼 때는 승리를 위한 선수들의 전략을 잘 살펴보자고 ... ...
- [기획] 해머 잡을까, 말까?수학동아 l2022년 02호
- 케빈 파머가 여러 경기 데이터를 토대로 해머와 승률의 관계를 통계로 정리했어. 그 결과 각 엔드마다 해머를 가지고 있을 때 승률을 구할 수 있었지. 마지막 3엔드가 남았을 때 점수 차에 따라 해머를 가진 팀이 이길 확률은 다음과 같아. 우리도 이번 동계올림픽을 보며 직접 통계를 내 확인해 보면 ... ...
- [매스미디어] 해적: 도깨비 깃발수학동아 l2022년 02호
- 배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데 쓰입니다. 배를 올린 짐벌에 외부 힘이 가해지면 센서들이 각속도와 가속도를 측정해 힘의 크기를 구해 반대 방향으로 같은 힘을 줘서 모든 힘의 합, 즉 알짜 힘을 0으로 만듭니다. 만약 왼쪽으로 기울어지면 모터가 오른쪽으로 배를 이동시키고, 오른쪽으로 더 빠르게 ... ...
- 빙판 위의 기적 그들의 썰매를 책임집니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피팅해주는 일을 하고 있다. 지난해에만 전남팀, 전북팀, 부산팀, 인천팀, 경기팀 등 전국각지를 다녔다. 최 장비매니저는 “파라아이스하키 선수로 활동하던 때, 선수들이 쉬는 시간이나 체력을 단련해야 할 시간에 썰매를 정비하는 것이 안타까웠다”며 “선수들이 운동할 시간을 확보해줄 수 있어 ... ...
- 사라진 골목의 시계장인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시계 골목의 경쟁력은 상공인들이 밀집해 서로 연결돼 있던 데에서 나온다는 점을 생각하면 안타까운 일”이라고 했다. 이 이야기는 예지동 시계골목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지동을 포함한 청계천 일대에는 시계, 카메라 등을 수리하고 만드는 도심제조업이 발전해 있다. 상공인 간 협력이 ... ...
- [특집] 2022년 1월 1일이 대체 뭔데?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한 바퀴 돌아 원래 자리로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1년’으로 정했지요. 1년 동안 각 나라에 태양이 몇 번 비추나 관찰했더니 약 365번이었어요. 1년은 하루가 365번 모여서 이뤄지는 거예요. 2022년은 2022번째로 나타난 일 년이라는 뜻이에요. 그렇다면 첫 번째 일 년은 언제일까요? 기독교의 ... ...
- [수학뉴스] 우주의 정보량을 알기 위한 수학자의 도전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사건이 발생할 확률이 반비례 관계라는 내용이에요. 연구팀은 입자를 이루는 쿼크 수와 각 쿼크가 발생할 확률의 곱을 모두 더해 입자가 발생할 확률을 구했어요. 그 뒤 샤넌의 정보 이론 속 정보량과 확률의 관계로 입자 1개 당 정보량이 1.509비트라고 추정했어요. 그 다음 우주의 전체 입자 수를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1장. 역설 속으로!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자기 자신을 가리키는 일이란 있을 수 없으므로 숫자들의 연산은 그로부터 안전하다고 생각한 거지요. 그러나 20세기의 수학자 쿠르트 괴델은 매우 독특한 방법을 사용해서 거짓말쟁이 역설을 산술적으로 표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리고 이로부터 ‘모든 수학적 체계에는 증명할 수 없는 명제가 ... ...
이전454647484950515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