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방
쌕
후위
핸드백
100
전역백
back
뉴스
"
백
"(으)로 총 1,07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서양 은’으로 둔갑한 알루미늄
2020.02.05
있다. 옛 추억을 떠올리게 해주는 양은 냄비를 애써 멀리할 이유는 없다는 뜻이다.
백
과사전도 바로 잡아야 한다. 우리가 섭취하는 거의 모든 식품에는 미량의 알루미늄이 들어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대한화학회 탄소문화원 ... ...
신종코로나 차단에 꼭 보건용 마스크?…"일반 마스크도 괜찮아"
연합뉴스
l
2020.02.04
운영하면서 유통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신종코로나가 말 그대로 신종 감염병이기에
백
신도, 치료제도 없는 상황에서 마스크 착용은 손 씻기와 더불어 개인적으로 신종코로나로부터 자신을 지킬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자구책이다. 이는 신종코로나의 감염경로를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 ...
[인류와 질병] 공생 혹은 공멸···감염균의 진화
2020.02.0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잠시 호들갑을 떨다가 사라질 것인가? 그러기에는 이미 사망자가
백
명이 넘었다. 그렇지 않다면 세계적인 대유행으로 이어질 것인가? 알 수 없는 일이다. 신종 감염균의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인간의 영역을 넘는 일인지도 모른다. 일단 터무니없는 예측이라는 ... ...
우한폐렴 감시대상 오염지역 '우한'→'중국본토 전체' 변경(종합)
연합뉴스
l
2020.01.26
(제주=연합뉴스)
백
나용 기자 = 23일 오전 제주국제공항 국제선 입국장에서 질병관리본부 국립제주검역소 직원들이 열화상 카메라로 중국 입국자들의 건강상태질문서를 확인하고 있다. 2020.1.23 dragon.me@yna.co.kr 질병관리본부가 25일 '우한 폐렴' 의심환자를 공항 검역단계에서 최대한 파악하기 ... ...
[팩트체크]곡물로 만든 고기는 진짜 고기 맛날까
과학동아
l
2020.01.25
민 대표는 “국내 곡물 재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콩을 제외한 곡물에서 단
백
질을 추출해 식물 고기를 만들었다”며 “앞으로 소고기의 맛과 식감에 더욱 비슷해지도록 대체육류 기술을 발전시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③ 맛 없어도 대체육류 먹을까? 미국의 비영리기관인 ... ...
[인류와 질병] 자연이 인간 면역계에 좋은 과학적인 이유
2020.01.18
‘무조건 자연으로 돌아가라’를 외치는 안아키식의 접근은 절대 피해야 한다. 특히
백
신을 악마화하는 태도는 정말 비과학적이다. 자연은 그 자체로 좋은 것도 아니고, 나쁜 것도 아니다. 이를 현명하게 구분하여 이용하려면 항상 신중한 태도로 진화의학 연구의 결과를 지켜보는 것이 필요하다. ... ...
[주말N수학]"좋은 문제 찾는 게 문제"
2020.01.18
자녀가 죽기 전에, ab가 초월수라는 것을 보이는 문제(7번 문제)는 해결하는 데 몇
백
년이 걸릴지도 모릅니다.” 힐베르트에게는 야속하게도 초월수 문제는 1930년대에 증명됐고,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1995년에 해결됐다. 리만 가설은 아직도 악명을 떨치고 있다. 문제를 많이 읽고 볼수록 좋은 ... ...
[주말 고고학산책]강인한 전사 바이킹은 왜 그린란드를 버렸나
2020.01.18
유적에서 발견된 뼈만으로 바이킹의 식단을 알아낼 수 있었습니다. 뼈의 콜라겐 단
백
질에 함유된 동위원소의 비율을 알면 가능합니다. 우리가 먹은 음식의 원소는 몸에 흡수되어 뼈에 쌓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먹는 음식의 종류에 따라 흡수하는 동위원소의 비율이 조금씩 다릅니다. 예를 들어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 논문도 변해야 한다
2020.01.17
언젠가부터 오직 논문으로만 과학자의 질을 평가하려는 관행이 자리잡았다. 하지만 불과
백
몇십년전 《종의 기원》을 출판했던 찰스 다윈은 논문이 아니라 책으로 인정받은 과학자였다. 과학자들이 맹신하는 현재의 논문출판은 350년 이상 된 낡은 시스템이다. 과학논문은 분야마다 조금씩 ... ...
빛 색깔 바꾸는 '제3의 방법' 증명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1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제3의 방법에 대한 실험적 증거를 찾기 위해 머리카락보다
백
배 가느다란 나노실린더에 적외선 영역의 빛을 가두고 그 모습을 관찰했다. 관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나노실린더 구조와 크기를 최적화하고 빛을 도넛 모양으로 만들어 파장변환이 극명하게 나타나도록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