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하
전가
하전
예하
성하
뉴스
"
전하
"(으)로 총 524건 검색되었습니다.
두 얼굴의 양자역학
2015.01.04
깜짝할 사이에 전자가 원자핵에 들러 붙어 버린다. 궤도운동은 가속운동인데, 가속하는
전하
는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며 에너지를 잃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모든 원자는 순식간에 사라져 버린다는 얘기인데. 헐! 어떻게 된 일일까? 이런 일이 실제로 일어나지 않는 이유를 전자의 파동성으로 이해할 ... ...
‘궁극의 디스플레이’ 단점, 기술로 극~복~
2014.12.22
양자점을 둘러싼 껍질층(shell)의 크기를 조절해 다양한 두께를 가진 양자점을 만들고
전하
량에 따라 양자점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분석했다. 그 결과 양자점 사이에 생기는 에너지 전달 현상 때문에 양자점 발광소자의 효율이 떨어진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아냈다. 연구팀이 개발한 적색 양자점 ... ...
잘 휘면서 정보 오래 보관하는 유기메모리 소자 개발
2014.12.21
껍질로 감싸는 방식으로 정보저장능력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나노실리카 껍질이
전하
를 안정적으로 가두는 절연체층 역할을 한 덕분이다. 이렇게 만든 메모리 소자는 껍질이 없는 메모리 소자보다 정보를 4배나 더 오래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복잡했던 유기메모리 소자의 제조 ... ...
빛만큼 빠른
전하
움직임 첫 관측
2014.11.25
다양하게 바꿀 때 전화의 속도가 변하는 정도를 관측하는 데도 성공했다. 안 교수는 “
전하
의 속도와 소자 내 이동시간을 정확히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전자기기의 속도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리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회(ACS)에서 발행하는 나노과학 분야 전문지 ... ...
플라스틱 반도체 개발 성공
2014.10.22
제공 반도체는 전류를 흐르게 하는 입자가 양
전하
인지, 음
전하
인지에 따라 각각 p형과 n형으로 나뉘는데, 유기 반도체 분야에서는 p형 연구가 많이 진행됐다. 하지만 전자소자로 동작하려면 p형과 n형을 접합해야 하기 때문에 n형 연구가 필수적이었다. 연구진은 유기 반도체 재료로 주목받고 있는 ... ...
이황화몰리브덴 차곡차곡 4층 쌓았더니
2014.10.21
개발로 이어지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음
전하
(-)를 띠는 이황화몰리브덴과 양
전하
(+)를 띠는 고분자 전해질을 번갈아 자기조립하는 방식으로 여러 층으로 적층해 수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 두께에서도 빛을 내는 나노 박막을 제작했다. 실제로 이황화몰리브덴 분자를 네 층으로 쌓자 ... ...
“급속 충·방전이 배터리 수명 단축 시키는 것 아냐”
2014.09.15
수축하기를 반복하는 현상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실제로 배터리를 충
전하
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전극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 지는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진이 실험에 이용한 동전 모양 배터리. 검은색 둥근 물체가 양전극이다. - SLAC National Accelerator Laboratory 제공 ... ...
Happy Birthday, 보이저 1호!
2014.09.05
태양계를 벗어났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보이저 1호가 보낸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하
입자의 양이 급격히 증가했다는 점에서 태양계를 벗어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지금도 보이저 1호는 시간당 6만 km씩 지구에서 멀어지고 있다. 보이저 1호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활용한 전력공급장비 덕분에 ... ...
단점 투성이 유기반도체의 화려한 변신
2014.09.01
방법을 개발해 얇은 유기반도체 박막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 박막에서는 기존보다
전하
가 4배나 더 많이 움직였다. 또 연구진은 수백 나노미터(nm, 1nm=10억분의 1m) 크기의 작은 구멍이 많이 뚫려 있는 박막 구조를 만드는 데도 성공했다. 이를 화학 센서로 활용하면 감지하고자 하는 물질이 구멍 ... ...
정전기로 분자들 쫙 줄세웠더니…
과학동아
l
2014.06.24
기존의 열처리 방법을 포기하고 정전기를 이용해 유기분자의 규칙적 배열을 시도한 결과
전하
이동 속도가 기존 소자보다 최대 100배까지 향상된다는 사실을 규명해냈다. 이 교수는 “기존의 유기분자 정렬 방법을 뛰어넘는 혁신적인 정렬 방법을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상온에서도 고성능의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