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집사 길들이려면 집사 말 정도는 알아야옹~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자기 이름을 알아듣는다는 연구결과가 있기 때문이죠. 사이토 아쓰코 일본 소피아대 심리학과 교수팀은 고양이가 자신의 이름과 일반 명사, 그리고 함께 사는 다른 고양이의 이름을 구분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해 2019년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발표했습니다.연구팀은 가정에서 기른 ... ...
- [특집]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지도 있다?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안녕? 난 최고의 지도를 만들기 위해 도전하는 탐험가 문어야. 사람들은 오래전부터 둥근 지구를 평평한 종이에 정확히 나타내기 위해 고민해 왔어. 종이가 나오기 전부터 점토판, 양가죽으로 만든 양피지, 심지어 노랫말로 만든 지도가 전해져 왔지. 지도는 어떻게 만드냐고? 날 따라 와! ▼이어 ... ...
- [특집]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지도가 나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가지며 기존 지도들보다 낮은 점수가 나온 거죠. ●인터뷰정재준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Q양면 세계지도를 어떻게 보셨나요? 이번에 발표된 양면 세계지도는 기존과 다른 아주 특별한 기술로 그려진 건 아니에요. 지구를 절반씩 나눠 그리는 반구도도 이미 과거부터 사용한 방법이라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오로라 발생 과정 밝히다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자세한 원리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었죠. 제임스 쉬뢰데르 미국 위튼칼리지 물리학과 교수팀은 알펜파의 에너지가 오로라를 일으키는 전자로 옮겨가며 속도가 빨라진다고 가정했습니다. 그리고 수학 모형과 실험으로 이를 확인했습니다. 연구팀은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교에 있는 ... ...
- [매스크래프트] #19. 공평하지 않은 승부차기?수학동아 l2021년 07호
- 공평한 방법일까요? 이그나시오 팔라시오스 우에르타 런던정치경제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2003년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에서 발행하는 ‘경제학 연구 리뷰’에 승부차기의 공정함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세계 주요 축구 대회에서 나온 1000번 이상의 페널티킥을 분석한 ... ...
- 현재│산을 가르고 바다와 섞이고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곳곳에 분지 형태의 평탄면이 나타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2009년 박수진 서울대 지리학과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남한강 본류 시작지점(분계선)에서 50km까지의 구간에서는 하상고도가 150m 정도 가파르게 하강한다. 해안에서 약 200km 떨어진 중상류 지점에서는 해수면과 하상고도의 차이가 50m ... ...
- [특집] 암호학이 쌓아 올린 신개념 머니, 중앙은행 디지털화폐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위상을 갖는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다. CBDC에 들어간 블록체인 기술에 숨은 수학과 사회적 영향 등을 살펴본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암호학이 쌓아 올린 신개념 머니, 중앙은행 디지털화폐Bridge. [특집] 한번에 훑는 화폐의 변천사Part1. [특집] 새로운 화폐, CBDC의 등장Part ... ...
- [특집] CBDC가 살아남기 위한 두 가지 조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숨기면서 필요할 때는 열어볼 수 있는 기술도 필요하다. 오현옥 한양대학교 정보시스템학과 교수는 “일반적인 개인의 거래정보는 노출될 필요가 없지만, 불법적인 사용이 의심될 때는 한국은행처럼 자격을 갖춘 참여자는 거래정보를 열어볼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며 “아직 이 단계까지는 ... ...
- [IBS×수학동아] 생명의 비밀 파헤치는 수학자-김재경 교수수학동아 l2021년 07호
- 하려면 우선 생물학 언어를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했습니다. 이를 위해 생물학과 1학년 수업부터 대학원 수업까지 모두 청강하며 시간을 쪼개어 썼습니다. 수학 전공 수업과 병행하려다 보니, 주말평일 할 거 없이 밥 먹는 시간 빼고는 오로지 공부만 해야 했죠. 신기한 건 몸은 힘들었지만 ... ...
- [기획] 인공지능이 사투리를 배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인터뷰 "사투리가 있어야 표준어도 있는 거예요."김덕호(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Q사투리를 지켜야 하는 이유가 있나요? 사투리는 지역의 정서가 깃든 소중한 문화유산이에요. 다양한 갈래로 나뉘고, 옛말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긴 사투리가 사라진다는 건 우리말의 뿌리가 사라지는 ... ...
이전454647484950515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