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래프"(으)로 총 1,0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을 사랑한 뇌요미 박경수학동아 l2017년 02호
- 경험이 있나요?식을 세우고 문제를 푸는 건 쉬웠는데, 전 그래프가 그렇게 어렵더라고요. 그래프는 꺾이기도 하고 축을 두고 그리기도 하는데, 그런 부분이 이해가 잘 안됐어요. 오히려 수가 더 좋았어요.중학교 1학년 때 수학영재교육원에서 피보나치 수열을 처음 접했어요. 피보나치 수열은 어떤 ... ...
- Part 3. 전염과 면역 사이 아슬아슬한 줄타기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알았다. 각 방법을 쓸 때마다 인플루엔자 확산이 얼마나 줄어드는지 구체적인 수치와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와 같은 수리모델을 사용해 현재 전국 인구를 상대로 인플루엔자 확산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또 백신을 투여하는 시기와 연령 등을 넣으면 확산 패턴을 ... ...
- Part 2. 수학이 새로운 언어마저 만들었다?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여러 인공신경망 번역기 중에서도 구글 번역은 특별하다. 새로운 언어를 추가해도 따로 알고리즘을 만들지 않아도 된다. 구글은 알고리즘 하나에 한국어, 영어, 일본어 등 8개 언어를 모두 학습시켰다. 이를 ‘다중언어모델’이라 한다.이쯤에서 구글 개발팀은 궁금한 게 생겼다. 번역 알고리즘 하 ... ...
- [수학뉴스] 크거나 작거나 중간은 없는 동물의 세계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뜻입니다. 연구팀은 사슴의 뿔, 수사자의 갈기 등 동물 15종의 장식 크기에 관한 자료를 그래프로 나타냈습니다.그 결과 사자와 쇠똥구리, 집게벌레, 아메리카솔새, 박새에서 두 개의 정점을 가진 ‘이봉분포’가 나왔습니다. 어떤 동물은 장식을 키워 적극적으로 구애했고, 반대로 어떤 동물은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에르되시-버어 추측을 해결하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있습니다. 하지만 그 점을 1번 꼭짓점으로 정하면 이 그래프는 앞사람 d명 이하와 악수한 그래프 H가 됩니다.그동안 에르되시-버어 추측은 부분적인 결과만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박사가 지난 2015년 r(H)≤f(d)n을 만족하는 함수 f를 찾아내 40년 난제인 에르되시-버어 추측을 해결했습니다. 이 박사는 ... ...
- [Future] 너덜너덜 번아웃 된 기자, ‘마음챙김’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너무 많은 과각성 상태라 뇌파 간의 격차가 크다”며 “세 가지 뇌파가 고루 나와 파형 그래프가 꼬여 있으면 불안함이 적고 편안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뇌파가 꼬일 때 긍정적인 피드백으로 시냇물 소리가 파도 소리로 변하는데, 이때의 내적 상태를 잘 기억해놓는 것이 뉴로피드백 훈련의 ... ...
- Part 1. 허블 상수 논쟁 끝내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시간을 두고 천천히 어두워진다”며 “이 주기 중 일부분을 관측해 얻은 밝기 변화 그래프를 보정해서 절대밝기를 추정하는데, 그 방법이 연구 그룹마다 다르다”고 말했다.문제는 생각보다 복잡해진다. 지금까지 먼 은하의 거리를 측정하는 데 모두 이 방법을 썼기 때문이다. 우주가 가속팽창하는 ... ...
- [도전! 코드 마스터] 전봇대에도 알고리즘이 숨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A, B, C, D 네 지점을 잇는 그래프를 살펴볼게요(오른쪽 페이지(아래 그래프)). 일반적인 그래프를 그릴 때는 A-B-C-D 순으로 길을 이은 다음, D에서 나온 선이 앞의 세 점 중 어느 곳으로도 연결될 수 있어요. 하지만 신장 트리에서는 A-B-C-D에서 끝이 나야 한답니다. D에서 나온 선이 앞의 세 점 중 ...
- Part 2. 내 안에 펼쳐진 나만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연속적으로 관찰하면 프랙탈의 특성이 나타난다. 심장이 300분 동안 뛴 리듬을 나타낸 그래프를 크게 확대하면, 30분 또는 3분 동안 뛴 리듬과 유사하다. 뇌파도 마찬가지다.시간에 따라 변하는 리듬에서 이렇게 프랙탈이 나타나는 이유는 과거에 일어난 사건이 앞으로 미래에 일어날 사건에 영향을 ... ...
- [지식] 자급자족 어부 라이프, 삼시세끼 어촌편3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나타내 작업 시간을 예상하거나 일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이다. 이때 작성하는 그래프를 ‘퍼트도’라고 부른다. 처음 계획대로 퍼트도를 그린 뒤 문제가 되는 부분을 수정해 효율성을 높인다.퍼트법은 1958년 등장한 수학적 사고 방법으로, 새로운 일에 들어갈 때 인력이 얼마나 필요하고 어느 정도 ... ...
이전454647484950515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