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심
주의
한계
범위
감시
국경
통제
뉴스
"
경계
"(으)로 총 1,484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페이스X, 장거리 우주관광 우주선 발사 성공...전문 비행사 없이 민간인만 탑승 첫 사례
동아사이언스
l
2021.09.16
고도 88.5km까지 날아오른 후 활강해 내려오는 방식의 우주관광이다. 두 상품 모두 우주의
경계
로 여겨지는 고도 100km에 가까운 준궤도에 오른 후 무중력을 수 분 정도의 짧은 시간 즐기다가 내려온다는 게 공통점이다. 뉴 셰퍼드는 제프 베이조스 등 4명을 태우고 7월 20일 10분 10초간 우주 관광하는 데 ... ...
[이덕환의 과학세상]생활용품에 대한 불안, 소비자가 스스로 깨어나야
2021.09.15
자세도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비윤리적인 기업이나 엉터리 인터넷에 대한
경계
를 강화하는 것이 훨씬 더 현명한 선택일 수 있다. 언제까지나 다른 생물이 만들어놓은 천연물에 의존할 수도 없는 일이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대한화학회 ... ...
고도 575km에서 사흘간 지구 도는 첫 장시간 우주관광 15일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13
6km 상공에서 분리된 다음 고도 88.5km까지 날아오른 후 활강해 내려온다. 둘 모두 우주의
경계
로 여겨지는 고도 100km에 가까운 준궤도에 오른 후 무중력을 수 분 정도의 짧은 시간 즐기다가 내려오는 방식이다. 뉴 셰퍼드는 제프 베이조스 등 4명을 태우고 7월 20일 10분 10초간 우주 관광하는 데 ... ...
태풍 찬투 간접영향 15일까지 제주 최대 500mm 비...16일 남부지방 강타 전망
동아사이언스
l
2021.09.13
공기가 자리잡은 가운데 태풍이 고온다습한 공기를 한반도로 공급하면서 두 공기의
경계
가 제주도와 남해안에 형성됐다. 고온다습한 공기가 상대적으로 무거운 건조한 공기를 만나 위로 떠오르며 급격히 구름을 만들면 많은 비를 뿌리게 된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13일부터 15일까지 비가 내릴 ... ...
[표지로 읽는 과학] 성층권에 수증기 쏟아붓는 거대 뇌우
동아사이언스
l
2021.09.12
강한 뇌우가 발달하면 폭풍은 위로 끊임없이 성장해 나간다. 대류권과 성층권의
경계
면에 도달해 더 이상 자랄 수 없게 되면 윗부분이 납작해지며 모루(대장간에서 뜨거운 금속을 올려놓고 두드리는 쇠로 된 대)와 같은 형태를 갖추게 된다. 하지만 특별히 강한 뇌우가 발생하면 ‘모루 위 권운 ... ...
'로봇개'가 공장 점검도…현대차·보스턴다이내믹스 본격 협업(종합)
연합뉴스
l
2021.09.10
"현대차그룹의 스마트 팩토리 팀과의 협력으로 스팟을 생산시설에 대한 이동식 점검과
경계
보안 솔루션으로 활용할 가능성을 타진 중"이라며 "어떤 새로운 역량과 기능이 미래 로봇 플랫폼에서 큰 가치를 창출할지 함께 모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최근 테슬라가 휴머노이드 로봇 '테슬라봇' ... ...
몸 속 돌아다니며 노폐물만 삼키는 '팩맨' 캡슐 개발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10
통해 물질을 흡수하고 내뱉는다. 이런 과정을 ‘능동수송’이라고 하는데 세포막을
경계
로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물질이 이동한다. 세포는 이런 방식으로 포도당, 아미노산과 같은 영양분을 막 안으로 흡수해 에너지를 저장하고 부산물을 세포 밖으로 배출한다. 지금까지 살아있는 ... ...
[주말N수학] 우주를 관측하고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수학
2021.09.04
물리학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16~17세기만 해도 수학과 물리학, 천문학의
경계
는 명확하지 않았고, 실제 갈릴레이의 직업은 이탈리아 피사대와 파도바대의 수학과 교수였습니다. 갈릴레이는 “자연의 거대한 책은 수학적 기호들로 쓰여졌다”라는 명언을 남기기도 했습니다. 카를 ... ...
[지구는 살아있다] 아름다운 석회동굴은 지하수가 깎아 만든 작품
2021.08.28
녹습니다. 땅속에 흐르는 지하수 때문입니다. 지하수가 흐르는 곳과 흐르지 않는 곳의
경계
를 ‘지하수면’이라 부릅니다. 땅을 파다 보면 물이 나오기 시작하는 깊이가 바로 지하수면입니다. 특히 지하수가 석회암을 녹이면 땅속에 ‘공동’이 생깁니다. 지하수로 채워진 공간입니다. 그런데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신소재 데이터 고속 분석을 위한 인공지능 훈련 방법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8.25
소재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실제 측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 입자 분포 정보, 입자
경계
를 모사해 크기가 작은 소재 데이터의 한계를 해결했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2021 창의융합경진대회’를 개최하고 ‘탁구 로봇 콘테스트’와 ‘캠퍼스 에너지관리시스템(EMS) 개발 콘테스트’를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