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겨울
한천
동계
동기
동절
d라이브러리
"
겨울철
"(으)로 총 582건 검색되었습니다.
산성비가 몰려오고 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있다.한편 국립환경연구원이 1985-1990년 사이에 서울 불광동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겨울철
에 pH4.0 이하의 산성비 또는 눈이 내린날이 있었다. 이는 전체 강우횟수의 3.5%(1991년에는 2.0%)였고, 강우량은 전체 강우량의 0.5%에 지나지 않았다.또한 국립환경연구원에서는 수년동안 산성비에 의한 ... ...
미국 고속도로 교량, 40% 붕괴위기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보와 보의 연결부가 부식되면 동하중으로 발생하는 응력에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한다.
겨울철
이 되면 고여 있는 물이 얼어 구조재에 금을 내기 시작한다. 이를 녹이기 위해 염화칼슘 등 동결 방지제를 쓰게 되면 염분이 부식을 급속도로 진행시킨다. 염분농도가 한계점에 달하면 콘크리트 부분은 ... ...
이름 잘못 불리는 식물 12가지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대표라 할 수 있는 보춘화와 붓꽃의 차이점을 간단하게 적시하면 다음과 같다.보춘화라
겨울철
에도 비교적 따뜻한 제주도나 울릉도, 또는 남해안 지방의 숲 속에 주로 나는 상록다년초로 굵은 뿌리가 사방으로 퍼지며, 잎은 뿌리켠에서 많이 나는데, 잎을 자른 면은 V자 모양이고 잎가에 잔 톱니가 ... ...
한국조류보호협회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남산 도봉산 용문산 안산 등지에 50여 차례에 걸쳐 5천여 개의 인공새집을 달아주었다. 또
겨울철
이면 한강 강화도 을숙도 주남저수지 철원 등지에 옥수수 밀 생선찌꺼기 쇠기름 등 야생조수들의 먹이를 뿌려주고 20여 차례에 걸쳐 등산로에서 '산불조심'리본을 5만장, 쓰레기수거용 비닐봉지를 1 ... ...
지구과학 -B.C.2천년전 고대 이집트서 처음구분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태양에서 가장 멀고,
겨울철
에 가장 가깝게 되므로 1태양일의 길이는 여름철에 짧고
겨울철
에 길다. 이외에도 지구 자전축의 경사로 1년중 태양이 지나는 길(황도)이 경사져 있으므로 이의 영향도 첨가되어 연중 시태양일의 길이는 고르지 않다. 평균태양시(mean solar time)와 시태양시의 이러한 차이를 ... ...
⑤ 한국천문학의 미래를 건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곳이기도 하다. 또한 이곳은 주위가 산악지형이라서 앞으로 주위 개발 가능성도 적고
겨울철
에 눈이 적게 오며 가까이 영천과 대구가 있어 소백산 천문대에서의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될 것으로 기대된다.단지 대구(보현산의 남서쪽 45km에 위치하며 보현산과의 사이에 1천1백93m의 팔공산이 있음)와 ... ...
목성의 줄무늬와 대적반에 초점을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일어난다. 물론 금성이 태양에 접근해 있어 쉽지는 않겠지만….■어두워지는 화성화려한
겨울철
의 1등성들 사이에서 왕 노릇을 하던 화성은 지구와의 거리가 멀어져 시직경이 10초보다 작아지면서 밝기도 줄어들기 시작한다. 마치 오리온이나 큰개와의 싸움에서 패해 위축된 느낌이다. 한참 밝을때 ... ...
대한해협의 해양자원도 조사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산란종인 까나리가 부산 연안에서 채집됐고 우럭볼락도 쓰시마난류역에서 출현했다.
겨울철
에 보기 힘든 어란과 동물성 부유생물도 쓰시마난류역에서 다량 발견됐다.돌아오면서는 정점별로 CTD만 작업하고 갈 때 빠뜨렸던 8-14번 정점을 집중적으로 조사했다. 오후 3시경부터 다시 파도가 높아지기 ... ...
거미의 생사로 방탄조끼 만든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타는 셈이다. 이같은 성질은 낙하산 제조에도 거미의 생사가 유용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겨울철
에 시베리아에서 낙하훈련을 한다고 하더라도 거미의 생사로 만든 낙하산은 결코 끊어지는 법이 없을 것이다. 또한 거미의 생사는 급작스런 부하(load)에도 잘 견디기 때문에 낙하산의 소재로는 제격이다 ... ...
몽골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소와 양을 한두 마리씩 잡아 고기를 얇게 썰어 바람에 말린 후 겨울양식으로 준비한다.
겨울철
에는 가축의 젖을 얻기 어렵기 때문이다. 음식은 조리법이 발달되지 않아 날 것을 먹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몽골을 방문한 한국인은 음식 때문에 큰 고생을 한다.몽골인의 결혼풍속은 흥미롭다.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