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로
뱃길
물길
운하
수도
선로
진로
d라이브러리
"
수로
"(으)로 총 551건 검색되었습니다.
(5) 신경망컴퓨터 어느 수준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함께 연구했던 폰 노이만과 샤논의 정보이론에 근거하고 있다. 「모든 것을
수로
표현할 수 있다」이들이론의 근저에 깔려있는 컴퓨터 명령어의 '무의미성'을 상기해 보자. 우리는 컴퓨터에게 모든 사건을 친절하게 베이직(BASIC) 어셈블러 C언어 등으로 재단해 주고 컴퓨터는 여기에 '자기 멋대로' ... ...
베네치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개펄로 흘러 들어가는 강물을 직접 추출, 거대한 수도관을 통해서 공장지대의 공업용
수로
공급한 것이다. 그 덕분에 이제는 지하수를 뽑아내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지하수면도 원래의 수준으로 회복됐다. 그러나 아직도 1년이면 몇차례씩 밀물때 물에 잠기기 때문에 베네치아의 보존작업은 여전히 ... ...
루마니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뿐이다. 이 호수들은 흑해연안 다뉴브삼각주 다뉴브평야 카르파티아산맥 그리고 빙하호
수로
유명한 남카르파티아지역에 이르기까지 전국에 걸쳐 분포돼 있다.루마니아의 기후는 온화한 대륙성 기후가 주를 이룬다. 4계절이 뚜렷하나 연평균 기온은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예컨대 해안과 ... ...
오묘한 서리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유리 표면 상태에 따라 그 모양이 다양하다. 나카야 우키이 치로교수(전 홋카이도대학교
수로
세계 최초로 인공설을 만듦)팀이 행한 연구결과는 영화로 촬영돼 '서리꽃'(Frost Flower)이란 제목으로 1948년 8월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린 국제설빙학회 제3회 총회에서 소개된 바 있다.창서리는 유리표면에 ... ...
대덕시대 개막으로 재웅비 꿈꾸는 스무살 KAIST 고뇌와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의견을 제시한다. 학생부처장 신성철 교수는 여기에 더해 스탠퍼드대 출신이 하버드의 교
수로
발탁되고 하버드의 교수가 스탠퍼드의 강단에도 서는 미국의 예를 들며 "지나치게 동문관계를 앞세워 능력 보다는 우리학교사람만을 고집하는 폐쇄적인 풍토가 고쳐져야한다. KAIST의 위상도 10년전과는 ... ...
임진강 유역에서 화산폭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이러한 접합부를 따라 다시 서서히
수로
가 뚫리기 시작했다. 이렇게 일단 대지주변부에
수로
가 형성된 다음부터, 현무암괴(塊)는 급속히 침식되기 시작했으며, 그 결과 깊은 수직계곡이 하천을 따라 형성됐다. 이러한 하천 발달과정을 거친 결과, 대지 위에 퇴적된 구석기 유물의 상당량은 그 이후의 ... ...
3 의식구조를 통해 본 강점 약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쟁기를 고안한 사람이다.또 교토(京都)에는 가까운 비와코(琵琶湖)로부터 도심까지
수로
를 끌어들인데 성공한 도쿄대학 출신의 앳된 젊은 기사의 동상이 서 있다. 일본의 근대화에 획기적으로 공헌한 거물 정치가나 기업가 행정가 계몽가 학자는 오히려 뒤로 밀린다. 하찮은(?) 쟁기를 개량한 ... ...
1 PC서브·케텔·인포서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한지연 부부가 맡고 있다. 한가족 동호회는 회원수는 적지만 회원당 통신시간이나 접속횟
수로
는 어느 동호회에도 지지않을 정도로 활발하다.취미를 함께하는 동호회로는 '셈틀소리' '두레마을' '컬러랜드' '애니메이트' 등이 관심을 모은다. 셈틀소리는 컴퓨터음악에 관심있는 사람들이 만든 것이고( ... ...
1. 첨단과학기술의 경연장 「해양정보도시」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공해방지 등을 해결하기 위해 공업단지를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해상으로 이전시키고
수로
나 터널 등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거대한 콤비나트를 조성한다는 구상이다.1975년 오키나와 해양박람회에서 전시됐던 해양도시 '애쿼폴리스'(Aquapolis)는 용지난과 공해문제 등으로 해양에 대한 관심이 ... ...
타국 땅에서 그려 보는 조국의 밤하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그 대답은 교육 및 연구환경의 질이나 장학금의 액수, 학위기간동안 출판한 연구논문의
수로
정당화되는 것이 아니다. 바로 진정한 우리 민족과학의 원천인 어머님들의 갸날픈 손이나 높이 불끈 쥔 벗들의 손을 맞잡고 있음으로써 대답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우리 조상들의 천문학은 남겨진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