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267건 검색되었습니다.
손 하나에 엄지 둘 로봇 상용화 합격점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있다. 로봇이 움직이는 속도는 센서를 누르는 힘에 비례해 높아진다. 연구 초기 로봇을
뇌
나 척수에 전극을 심어 제어하는 방법도 거론됐지만 윤리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발가락 조작 방식을 고수했다. 당시 연구에 참여한 타마르 마킨 케임브리지대 교수는 “세번째 엄지손가락 로봇은 우리 ... ...
자율주행차 돌발사고 줄일까…과학자들 '하이브리드 시각 시스템' 내놨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센서와 카메라의 관점에서 서로 다르게 접근한 것이다. 먼저 루핑 시 중국 칭화대
뇌
컴퓨팅 연구센터(CBICR) 교수팀은 인간의 시각 방식을 모방해 정확도는 낮지만 빠르게 감지하는 기능과 느리지만 정확하게 해석하는 기능을 합친 하이브리드 비전 칩 '티안무크(Tianmouc)'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인간의 ... ...
푹푹 찌는 여름, 수분 섭취 적정해야 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외부로 배출하기 때문이다. 수분량이 줄면 자연스럽게 혈액의 양도 줄고 심장이나
뇌
로 공급되는 혈류도 약해진다. 우종신 경희대병원 심장혈관센터 교수는 “어지럼증을 느낀다면 단순히 ‘더위를 먹었다’고 생각하기보다는 혈압변화에 따른 증상의 일부가 아닌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 ...
말라리아·소아마비 연구 지평 넓힌 여성 과학자 5명 ‘로레알-유네스코 세계여성과학자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5.29
교수가 수상했다. 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에선 이온과 당의 세포막 연구를 통해
뇌
전증, 부정맥 등 질병 치료에 해법을 제시한 니엥 옌 중국 칭화대 구조생물학 교수가 선정됐다. 유럽 지역의 수상자는 세포핵 내에서 DNA와 단백질의 결합 방법에 대한 연구로 공을 세운 주느비에브 알무즈니 프랑스 ... ...
[사이언스게시판] 기초과학연구원 고교생
뇌
과학 캠프(HiBST) 참가자 모집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5.28
28일 밝혔다. HiBST는 분자생물학·전기생리학·광유전학·동물행동학 등 다양한
뇌
과학 분야 이론과 실험·세미나·랩미팅·저널클럽 등 실제 연구 과정 전반을 체험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이번 캠프는 전국 고등학생 대상으로 12명을 선발한다. 참가비는 무료다. ■ 한국원자력연구원이 2 ... ...
지구 온난화가 인간
뇌
크기 줄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6
기후 변화와 인간
뇌
크기가 상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지구 온도가 올라가면 사람의
뇌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는 연구결 ... 방식으로 진화했다는 것이다. BBC는 이번 발견은 오늘날 빠르게 따뜻해지는 지구로 인해 인간의
뇌
가 더욱 작아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자폐, 양극성 장애 비밀 품은 세포·유전자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6
사이언스 제공 자폐 스펙트럼 장애나 양극성 장애 등 정신 질환의 유전적 원인을 해독하는 것은 인간
뇌
구조의 복잡성 때문에 어려운 일이다 ... 사이언스 수석 편집자는 "컨소시엄의 방대한 데이터 수집은 다른 연구자들이 인간
뇌
의 더 많은 비밀을 밝히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 ...
[과학사극장] 파블로프는 개 실험에 종소리를 쓰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24.05.25
널리 퍼졌다. 서구에 소개된 소련의 영화 '
뇌
의 역학'도 오해 확산에 한몫 거들었다. '
뇌
의 역학'은 1926년 소련에서 만들어진 대중 과학 무성영화로 파블로프의 실험을 소개하면서 종소리에 놀란 개의 반응을 촬영한 장면이 있었다. 소리가 들리지 않는 무성영화의 한계로 버저나 메트로놈의 소리를 ... ...
뇌
신경망 본딴 소자로 만든 차세대 '전자 코'
동아사이언스
l
2024.05.24
높은 정확도로 구별해냈다. 박태현 교수는 "냄새 물질 고유의 패턴을 인간의
뇌
를 모사한 뉴로모픽 소자가 학습하고 추론한다는 점에서 인간 후각과 매우 유사하다"며 "후각을 온-디바이스(On-device)화 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온-디바이스는 인터넷 연결 없이 기기 자체적으로 정보를 ... ...
흑과 백을 더욱 분명하게 구분하는 이유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4
사물을 식별하는 법을 배우는데 이때 색 정보가 부족한 것이 오히려 발달 중인
뇌
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2022년 수행한 연구에서 아기가 자궁에서 듣는 것과 유사한 저주파 소리에 일찍 노출되면 청각 능력이 향상된다는 사실을 밝혀내기도 했다. 연구팀은 "신생아 시기에 겪은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