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숫자"(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콤달콤 놀이연구소] 도전! 10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카드를 뒤집어 앞면이 보이게 내려놓습니다. 뒤집은 카드의 숫자와 더했을 때 10이 되는 숫자의 카드를 먼저 내는 사람이 뒤집힌 모든 카드를 획득합니다. 즉, J, A, 2~10 카드 중 하나를 내려놔 10을 만듭니다.➌ K와 Q 카드는 2장의 카드와 함께 낼 수 있어요. 예시 뒤집은 카드가 2일 때, 3·K·5 카드를 ... ...
- [특집] 취향저격수가 되는 첫걸음 ‘벡터’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두 정보가 얼마나 유사한지 계산하는 데 쓰이죠. 4. 벡터로 나타낸 데이터 연산 숫자가 아닌 정보는 연산을 못하지만 정보를 벡터로 나타내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좌표평면과 같이 과 , , 이 있다면 과 , 과 사이의 거리는 같습니다. 따라서 ... ...
- [방구석 과학×음악 콘서트] 수학으로 악보를 그리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20항은 무려 302개의 숫자로 구성돼 있다고 하네요.사전 녹화 현장에선 개미수열 14항의 숫자를 이용한 곡 ‘L.A.S.S.14’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곡을 듣기 전까지는 개미수열이 음악에 어떻게 녹아있을지 예상할 수 없었고, 수열이 과연 ‘음알못’인 제 귀에 들릴지 궁금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 ...
- 에르되시 팔의 일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적 없으면서 그와 함께 연구한 수학자는 에르되시 수 2를 받는 식이다. 이렇게 관계를 숫자로 표현하니 수학자들이 나와 몇 단계에 걸쳐 연결됐는지 알 수 있었다. 나의 많은 연구 중에서도 ‘불가촉 수’ 연구가 기억에 남는다. 새로운 수학 개념을 만들고 이에 대한 문제까지 해결했기 때문이다. ... ...
- [이달의 과학사] 섭씨 온도를 만든 셀시우스 태어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처음에 물의 끓는점을 0℃, 어는점을 100℃로 정했다는 거예요. 차가워질수록 온도계의 숫자는 올라가는 것이죠. 왜 이렇게 썼을까요? 역사학자들은 셀시우스가 추운 스웨덴에 살아서 영하의 온도를 측정하는 경우가 더 잦아서 그랬다고 추정해요.셀시우스가 죽은 이듬해인 1745년, 친구였던 식물학자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당기고, 튕기면 숫자 칸에 쏙~! 핀볼 확률게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쇠구슬이 장애물에 부딪힐 때의 위치와 각도가 다르거든요. 그 결과 쇠구슬이 도착하는 숫자 칸도 매번 달라지죠. 이처럼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 경우의 가짓수를 ‘경우의 수’라고 해요. 그리고 모든 경우의 수에서 특정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을 비율로 나타낸 것이 ‘확률’이랍니다. 물론,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쉿! 보물 숨길 곳이 필요해? 다이얼 금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0~11), 마지막 바퀴엔 4개의 숫자(0, 3, 6, 9)를 비밀번호로 지정할 수 있어요. 세 바퀴에 쓰인 숫자들 중, ‘3’, ‘6’, ‘9’ 자리에 새끼 손톱만한 나무 부품을 끼우면 비밀번호가 설정되지요. 총 3개의 바퀴로 조합할 수 있는 비밀번호 경우의 수는 12×12×4로 576가지나 됐어요. 금고를 완성한 ... ...
- [한장의 과학] 차별이 담긴 천체 별칭 없앤다! NGC 2392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별칭을 더는 사용하지 않겠다고 발표했어요. 행성과 성운의 공식 명칭은 알파벳과 숫자로 구성되지만, 일부는 특별한 의미를 담아 별칭으로 불렀어요. ‘말머리성운’, ‘반지 은하’ 등이 그 예죠. 이번에 별칭이 없어지는 주인공은 ‘에스키모 성운’으로 알려진 ‘NGC 2392’ 성운과 ‘샴쌍둥이 ... ...
- [통합과학 교과서] 콩나무 타고 별 보러 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있다! 우주에서 반짝이는 수많은 별은 그 밝기에 따라 등급이 매겨져 있어요. 등급의 숫자가 작을수록 밝은 별이지요. 이렇게 밝기로 별의 등급을 처음 매긴 사람은 고대 그리스 천문학자인 히파르코스예요. 히파르코스는 하늘의 별을 관측하다가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밝은 별들을 1등급, 가장 ... ...
- 움짤, 과학자도 사랑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DNA에 저장한 건 최초였지요.연구팀은 컴퓨터가 디지털 사진을 ‘0’과 ‘1’로 이뤄진 숫자로 바꿔 저장하는 성질을 응용했어요. ‘0’과 ‘1’ 대신 DNA의 네 종류 물질인 A, T, G, C를 부호로 활용한 거지요. 저장 방법은 좀더 어려워요. 연구팀은 사진 정보를 담은 부호에 따라 DNA 조각을 만들고 ... ...
이전454647484950515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