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교과서] 벼락 맞은 집을 지켜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2000번의 번개가 발생한 사실을 확인했지요. 또한 1분당 최대 2615번 섬광을 만들어 냈고, 일부 번개는 해발 20~30km 높이까지 전례 없이 높게 발생했는데, 이전에 측정된 18km 고도의 번개보다 더 높고 잦아 가장 강력한 번개로 기록됐다고 덧붙였지요. 미국지질조사국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보통 번개 ... ...
- [4컷 만화] 공벌레는 로봇의 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불리는 이 부분은 다양한 물체를 섬세하게 다룰 수 있도록 발전해 왔지요. 6월 6일, 일본 도호쿠대학교 조세핀 갈리폰 교수팀은 살아있는 동물이 로봇의 그리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공벌레와 해양 연체 동물인 군부에 주목했어요. 공벌레는 몸을 공 모양으로 ... ...
- [이달의 과학사] 1904년 7월 23일, 아이스크림 콘 첫 판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904년 7월 23일, 미국에서 열린 세인트 루이스 세계 박람회에서 콘 모양 과자에 담은 아이스크림이 처음 판매됐어요. 1902년 영국의 아이스크림 상인 안토니오 발보나가 아이스크림을 담는 과자 컵을 특허낸 적은 있지만, 원뿔 형태의 아이스크림 콘이 대중에게 판매된 건 이때가 처음이었습니다 ... ...
- [사막 생물 탐구생활] 시민과학으로 사막거북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몇 마리는 2~5km 정도 이동해 보호구역을 벗어나 민가에 가기도 했어요. 어떤 거북은 일주일 사이에 3km나 이동해서 보호구역 바깥에 있는 건설 현장을 한 바퀴 돌기도 했답니다. 다행히 지역 주민들이 거북을 붙잡아서 다시 관리위원회에 돌려주었어요. 시민과학자들은 거북을 추적하다 생각지도 ... ...
- [특집] 한반도의 얼룩개, 바둑이가 돌아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문헌과 그림에 자주 등장할 정도로 우리나라에서 오랜 기간 살아온 토종개지. 바둑이는 일제 강점기 때 사라졌다고 알려졌는데 최근 국내 연구진이 바둑이를 복원했다는 기쁜 소식이 들려왔어!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한반도의 얼룩개, 바둑이가 돌아왔다Part1. 바둑이 넌 누구니 ... ...
- [시사과학] 내 SNS 기록, 가족에게 상속할까? 말까? 디지털 유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아이폰 로그인을 시도했지만, 끝내 잠금을 풀지 못했습니다. 유족은 “대형 재난 사고가 일어나면 피해자들이 최후의 순간 휴대전화로 가족에게 마지막 인사를 전했다”며 “이를 고려하면 고인이 직접 동의하지는 못했어도 동의한 것으로 가정해 잠금 해제를 청구할 수 있다”고 주장했어요. 202 ... ...
- [메타버스 여행법] 3D 아이템을 만들어 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점점 다양해지면서, 리깅이 부쩍 더 어려운 작업이 됐다”며 리깅과 관련된 재밌는 일화를 전했어요. “얼마 전 빨대가 달린 우유박스 아이템을 만들었어요. 최근에 제가 커스텀 한 아바타가 입에 이 빨대를 물게 하려고 리깅했는데, 좀처럼 빨대가 물리지 않는 거예요. 기본 아바타 기준으로 빨대를 ... ...
- [만화뉴스] 모르는건모른다고말하는 정직한 AI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월 22일, 광주과학기술원 이규빈 교수팀은 모르는 데이터를 구별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AI는 데이터가 들어오면 작업자인 ‘블록’이 이를 순서대로 처리합니다. 이때 기존의 AI는 가장 많은 데이터를 학습한 마지막 블록을 사용해 답을 몰라도 가장 비슷한 값을 정답으로 ... ...
- [4컷 만화] 전투력 甲 총알개미에 숨겨진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대한 보고서’에서 물렸을 때 고통 지수 1위를 차지했을 정도로 악명이 높답니다. 5월 23일, 호주 퀸즐랜드대학교 샘 로빈슨 박사팀은 총알개미, 보석침개미 등에 물리면 통증이 왜 그토록 오랫동안 강렬하게 유지되는지를 밝혀냈습니다. 연구팀은 총알개미의 독 성분인 ‘포네라톡신’을 쥐의 감각 ... ...
- [가상인터뷰] 길고양이와의 공존을 위한 해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냐옹! 어둑한 밤, 짝짓기를 하는 고양이의 울음 소리를 들어본 적 있어? 최근 길고양이 개체수가 많아 이를 조절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어. 이를 위한 안전 ... 것”이라며 “앞으로 이 기술이 더욱 발전해 길고양이 개체수 조절에 효과적으로 쓰일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어 ... ...
이전454647484950515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