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창설
제정
확립
창립
개설
수립
설치
d라이브러리
"
설립
"(으)로 총 1,480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목고 입시 기획 ① 왜 수학영재학교는 없나?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때문이다. 실제 과학고나 과학영재고는 수학과 과학 영재를 교육하려는 특수목적으로
설립
한 학교다. 결국 과학고가 곧 수학고이고 과학영재고가 수학영재고인 셈이다.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수학을 잘한다는 사실이 단순히 수학 과목 하나만 잘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박교선 ... ...
쥐, 인간을 구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그나마 다행인 건 지난해 7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한국유전자변형마우스센터(KGEMC)가
설립
됐어요. 여기서는 한국형 유전자변형쥐를 생산하고 이 쥐가 어떤 특성이 있는지 알아보는 일을 해요. 하지만 어엿한 마우스 병원이 생겨야 세계에 뒤쳐지지 않고 본격적으로 연구를 할 수 있겠죠. 어서 ... ...
동문과 관찰지도교사의 힘 청주교대 과학 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능력과 함께 사회성까지 관찰지도하는 것이 의미 있습니다. 청주교대에는 국내 최초로
설립
된 초등과학영재대학원 과정이 있습니다. 영재를 관찰지도했던 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애정이 깊어지면서 자연스럽게 생겨난 것이죠. 이처럼 영재를 교육하고 관찰한 경험과 노하우가 쌓이면 쌓일수록 ... ...
Part 2. 오후 6시가 되면 마법사가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촉박했다. 오클라호마대에서는 미국 과학재단의 지원을 받아 폭풍분석예측센터(CAPS)를
설립
하고 토네이도를 예측하는 수치예보모델 개발에 주력해 왔다.필자도 이 센터 소속의 박사과정 학생으로 모델 개발에 참여한 바 있다. 대기를 지배하는 여러 방정식을 동시에 풀어 미래의 기상 변수들의 값을 ... ...
존 밀너, 2011년 아벨상을 받다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이하의 젊은 수학자에게 주는 상이고, 울프상은 이스라엘의 발명가인 리카르도 울프가
설립
한 울프 재단에서 주는 상이다. 수학자와 과학자, 예술가에게 매년 시상하는 울프상은 과학계에선 노벨상 다음으로 권위 있는 상으로 평가한다 ... ...
맥스웰의 도깨비를 찾아서 “아는 것이 힘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이름을 붙였다.이후 맥스웰은 다시 케임브리지로 돌아가서 캐번디시 연구소의
설립
과 운영에 열정을 바치다가 4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맥스웰이 연구소의 첫 소장이었다). 그의 노력으로 탄생한 캐번디시 연구소는 20세기 초 세계 물리학의 중심지가 됐다. 이렇듯 맥스웰은 물리만이 아니라 ... ...
[수학을 사랑한 스타] 수학 사랑의 종결자 가수 겸 연기자 김정훈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특별한 꿈이 있다고 했다.“언젠가 소속사 이름을 그대로 사용한 ‘메르센연구소’를
설립
하고 싶어요. 이건 어릴 적부터 꿈꿨던 일이거든요. 메르센연구소는 수학이나, 물리 같은 순수과학을 연구하는 연구소가 될 것 같아요. 저와 같은 뜻을 품은 좋은 학자들과 함께 세상에 도움이 되는 연구를 ... ...
Part 1. 과학이 낳은 명탐정 홈즈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성과를 눈여겨보았고 앞 다투어 리용 법과학감정소를 벤치마킹한 법과학실험실을
설립
했다. 우리나라의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하 국과수)도 그중 하나다.1951년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DNA 구조를 규명하면서 유전정보를 이용해 개인식별을 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크고 작은 증거물을 ... ...
'수학' 연구소 아닌 '수리과학' 연구소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교육과학기술부)가 수학을 첨단산업을 비롯한 사회 전 분야에 널리 활용하려고 2005년에
설립
한 수학 전문 연구기관이다.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미래기술의 중심이 되는수리과학 연구를 수행해 국가적 과제를 이끌어내고 있다. 앞으로 수리연의 눈부신 활약을 기대해본다. “수리과학 분야의 ... ...
초소형 MEMS 기술의 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세계에서 두번째로 개발했다는 뉴스가 나왔다. 그리고 서울대에 반도체공동연구소가
설립
돼 직접 반도체를 경험할 수 있게 됐다. 어떻게 엄지 손톱보다도 작은 크기의 반도체 소자에 신문지 몇 만매 분량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지 궁금했다. 본격적으로 반도체를 공부할 생각으로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