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니
indonesia
인도네시아공화국
뉴스
"
인도네시아
"(으)로 총 516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개구리 피부 단백질로 백신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07.13
호주 에이즈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콘돔 캠페인을 벌이기도 했다. 하지만 이 캠페인은
인도네시아
의 종교와 문화적인 장벽에 막히고 말았다. 이와 달리 호주에서는 에이즈 예방 캠페인이 성공을 거뒀다. 호주 정부가 마약 환자에게 마약을 주사할 때 쓰는 주사기와 주삿바늘을 돌려쓰지 말 ... ...
오늘 인사청문회 최양희 내정자, 핵심 쟁점은?
과학동아
l
2014.07.06
22회 중 7회를 부부가 동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국가는 프랑스와 태국 2회, 미국 홍콩
인도네시아
가 각 1회였다. 특히 출입국기록에 따르면 2012년 12월 16~31일 프랑스에 체류하고 있는 기간 동안 12월 26~31일 해외출장을 내고 항공료를 수령한 기록도 있었다. 최 후보자는 “프랑스 텔레콤 ... ...
저품질 석탄, 사탕수수 만나 고급 석탄 된다
과학동아
l
2014.06.17
간단한 제조공정을 거쳐 저급탄의 품질을 향상시켰다. 500메가와트(MW)를 발전하려면
인도네시아
저급탄의 경우 시간당 296톤을 태워야 하지만 하이브리드 석탄의 경우 197톤만으로도 가능해 이산화탄소 발생을 30% 이상 줄일 수 있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최 박사는 “국내 화력발전소에 ... ...
문어 vs. 판다, 동물 배틀 승자는?
과학동아
l
2014.06.09
문어의 우수한 학습능력은 잘 알려졌다. 줄리안 핀 호주 빅토리아박물관 박사팀은
인도네시아
발리섬과 술라웨시섬 북쪽 바다에 서식하는 핏줄문어(Amphioctopus marginatus)가 코코넛 껍데기를 잠자리로 사용하기 시작한 사실을 발견해 이를 2009년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발표하기도 했다. 판다의 ... ...
명화(名畵)는 대기오염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4.03.30
화가 에드가 드가가 1885년 그린 ‘승마’ 속 하늘이 유난히 붉은 이유도 1883년 발생한
인도네시아
크라카토아 화산 폭발과 무관하지 않다고 연구진은 주장했다. 지는 태양을 마주한 여인 (카스파르 다비트 프리드리히) - 위키피디아 제공 미술작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예술 이외의 ... ...
"두 아들 잃은 슬픔 수학이 치유해줬죠"
수학동아
l
2014.03.10
명의 자녀를 두었으나, 장남인 폴이 1996년 자동차 사고로 죽었고 둘째아들 닉이 2003년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익사했다. 그는 “아들 둘을 잃고 참을 수 없는 매우 힘든 시간을 보냈다. 결국 수학으로 잊어야겠다고 생각해 수학 연구에 몰두했다. 수학이 나를 구했다”고 말했다. 한 번도 겪기 힘든 참척 ... ...
적외선으로 찍은 아름다운 지구의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14.02.27
때문에 적외선 영상에서 밝게 나타난다. 그림 2.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그림 2는
인도네시아
시나붕 화산을 밤에 찍은 것이다. 화산 분출물로 뜨거워진 부분이 밝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3은 소형영상분광카메라로 찍은 것인데, 왼쪽은 바다의 깊이 분포를, 오른쪽은 육지 ... ...
[글로벌 마켓 뷰]亞신흥국 대기오염 번질수록… 클린에너지 사업도 무럭무럭
동아일보
l
2014.02.20
대규모 농장인 플랜테이션 조성을 위해 수확이 끝난 경작지를 태울 때 발생하는 연무인
인도네시아
발(發) ‘헤이즈(haze)’는 인접국인 싱가포르나 말레이시아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 이처럼 아시아 대부분 국가에서 대기오염을 비롯한 환경 문제가 심해지고 있지만 개선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 ...
화산 폭발시 가장 위험한 것은 용암? 아니 ‘잿빛 폭풍’
동아사이언스
l
2014.02.19
고대 도시 폼페이의 마지막 날을 담은 영화가 개봉을 앞두고 있다. 우연의 일치인지
인도네시아
에서는 이달 들어 두 차례나 화산이 폭발해 수십 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보통 ‘화산 폭발’하면 불붙은 채 날아다니는 돌덩어리와 이글이글 타오르는 용암을 연상한다. 이번에 ... ...
지난 13년간 한반도 10배 면적의 숲이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13.12.12
1인 80만km2에 불과했다. 특히 ‘숲의 보고’로 꼽히는 열대지방 숲의 벌채가 심각했다.
인도네시아
와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에서 숲 손실이 매년 늘어나는 추세였다. 브라질은 비록 줄어드는 추세긴 했지만, 여전히 세계 최고 수준의 벌채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숲 감소량 1, 2위국은 러시아와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