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피"(으)로 총 1,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가위 보름달은 수학으로 뜬다!수학동아 l2013년 09호
- 해당하는 곳을 구면 기하학에서는 ‘달(Lune)’이라고 한다. 구면 기하학에서 달의 넓이와 부피는 구의 반지름(r)과 구 내부의 두 원이 이루는 각(θ)을 알면 구할 수 있다.달을 품은 수학의 정리, 히포크라테스의 초승달지금으로부터 약 2500년 전인 기원전 5세기,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히포크라테스는 ... ...
- 이영돈 PD의 수학 먹거리 X파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더 중요하다. 17세기 독일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요하네스 케플러는 작은 입자들의 부피를 최소화하려면 어떻게 배열해야 하는지 연구하다가 직접 일일이 계산해 봤다. 그 결과 정육각형 배열일 때 가장 효율적이라는 사실을 알아낸다. 이를 ‘케플러의 가설’이라고 한다. 케플러의 가설은 199 ... ...
- 바다 속 어디까지 가봤니?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성인남자는 약 6L)를 유지한다. 그러나 충분히 숨을 내쉬지 않고 갑자기 상승하면 폐의 부피가 갑자기 커진다. 폐 조직이 찢어져 폐와 가슴벽 사이로 공기가 들어가 ‘기흉’이 되거나 공기기포가 혈관으로 들어가 피의 흐름을 막을 수 있다. 만약 공기기포가 뇌의 미세 혈관을 막으면 치명적이다.두 ... ...
- [7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과학동아 l2013년 07호
- 확실하게 나타난다. 그래서 밀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간단한 실험을 진행했다. 같은 부피의 콜라와 다이어트 콜라를 준비한 뒤 질량을 측정해서 둘의 밀도를 구했다.간단한 실험을 한 결과 나온 데이터는 과 같다.데이터를 보면 다이어트 콜라의 밀도가 일반 콜라의 밀도보다 작은 것을 알 ... ...
- 피 조금만 뽑아도 되는 초민감 센서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더 민감한 센서를 만들 수 있을까. 나노구조 설계가 그 해법으로 떠오르고 있다. 일정한 부피에 나노미터 수준으로 만든 아주 작은 센서들을 밀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전까지는 검출할 수 없던 미량의 물질도 찾아낼 수 있다. 바이오센서 크기 전체가 작아지는 건 덤이다. 탄소나노튜브, 실리콘 ... ...
- [매스미디어] 슈퍼맨, 실제로 가능할까? 맨 오브 스틸수학동아 l2013년 06호
- 키와 몸집이 커질 때 몸을 구성하고 있는 뼈의 밀도도 동일하게 증가한다면, 밀도 역시 부피와 같은 비율인 세 제곱배로 증가한다.보통 건장한 성인 남자는 최대 자신의 몸무게만큼 힘을 발휘한다. 따라서 슈퍼맨의 몸무게가 2.5톤에 해당하려면, 슈퍼맨의 키와 몸집은 얼마나 커져야 할까? 슈퍼맨이 ... ...
- Part 1. 흔들리는 백두산, 꿈틀대는 후지산 D데이는 언제?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높은 유문암질 마그마는 용암보다는 화산재로 분화한다.화산 분화 규모(VEI)는 분출물의 부피와 높이로 결정한다. 946년쯤의 백두산 분화 규모는 7인데, 이는 당시 분출된 화산재 양이 100km3에 달한다는 뜻이다. 한반도를 5cm 두께로 덮을 수 있는 양이다. 화산재는 단 2cm만 덮여도 광합성을 하는 ... ...
- 머리가 굳는다? 새빨간 거짓말!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무척 많습니다. 대략 1mm3의 작은 용량 안에 6억 개의 뇌세포 연결이 존재한다고 하니, 부피가 1400cm3인 뇌에는 어림잡아도 840조 개의 연결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뇌세포의 연결(시냅스)은 정보를 모으고 연결시켜 ‘큰 그림’을 그리는 데 중요합니다. 이는 뇌세포의 생성이 멎은 이후에도 뇌가 ... ...
- Part 4. 상상 그 이상의 슈퍼화산, 폭발할까?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북서쪽 해안에 쓰나미가 발생했다는 증거가 있다.약 7만 4000년 전 토바 분출 때 분출물의 부피는 약 1000km3이상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분출로 화산재가 고도 25km이상의 성층권까지 도달하면서 최소한 인도양 전체와 태평양 일부 상공을 뒤덮었다. 이 화산재는 유황성분이 함유된 에어로졸 ... ...
- 새 학기 스타는 바로 나 굿 잠으로 훈남훈녀 되자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6호
- 10시간 자는 어린이가 6시간 자는 어린이보다 기억과 관련된 뇌 부위인 ‘해마’의 부피가 10%정도 크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독일 뤼벡대학교 얀 보른 박사는 8시간 잔 어린이가 그보다 적게 잔 어린이보다 수학문제를 풀어낼 가능성이 3배나 높다고 말했다. 잘 잘수록 기억력과 창의력이 발달돼 ... ...
이전454647484950515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