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당"(으)로 총 1,09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개. 연세프로테옴연구원이 13번 염색체를 맡아 가장 먼저 연구를 시작했다. 13번 염색체는 당뇨, 암 등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자가 꽉꽉 들어차 있어 ‘질병의 창고’로 불린다.백 교수는 “인간의 유전자 수를 2만~2만 5000개로 보고 있는데 단백질의 종류는 100만 가지 이상으로 추정한다”며 ... ...
- 전통으로 빚어내는 꿀맛! 한과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2호
- 곡식으로 만들어요. 그 안에 들어 있는 탄수화물이 효소에 분해되어 단맛을 내는 당이 되지요. 게다가 단맛이 나면서도 열량은 낮아 몸에 좋답니다.외국인들은 쌀로 만든 과자가 낯설어서 한과를 잘 안 먹지 않을까요?한과는 여러 가지 재료로 다양하게 만들 수 있어요. 실제로 커피나, 코코아를 ...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1년 02호
- “구름의 양이 현재보다 2배 많아지면 이산화탄소 농도가 2배가 되더라도 감당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특히 중요한 구름이 해안에 떠 있는 낮은 고도의 층운이다.이 구름은 입자의 밀도가 높고 반사율이 높아 효과적으로 햇빛을 차단한다. 하지만 권운처럼 높은 고도에 떠 있는 얇은 구름은 ... ...
- NASA, 3D 달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오차가 최대 10km 당 1km 정도였다. 연구팀은 표면의 위치 오차는 10km당 30m, 높이 오차는 10km 당 1m까지 줄였다.지금까지는 그림자에 가릴 때가 많아 자세히 볼 수 없었던 달의 극지 환경도 알 수 있게 됐다. 달궤도탐사선은 경도를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다른 지역보다 극지를 더 많이 지난다.뉴먼 박사는 ...
- 수학을 쓰려거든 연필로 쓰세요수학동아 l2011년 01호
- 경사진 부분의 길이는 2cm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연필 앞부분의 각도도 13°~20° 사이가 적당하다. 심 끝의 굵기는 0.6mm를 넘지 않도록 뾰족하게 깎아내야 한다. 그렇다고 연필심이 완전한 원뿔이 되면 안 된다. 끝이 바늘 끝처럼 뾰족하면 부스러지기 쉽기 때문이다. 결국 연필깎이는 연필심을 완전한 ... ...
- 아삭 아삭! 특별한 김치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21호
- 건강 도우미!실험쥐에게 김치 추출물을 먹여 실험한 결과, 김치를 먹은 쥐가 암이나 당뇨, 동맥경화 등의 질병에 잘 걸리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어. 이런 효과는 김치를 만드는 방법과 발효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가 있어서, 어떤 조건에서 효과가 가장 커지는지도 연구 대상이지. 아삭아삭~, 맛있는 ... ...
- 곰팡이에 대한 오해와진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4호
- 상황에 처하게 되었지. 결국 아일랜드 인은 굶어 죽느니 다른 곳으로 떠나기로 했어. 당시에는 황무지나 다름이 없던 미국과 캐나다로 150만 이상의 아일랜드 인들이 이주를 했단다. 1851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이 때 이주한 아일랜드 인들이 미국동부 주요도시 인구의 4분의 1, 캐나다 주요 도시 ... ...
- 기대와 숙제를 동시에 남긴 2010 F1 코리아 그랑프리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소용돌이가 머신의 주행을 방해한다. 프로펠러는 빠르게 공기를 뒤로 빼낸다. 이 장치는 당시에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우승에 절대적인 영향을 줬다.그러나 프로펠러는 바닥에 있는 각종 모래 등 이물질을 빨아 뒤로 날리면서 다른 차량의 진입을 방해해 금지됐다. 이 장치의 등장으로 F1 경기 ... ...
- 이런 수학문제 봤나요?수학동아 l2010년 12호
- 반드시 도둑을 잡는 방법이 있는가? 답안 계산하기 편하게 새 경찰차가 단위시간 1h당 100km를 간다고 하자. 즉 새 차는 100km/h, 헌 차는90km/h로 이동한다. 이때 경찰관은 ‘도둑은 1h 이내에 차를 훔쳐 우측으로 갔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도둑은 현재 우측으로 0km 초과, 90km 미만의 어느 지점에 있을 ... ...
- 바이오 이종 장기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이종 장기이식 기술을 개발하고 만성 환자를 치료하려는 기술을 산업화하고 있다. 이미 당뇨병 치료를 위해 췌도와 심장판막, 각막 이식은 임상 전 원숭이 실험을 시행하고 있다. 2011년에는 신장판막과 각막, 2012년에는 췌도 이식의 임상시험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이전454647484950515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