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네트웍
넷워크
중계망
network
넷트워크
통신망
방송망
d라이브러리
"
네트워크
"(으)로 총 1,196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위 바위 보의 생태학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떨어지는 이유다.연구자들은 “상호작용이 이질적일수록(즉 물고 물리는 관계일수록)
네트워크
의 구조가 다양성을 선호한다”며 자연계의 풍부한 종다양성이 종 사이 가위바위보의 결과라고 설명했다 ... ...
스스로 운전하는 똑똑한 자동차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속한 서울대 컴퓨터
네트워크
및 보안 연구실은 기본적으로 컴퓨터들간에 어떻게 하면 빠르고 안전하게 정보를 전달할 것인가에 대해 관심을 갖는다. 최근에는 컴퓨터를 넘어 컴퓨터가 내장된 지능형 자동차, 구체적으로는 무인자동차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운전자가 직접 운전하지 ... ...
월드와이드웹 20년, 아직 진화는 끝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백과사전 위키피디아가 등장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해부터 관심이 불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페이스북과 사진공유사이트 플리커가 등장한 게 2004년이다. 이듬해 비디오공유사이트인 유튜브가 선을 보였고 이제는 너무나 익숙한 이름인 트위터는 불과 2008년에야 등장한 SNS다.세계 어느 ... ...
생태계의 보고 갯벌, 시민이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35년째 월 1회씩 새와 갯벌 저서생물을 조사하고 있다”며 “전국적인 시민 조사
네트워크
를 결성해 갯벌생물을 자료로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인근 카시마 시 야생조류동호회 회원인 미야자키 하슈오 씨(카시마시청 환경하수도과 공무원)는 “조사한 결과를 엮어 지역의 새를 소개하는 소책자도 ... ...
한국의 대표 이공계 중점대학 GIST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인도공대(IIT), 홍콩과학기술대 등 23개국 42개 교육·연구기관과 국제 협력
네트워크
를 구축하고 있다. 덕분에 개인이 원한다면 GIST 학생들이 외국에 나가 공부할 수 있는 기회는 얼마든지 열려 있다.한 예로 GIST의 입학생 전원은 미국 캘리포니아에 있는 버클리대(UC버클리대)에 가서 여름학기를 듣고 ... ...
녹색성장 꿈꾸는 ‘유연한 전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기존 대형 발전소와 연결하고, 가정과 전력 생산자를 쌍방향으로 연결하는 새로운 전력
네트워크
다. 정교한 제어가 가능해 미래의 복잡한 전력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이를 위해서 몇 가지 기술적인 뒷받침이 이뤄져야 한다. 먼저 전력이 어디에서 만들어져 어디로 ... ...
한국적 캐릭터로 세계의 신화를 그리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MMORPG는 지속적인 재미를 주기 때문이다.소셜 친구와 즐기는 MMORPGMMORPG는 유저 간의
네트워크
요소가 풍부할 뿐 아니라 생명력이 길다. 또 국내에 MMORPG 유저들이 많기 때문에 이를 소셜게임으로 만들면 기존의 유저들을 끌어 모으기 쉽다고 판단했다.이런 생각 끝에 탄생한 게임이 바로 ‘갓워즈 ... ...
구글이 31억 4159만 달러를 제시한 이유는?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노텔의 특허권을 사려고 경매를 진행했다. 노텔은 사업부진으로 와이파이(Wi-Fi)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등의 분야에서 6000건이 넘는 특허권을 경매에 내놓았다. 최종 낙찰은 45억 달러를 제시한 애플에게 돌아갔다.그러나 경매가 끝난 뒤 사람들의 관심은 특허권을 얻지 못한 구글에게 쏠렸다. ... ...
올 여름 여행에 꼭 가져가야 할 과학책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하지만 ‘버스트(동아시아)’를 읽은 사람은 이런 생각에 동의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네트워크
과학의 창시자인 저자에 따르면 사람의 행동에는 패턴(규칙)이 있고, 심지어 예측도 가능하다. 아직 초창기 연구이기 때문에 거쳐야 할 산이 많지만, 사람을 보는 관점 자체에 변화를 몰고 올 수 있는 ... ...
Part 2. 꿀벌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개미가 특정 장소를 발견하고 동료들에게 알리는 방식을 흉내 낸 프로그램을 만들어
네트워크
의 취약성을 찾아 보완하는 연구를 하기도 했다.하지만 단점도 있다. 이명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잠사양봉소재과장은 “하나의 개체에 비해, 초개체는 군집이 깨질 위험 요인이 더 많다”고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