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절
절멸
몰살
박멸
제거
절제
말살
d라이브러리
"
멸종
"(으)로 총 1,277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모든 모자의 신호가 끊긴 것을 확인했다. ‘신성호’가 웜홀에 휘말리고 지구 인류가
멸종
할 당시 우주선을 조종하던 책임자들은 그로써 죄를 갚고 벌을 받았다. 집행관이 수거한 반대의견자들은 절대영도 상태로 수감되었고, 그들의 행위는 자료의 일부가 되었다. 전자기 육체에 머무는 외계인들은 ... ...
[가상인터뷰] “부르르~!” 암컷을 유혹하는 진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공작은 관심의 대상이에요. 화려한 외모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천적들에 의해
멸종
되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었던 이유나, 다른 동물들과는 달리 자신의 외모를 더욱 화려하게 만드는 방향으로 진화한 이유 등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거든요.저는 제 깃털을 이용해 화려한 옷을 ... ...
[지구의 날 특별 프로젝트]
멸종
위기 못친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못·친·소는 가장 매력적인 동물을 뽑는 온라인 투표 이벤트예요.
멸종
위기 동물들에게 관심을 갖자는 취지에서 마련됐지요. 이번 이벤트에서는 모두 9종의 동물이 못친소 후보에 올랐으며, 이 중 1등을 한 동물은 6월 1일자 표지 주인공이 된답니다.못 지켜준 친구 한 종당 ... ...
[특별 인터뷰] 10년째 어과동의 매력에 푹~! 이봉주 선수 가족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멸종
위기 못·친·소 지지자 중 10년째 를 보신 분이 있다고 해요. 바로 마라토너 이봉주 선수 가족이랍니다. 이봉주 선수의 아들인 우석이와 승진이는 10년째 어과동의 매력에빠져 있다는데요, 그 이유가 무엇인지 함께 들어 봐요!올해 10년째 어과동을 보고 계시네요. 대단해요~!200 ... ...
[Knowledge] 내 손이… 옛날엔 물고기 지느러미?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고생물학자들의 속을 딱 시원하게 긁어주는 존재였다. 약 3억7500만 년 전에 살다
멸종
한 물고기로, 3억8500만 년 전 지층에서 나오는 어류와 3억6500만 년 전 지층에서 나오는 원시 양서류를 연결해 줄 절호의 시기에 살았다. 신체 특성도 두 종의 중간이었다. 연골로 된 네 다리가 뚜렷했다. 위팔뼈 ... ...
[Knowledge] 패배는 있어도 패배자는 없다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반대로 야트막하게 자라는 종지나물은 갈대밭에선 빛이 부족해 성장하지 못한다. 그래서
멸종
위기종인 선제비꽃이 갈대밭에서 종종 발견되곤 한다.식물에도 다양한 경쟁으로 승자와 패자가 갈리곤 한다. 하지만 당장 경쟁에서 패하더라도 계속 패배자로 남아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환경에 적응해 ... ...
[과학뉴스] 공룡
멸종
이유가 어둠이 무서워서?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발달한 포유동물은 어둠에 적응한 반면, 공룡은 어둠 속에서 먹이를 찾지 못해
멸종
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김정웅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안구질환 치료나 기초 생명과학 분야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 ...
[지구사랑탐사대 4기 발대식] “ 신나는 축제처럼 탐사를 즐겨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참가해 탐사방법을 배우게 될 거예요. 이렇게 우리 주변의 생물들을 탐사하고
멸종
위기종을 보전하기 위해 힘을 보탠다면, 우리 주변에서 사라져 가는 생물들을 더욱 많이 볼 수 있게 되겠죠? 올해 지사탐 활동이 벌써부터 기대되는 이유랍니다 ... ...
[Knowledge] 파충류를 위한 커튼콜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2014년까지 공식적으로 보고된 파충류의 종류는 1만 38종. 이중 약 30%가 우리 인류 때문에
멸종
할 위기에 있다. 비록 핀타섬육지거북은 지키지 못했지만 아직 우리의 도움이 필요한 수백 종의 파충류들이 남아 있다. 3억1000만 년 된 이들의 이야기가 지금 끝나기에는 너무나도 아깝다. 여러분의 관심이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개구리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찾아볼 수 있게 된 개구리들이지요. ‘지구사랑탐사대’에서 찾는 수원청개구리처럼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된 개구리나 양서류도 많고요. 북방산개구리 역시 과거에는 사람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었지만, 지금은 그 수가 매우 줄어들어서 광릉숲처럼 환경이 잘 보존된 지역에서만 볼 수 있답니다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