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번식"(으)로 총 1,311건 검색되었습니다.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만약 바나나와 귤에 씨앗이 있었다면 과연 어땠을까?수박씨를 집 마당에 심어볼까?씨로 번식한다는 수박! 수박 먹고 남은 씨들을 버리지 않고 마당에 심으면 공짜로 수박을 먹을 수 있지 않을까? 천만의 말씀 만만의 콩떡! 원래 수박 품종은 훨씬 작고 씨가 많아서 맛있게 먹기 어렵다. 사람들은 수박 ... ...
- Bridge. 튤립은 어떻게 세상에 퍼졌나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유혹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장치’다. 그 중에서도 인간은 꽃의 유혹에 가장 약한 번식 매개체일 것이다. 곤충이나 바람 등의 매개가 미처 하지 못하는 일을 인간이 하고 있다. 물론 인간 역시 식물에게서 식량부터 의류, 약 등 다양한 것들을 얻어냈다. 이런 것들을 넘어 식물은 인간이 가지고 ... ...
- PART 1. 꽃이 없었다면, 지금 당신은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노력이라고 할까. 사실 우리 소나무도 배아를 보호하려고 갖은 노력을 했다. 포자를 날려 번식하는 고사리 같은 식물보다는 우리가 배아를 더 잘 보호했다. 그런데 우연히 탄생한 꽃이 우리보다 한 수 위인 것 같다. 그럴 수 밖에. 꽃은 밑씨를 씨방 벽으로 감싼 것으로 모자라, 서로 떨어져 있던 ... ...
- [생활] 생생한 화질 경쟁, 수학으로 앞서 간다!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철망과 진드기를 분리하는 수학적인 알고리즘을 만들었다.콩잎에 번식하는 진드기는 타원 모양이다. 그런데 일부분만을 확대해서 보면 철망도 한쪽이 긴 타원 모양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진드기는 찌그러진 정도, 즉 장축과 단축의 길이 차이가 그렇게 크지 않다. 따라서 ... ...
- PART 3. 인간의 역사를 바꾼 꽃의 유혹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지난 30년동안 수확량이 그 이전보다 두 배 증가했다. 야생의 꽃식물과 비교하면 엄청난 번식력인 셈이다. 밀은 유럽인을 선택했다. 온난한 유럽 기후에서 밀이 살기 쉬웠기 때문이다. “(빵이 없으면) 케이크를 먹으라고 하세요!”라고 말했던 마리 앙투아네트는 프랑스 국민에게 밀로 만든 바게트가 ... ...
- 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몸이 길어 보였고, 그럴수록 인기가 높아졌다. 공룡의 구애 춤은 지금의 회색관두루미가 번식기에 하는 행동과 비슷했다.나무에서 생활하는 일부 수각류에게는 새와 같은 깃털도 생겼다. 원래 공룡 깃털은 깃대를 중심으로 좌우대칭인데, 새 깃털은 좌우 비대칭이다. 이 모양은 양력을 일으키기 ... ...
- 거울보며 단장하는 조류계의 영장류 까치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대부분 산란전 장기적인 기후보다는 새끼를 먹이는 동안 먹이가 얼마나 풍부한가에 따라 번식성공도가 결정되는 경향이 있다.1998년부터 현재까지 까치를 연구해오면서 알게 된 것은 우리가 까치에 대해서 모르는 것이 너무 많다는 것이다. 우리 주위에서 많이 보인다고 해서 그 수가 늘어나는 것도 ... ...
- 매복과 기습의 명수, 참매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사람과 닮은 참매 가족의 한살이박 작가는 국내 처음으로 참매가 국내에서 부화해 번식하는 장면을 촬영해 소개했다. 또 무려 8년 동안 숲을 드나든 끝에 짝짓기 장면도 찍는 데 성공했다. 새끼가 자라는 과정을 하나하나 기록한 사진, 부모와 새끼(보라매)로 구성된 단란한 참매 가족이 사냥이나 ... ...
- PART1. 단언컨대 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1kg 미만의 소형 포유류다. 따라서 겨울에도 충분히 생존이 가능하고 포식자의 위협 없이 번식할 수 있는 대형 포유류가 굳이 겨울잠을 잘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사람도 이에 속한다. 겨울잠 플러그를 뽑은 것은 바로 사람 자신이었다.사람이 진화과정에서 스스로 잠재운 겨울잠 능력을 최근 다시 ... ...
- 하이에나의 ‘SNS’는 미생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3호
- 같은 점박이하이에나라고 해도 성별에 따라서 냄새와 미생물이 또 달라졌지. 번식기인 하이에나와 그렇지 않은 하이에나도 마찬가지로 미생물의 종류가 달랐고. 다시 말해서 우리가 남긴 시큼한 덩어리 속에 있는 미생물들에 따라 덩어리가 전달하는 정보가 달라진다는 이야기지.미생물에 ... ...
이전454647484950515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