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판
호평
인기
d라이브러리
"
선호도
"(으)로 총 78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본 얼짱과 몸짱 열풍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생각을 가져다준다. 1991년 심리학자 주디스 랭로이스는 매력적인 얼굴에 대한 영아들의
선호도
를 조사해 ‘발달심리학지’ 에 발표했다. 신생아에게 성인의 얼굴 사진을 보여줬을 때 아름다운 얼굴을 더 오래 본다는 연구결과였다. 갓난아기조차 미를 판정하는 잣대를 갖고 세상을 보고 있다는 ... ...
피부색 따른 인종 구분은 넌센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독일의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는 1775년 어느 날 “지구상의 다양한 인종은 위도에 따른 적응 반응일 뿐”이라고 결론지었다. 즉 햇빛이 강한 저위도에서는 짙은 피부색이, 약한 고위도에서는 옅은 피부색이 생존에 유리했다는 설명이다.우월한 백인과 열등한 유색인이라는 이분법이 상식으로 통하 ... ...
말라리아 퇴치, 미꾸라지가 나선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미꾸라지 용됐다.” “미꾸라지처럼 빠져나간다.” “미꾸라지 한마리가 물을 흐려놓는다.”우리나라 논과 개울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 있었던 정겨운 우리 물고기 미꾸라지. 그런데 왜 우리 조상들은 이처럼 미꾸라지를 천대하고 눈살을 찌푸리며 바라봤을까. 추어탕집 수족관에서 솥에 팔팔 ... ...
인간 앞에 서면 작아지는 뿔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멋진 뿔을 자랑하는 캐나다 큰뿔양이 강력한 천적을 만나 고생하고 있다. 이들의 천적은 다름 아닌 인간.영국 셰필드대 데이비드 콜트먼과 그의 동료들은 캐나다 앨버타주의 램산에 서식하는 큰뿔양의 생태를 조사해 ‘네이처’ 지난해 12월 11일자에 발표했다. 이곳에서는 지난 1975년부터 1996년까 ... ...
4 개는 인간의 생각을 가장 잘 읽는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지상에 사는 여러 생물 중에서 정서적, 의식적으로 인간과 교감할 수 있다는 이유만으로도 개는 대단히 특별한 동물이다. 인간의 친구가 될 수 있는, 개만이 가진 이 독특한 능력은 과연 어디서 유래한 것일까?개의 조상은 늑대다. 1만여년 전부터 인간이 늑대를 가축으로 키우면서 점차 개로 진화돼 ... ...
이공계가 과학기술 강대국 中國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만큼 이공계에 대한 투자와 배려는 상당하다. 이 때문에 중국 청소년들은 이공계에 대한
선호도
가 상당히 높다. 현재 중국 최고의 대학은 인문사회과학 중심의 베이징대가 아니라 이공계 중심의 칭화대다. 칭화대에는 해마다 중국의 뛰어난 수재들이 몰려들고 있는데, 재학중인 2만5천명의 학생 중 7 ... ...
이런 노벨상도… 2003 '엽기 노벨상' 닭도 미녀를 사랑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닭이 아름다운 사람을 더 좋아한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물오리가 죽은 동성(同性)과 교미하는 장면을 처음 발견했다고 노벨상을 받을 수 있을까.미국의 ‘있을 법하지 않은 연구 연보’(Annals of Improbable Research, AIR)는 지난 10월 2일 하버드대에서 이 두 업적에 ‘이그(Ig) 노벨상’을 수여했다. 이그 노 ... ...
4 인간 감성 충족시키는 생각하는 기계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원하는 디자인들을 얻을 수 있다.이처럼 대화형 유전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감성과
선호도
를 효과적으로 사용해 거대한 탐색 공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찾아내도록 한다.인간과 상호작용 하는 시스템지금까지 공학적인 방법을 이용해 인간의 지능과 감성을 실현하려는 시도는 ... ...
지문보다 정확한 제2의 신분증 홍채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크고 푸른 눈을 선호하는 젊은이들 사이에서 최근 서클렌즈가 유행이다. 이 렌즈는 중심부는 투명하지만 주변부에 여러가지 색깔을 입혔기 때문에 컬러렌즈라고도 불린다. 따라서 이 렌즈를 착용하면 눈의 색깔을 인위적으로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다. 또 서클렌즈는 색깔이 있을뿐만 아니라 일반 ... ...
뜨거운 지방에 사내아이 많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신기하게도 이 세상의 절반은 남자고, 절반은 여자다. 이처럼 균형있는 비율을 만들어내는 메커니즘은 어디에서 올까. 또 남자와 여자는 언제, 어떤 방법으로 결정되는 것일까. 이런 질문은 아마도 사람이 처음 생겨나 성을 인식하면서부터 갖게 됐을 것이다.사람은 남녀로 분명하게 구분되지만 지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