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자"(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TMI'를 들어볼 테야? 둠칫둠칫 ‘움짤’ 완전정복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탓에 누리꾼들이 글과 상관없는 이미지를 올리면서 유행했다. 사진 및 도움박종열(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각지능연구실장), Andrew Moore(Howard Hughes Medical Institute Janelia Research Campus 박사후연구원), 게티이미지뱅크 ... ...
- 33살 GIF, 인싸와 궁합이 쿵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붙여넣기’가 가능해요. 그렇다면 GIF는 동영상일까요, 이미지일까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종열 시각지능연구소장은 “둘을 나누는 명확한 기준은 없지만, 컴퓨터과학자의 관점에서 GIF는 이미지”라고 말했어요. 이는 GIF가 동영상 압축 기술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에요. 개별 이미지들을 한 ... ...
- [에디터 노트]새로운 태양을 기다리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한때는 거의 불가능한 기술로 여겨졌습니다. 수소를 1억℃가 넘는 고온에서 핵과 전자가 분리된 플라스마 상태로 만든 뒤 핵끼리 강제로 결합시켜야 하는데, 인간의 힘으로는 물론 웬만한 기계로도 어려운 일이기 때문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올해 여름 세계 최대 핵융합 실험로인 ... ...
- 또 하나의 태양을 지구에 재현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녹지 않는 자기장을 이용해 플라스마를 담는 묘책을 떠올렸다. 플라스마는 원자핵과 전자가 분리된 상태인 만큼 전하를 띠고 있다. 따라서 전하에 강력한 자기장을 걸어 주면 전하를 띤 물질들은 마치 꼬치에 꿰인 것처럼 자기장 주변을 빙글빙글 돈다. 고온의 플라스마를 자기장 주변에 붙잡아둘 수 ... ...
- 세계 상위 0.1% AI 고수를 만나다 “데이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AI가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오르면서 첫 금메달을 품에 안았다.대회 문제는 분자에 자기력이 가해졌을 때 분자 내 전자의 움직임이 어떻게 변하는지 이론적으로 알아내는 알고리즘을 만드는 것이었다. 이런 알고리즘은 유해 가스를 검출하는 센서나, 질환을 치료하는 약물을 개발하는 데 적용할 수 있다.이 선임연구원은 4명의 ... ...
- 꼭꼭 숨은 카메라, 과학이 검거한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전자파를 추적하기도 합니다. 카메라는 대략 10~21kHz(킬로헤르츠·1kHz는1000Hz) 범위의 전자파를 내보냅니다. 이 방법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지 않는 불법 촬영 카메라를 찾아내는 데 유용합니다. 만약 카메라에 전원이 꺼져 있다면 어떨까요. 실제로 배터리를 아끼기 위해 빛이 없거나 움직임이 없으면 ... ...
- Q&A로 풀어보는 핵융합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아무리 가벼운 물질이라도 1억 ℃로 만드는 건 쉬운 일이 아닙니다. 양성자의 질량은 전자보다 1800배가량 큽니다. 양성자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죠. 그래서 플라스마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중성자의 충돌에너지를 이용합니다. 중성자를 고속으로 발사해 수소 원자핵과 ... ...
- [이달의 책] 양자 물질? 그깟 거 내가 설명해 주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과정을 주방에서 일어나는 상황에 빗대고, 원자를 구성하는 양성자와 중성자, 그리고 전자를 호텔에 드나드는 사람들에 비유한다.이런 비유를 거듭하며, 물질의 정의에 대한 고대 그리스 시대의 질문부터 그에 대한 답을 내고 있는 현대의 양자역학까지 총정리했다. 물질의 물리학을 드디어 ... ...
- [헥!헥! 핵물리학자] 과장은 없다! 이게 바로 광속...‘핵’ 빠르게 던지는 가속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대체 얼마나 큰 전기력이 필요한 걸까요? LHC에서 수소핵의 운동에너지는 최대 6.5조 전자볼트(eV)까지 증가해요. 우리가 평소 쓰는 1.5V짜리 건전지 약 4.5조 개만큼이나 큰 전기력을 줘야 만들 수 있는 운동에너지량이랍니다. 세상을 이루는 근본적인 물질은 무엇일까?가속기 안에서 수소핵이 빛만큼 ... ...
-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중수소를 1억℃로 가열하는 장치가 필수다. 플라스마를 가열하는 방식에는 이온공명, 전자공명, 중성자빔 등 크게 세 가지가 있다. 이중 가장 최근에 도입된 게 중성자빔 가열 방식으로, 수소 입자를 시속 약 1440만km 속도로 가속해 플라스마의 온도를 높인다. KSTAR는 이 방식으로 올해 3월 세계 최초로 ... ...
이전454647484950515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