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광
관람
유람
참관
시찰
순람
방문
d라이브러리
"
구경
"(으)로 총 759건 검색되었습니다.
비만: 세계적인 주요 건강 문제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필름 면이 받는 빛의 양은 f수의 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f수의 역수를
구경
비라 한다 특수반도체 소자에서 홀(hall) 저항이 극저온, 고자장하에서 양자화 되어 자장의 세기에 관계없이 일정한 저항을 나타내는 현상레이저 빛을 일정한 주기로 진폭, 즉 빛의 세기를 변화시키는 ... ...
우주대포 제안자 쥘 베른 탄생 1백75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계획인 ‘고고도 연구프로젝트’(HARP)를 1960년대에 진행했다. 캐나다의 바르바도스섬에
구경
16인치 군함용 대포를 비롯한 다양한 대포를 설치한 불 박사는 1962년에서 1967년까지 모두 5백70개의 탄두를 발사해 우주공간인 고도 1백80km까지 도달하는 기록을 세웠다. 이때 발사과정에서 생기는 ... ...
개미 눈물만한 액체까지 제어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획일화된 개미 사회에 불만이 많은 개성 강한 이단아다. 어느 날 Z-4195는 몰래 세상
구경
을 나온 공주 발라에게 반한다. 하지만 그녀는 이미 표독스런 전투개미 사령관 맨더블과 약혼한 사이. Z-4195는 발라와 함께 사랑의 도피를 하기로 작정한다. 맨더블의 추격에 쫓기던 Z-4195와 발라는 Z-4195가 ... ...
펭귄과 친구 된 남극월동대장 장순근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변화를 관찰하거나 코끼리해표나 표범해표, 남극물개, 펭귄의 숫자를 세며 자연을
구경
하기도 한다. 또 기지주변의 동물이 변하는 것을 관찰한다. 장 박사가 가장 즐거워하는 시간이다.이런 연구를 통해 그는 과거 항공사진들과 실측자료를 비교해 세종기지 앞바다인 마리안소만의 빙벽이 지난 40년 ... ...
땅속에 향나무 묻은 뜻 침향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향나무고단한 세파에 미륵세상을 염원하는 일반 백성으로서는 귀하고 값비싼 침향을
구경
조차 하기 힘들었다. 그래서 진짜 침향을 대신할 대용품을 찾기 시작했다. 그 결과 일반 향나무를 오랫동안 땅 속에 묻어두면 침향이 될지도 모른다는 믿음이 생겨났다. 그 실증적인 증거가 바로 매향비 ... ...
독감과 싸우는 약품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우주를 관측하는 망원경 구체적으로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스페이스셔틀로 발사한
구경
(口徑) 24m의 광학망원경 지구를 덮고 있는 대기를 가시광선영역(可視光線領域)이나 전파 영역의 전자기파(電磁氣波)는 투과할 수 있으나 그 밖의 전자파는 흡수된다 매번 쓰고 버리는 것이 아니라 되풀이 ... ...
토성 1년만에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12월 토성은 1년만에 다시 관측 최적기를 맞이한다. 유명한 별들과 비교해 밝기를 가늠해보고, 둘레를 감싸고 있는 고리에서 틈새를 확인 ... 하나의 틈을 볼수 있다. 이 틈은 A고리의 내부에 있는 것으로‘엥케의간극’이라 불린다.
구경
이 2백50mm 정도 이상인 망원경은 돼야 관측이 가능하다 ... ...
PC 위협하는 e메일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만들어지게 되었다생화학 · 약학 · 결정학 등의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된다중
구경
망원경을 몇개 조합하여 하나의 대망원경과 동일한 성능을 발휘하게 만든 망원경 다면망원경이라고도 한다최초의 멀티플미러망원경은 1979년 스미스소니언 천문대와 애리조나 대학이 협동하여 애리조나주에 ... ...
지구대기 끝을 향해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거리에 따라 알맞은 접안경을 선택하여 관측한다천체망원경의 경통 앞쪽 끝에
구경
전체를 가리도록 장치한 대형 프리즘 꼭지각은 10° 이하의 것이 많고 1° 정도의 것도 있다분광사진기의 슬릿과 콜리메이터를 생략하여 프리즘과 사진기만으로 만든 것에 해당한다한번에 많은 별의 스펙트럼을 ... ...
도전! 천왕성 맨눈으로 관측하기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있다. 반면 일반 별들은 단순히 점으로 보일 뿐이다.천체망원경이 클수록 잘 보이겠지만,
구경
60mm만 넘으면 천왕성이 행성임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 천체망원경에서 보이는 천왕성은 초록색으로 빛나며 매우 작은 원반 모습이다. 물론 소형망원경으로 표면의 무늬를 확인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