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층
성층
d라이브러리
"
지층
"(으)로 총 508건 검색되었습니다.
구조색인가 색소색인가 나비의 정체를 밝힐 열쇠는 비늘의 빛깔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볼 수 있다.여기서 한가지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은 이들 나비중 빙하기에 해당되는
지층
에서 출토된 것들은 어쩌면 오늘날의 산굴뚝나비 종류일지도 모른다는 사실이다. 이 산굴뚝나비는 한라산의 정상부근이나 일본의 고산지대 등 추운 기후환경에서 목격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굴뚝나비를 ... ...
두루봉 구석기 유적에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30만년전의 나비 비늘 발견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경우는 최고 30만~40만년전('처녀굴'의 2백55㎝
지층
출토)에서 20만년전('새굴'의 8백㎝
지층
출토) 경의 것들로 여겨진다. 또 수양개유적에서 출토된 나비비늘은 빙하기의 추운 날씨에 살았던 것들로 추측된다.현재로서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이 나비의 비늘들이 어떤 종류의 것이며, 어떻게 해서 ... ...
지구과학 단원마다 주제에 대한 의문을 갖고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돌맹이는 어디서 굴러온 것일까?·시원한 계곡의 바위 덩어리, 도로변 절벽에 쌓여 있는
지층
은 어떻게해서 생겨난 것일까?·어째서 우리 나라의 동해안에는 절벽이 많고 해안선도 거의 일직선인데 서해안과 남해안에는 섬도 많고 해안선이 그렇게 복잡할까?·세계의 지붕이라고 불리우는 히말라야 ... ...
지상최대의 건축물 만리장성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앞으로의 황하치수대책에 활용하려는 것이다.어떤 지진학자는 장성이 축조된 곳은
지층
의 단열대(斷裂帶·지각이 균열된 지대)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며 과거의 지진에 의한 단열흔(斷裂痕)이나 위치가 어긋난 곳을 볼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래서 이런것을 분석하면 지진학이나 건축학에 귀중한 ... ...
파괴돼가는 철새도래지 을숙도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그 상부는 연안 내지는 내만의 기수역에 해당되는 퇴적층이고, 하부사층을 포함한 하부
지층
은 하천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 퇴적층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을숙도는 하천영역에서 해안영역으로 환경이 바뀌면서 형성되어 온 모래섬으로 판단된다. 그런데 최하부의 자갈층은 기저역층으로서 ... ...
인류기원의 혁명적 반론 이브는 흑인이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의해 파헤쳐진 흙 속에는 뼈나 돌 이외에 화석이 되어 버린 무수한 식물의 씨앗이
지층
을 따라 연속해 있어서 식물계의 분포와 기후를 추정할 수 있게 해 준다. 2백만년 전과 3백만년 전 사이에 아프리카의 단층 지에는 급격한 지리적, 기후적 변동이 있었다. 그래서 단층의 양쪽은 자연 경치가 서로 ... ...
자비에 피숑 선장 인터뷰 대재앙 예고된 일본 열도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엄청난 지진이 수백km에 걸쳐 여러번 일어나게 됩니다.”─ 만일 마그마가 흐르던
지층
이 지속적으로 꾸준히 침강한다면 지진은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인가요?“그렇습니다. 과학이 지금보다 더 발전한다면 인위적으로 지진을 예방할 수도 있을지 모릅니다. 가령 예를 들어 해구의 엄청난 ... ...
진화과정을 증명하는 마다가스카르섬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멸절되어 현재의 동식물상이 형성되어 갔다고 생각된다. 극히 새로운 시대의
지층
에서 나오는 거대한 뭍거북, 리베리아 하마, 대형 레무르 등의 반화석은 이런것이 멸절된것이 그렇게 먼 옛날이 아니라는것을 나타낸다. 그중에서 거대한 새 에피오르니스가 자취를 감춘것은 약 2백년 전이라 하며 그 ... ...
지리산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바람 하천에 의해 계속 침식되고 삭박되었으며 아울러 융기작용도 일어나 젊은 고생대
지층
들은 다 씻겨 없어졌고 나이 많은 선캠브리아기 암층들이 현재와 같이 노출되어 있다.또한 침식작용이나 삭박작용은 대보조산운동에 의해 생긴 북동-남서방향의 지질구조나 그후의 단층구조 및 분포 암석의 ... ...
석회동굴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겨울철에는 반대로 바깥의 기류가 동굴속에 스며들어 간다.물론 동굴을 덮고 있는
지층
의 두께가 엷을 때는 동굴속이라 하더라도 밖의 대기상태에 영향을 받기도 한다.따라서 가끔 겨울철 산속에 눈이 내렸을 때 어떤 곳만 눈이 빨리 녹아버린 곳이 있어 그밑에 동굴이있다는 것을 알게 된 경우도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