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이형
변질
변환
변전
변이
이상
d라이브러리
"
변형
"(으)로 총 1,753건 검색되었습니다.
[참여] 수학의 신대륙을 찾아서 신일고 Math Pioneer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TV 프로그램 에 등장한 게임인 ‘흑과 백’, ‘인디언 포커’ 등을 간단히
변형
해 누구나 쉽게 수학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우리는 수학으로 동고동락하는 사이매년 여름 매스 파이오니어는 ‘수학 영재캠프’를 떠난다. 올해는 8월 2일부터 4일까지 3일간 캠프를 진행했다. 첫째 날에는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공간에서 모든 밀폐된 곡선이 수축해 하나의 점이 될 수 있다면, 이 공간은 반드시 구로
변형
할 수 있다”는 명제다. 본래 위상수학 문제지만, 미국의 수학자 해밀턴이 이를 ‘리치 흐름’이라는 편미분방정식 문제로 바꿨다. 이 문제는 풀이 과정에서 다양한 유형의 특이점이 나타나 당시 증명에는 ... ...
[생활] 디자인 놀이터에서 즐기는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가진 힘 때문이에요. 삼각형은 다른 도형과 달리 변의 길이만 정해지면 모양이 조금도
변형
되지 않는 튼튼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요. 주변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나무막대로 위 그림처럼 실험해 보면 이 사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지요. 사각형이나 오각형은 막대의 연결 부분 중 한 곳에 힘을 가하면 ...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필요에 따라 두 가지 상태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중요한 것은 히스톤의 화학적
변형
이다. 예를 들어 H3 히스톤의 27번째 라이신(K)에 메틸기가 세 개 붙으면 이질염색질로 변한다(상단 그림 참조). 이외에도 히스톤 아미노산에 아세틸기, 유비퀴틴, 인산 등이 붙고 떨어짐에 따라 뉴클레오솜은 ... ...
해마 꼬리가 사각인 이유 있었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줄어들 때까지 버틴 반면, 원통형 구조물은 10% 밖에 버티지 못했다. 직육면체 구조물이
변형
에 더 잘 견딘다는 의미다. 포터 교수는 “원에 비해 꼭지점이 적은 정사각형이 더 쉽게 접힌다”며 “현재 개발하고 있는 로봇에 해마 꼬리의 원리를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응용할 수 있다. 이런 비암호화 RNA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면 메틸화나 히스톤
변형
등을 직접적으로 조절하지 않고도 암을 정복할 수 있을 것이다. 쓰레기 RNA의 반란에 주목해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PART2. 세포의 DNA 사용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잎 하나로 몇 달 사이에 수백 개의 새끼 난을 만들 수 있다. 전형성능은 식물 유전자
변형
과 조직배양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는 전형성능 활용 연구 속도가 눈에 띄게 느려졌고, 새롭게 전형성능을 유도했다고 밝혀진 식물도 늘지 않고 있다. 이제는 그 원리를 이해해야 할 때다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임의로 정한 뒤, 생물 진화의 돌연변이나 교배 등에서 차용한 수학 모델로 해를 조금씩
변형
한다. 바꾼 해가 최종 목표에 얼마나 가까워졌는지 확인한다. 이 과정을 반복해 점점 더 좋은 해들을 만들어 낸다(동영상 참조). 뇌과학과 양자컴퓨터 더 발달해야장병탁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최근 ... ...
광우병 막을 유전자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의 존 콜린지 교수팀은 쿠루병에서 살아남은 사람에겐 이런
변형
프리온 단백질에 저항성을 가진 단백질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아냈다. 연구팀은 “병을 앓는 과정에서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겨 프리온에 내성이 있는 단백질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며 ... ...
[과학뉴스] 수화 알아듣는 스마트 장갑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태윤 연세대 전기전자공학과 교수팀은 최대 3.2배까지 늘어나면서
변형
된 정도를 인식해서 센서로 활용할 수 있는 섬유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어드밴스트 펑셔널 머티리얼스’ 4월 20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기존 전도성 섬유는 신축성이 떨어져 늘리면 전기적 특성을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