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청
지원
응모
신입
적용
이용
뉴스
"
출원
"(으)로 총 55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가 제안한 OLED조명 기술 ‘국제표준’ 됐다
2014.11.11
ETRI는 OLED 조명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사진은 ETRI가 개발한 OLED 외부광 추출 필름의 모습. - 한국전자 통신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 등 다양한 기술적 성과도 함께 거뒀다. 국내외 12편의 논문과 국내외 29편의 특허를
출원
했으며 4건의 기술을 기업에 이전했다. ... ...
미래형 원자로에 쓸 핵연료 피복, 국내 연구진이 개발
2014.11.05
말했다. 원자력연은 FC92에 대한 국내 물질 특허를 획득했으며 국외 특허도
출원
했다. 포스코특수강 등 국내기업과 기술 협력을 실시해 국제 시장으로의 수출 가능성도 열렸다. ... ...
지층 파괴 없이 가스하이드레이트 생산한다
2014.10.27
이흔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해저 지층을 파괴하지 않고 가스하이드레이트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그 ...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KoFAST-2’라는 이름으로 국내외에 특허등록 및
출원
했으며, ‘사이언티픽 리포트’ 14일자에 실렸다 ... ...
“손목에 스마트 밴드 차니 3㎏이 쑥 빠졌네~”
2014.10.05
삽입할 수 있는 당뇨 측정 센서와 미세관 등 관련 기술을 개발해 국내 특허를
출원
했다. 당 수치를 확인하기 위해 피를 뽑을 필요가 없게 된 것이다. 향후 현재 개발 중인 렌즈 안에 통신 장치를 내장하는 기술만 나오면 당 수치를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ICT융합 의료시스템, ... ...
국민 아이디어 1년 모으니 황금알 낳는 아이디어 ‘1만 3000건’
2014.09.26
밝혔다. ●불빛공 하나로 월평균 2000만 원 매출 현재 창조경제타운을 통해 특허를
출원
하거나 시제품 제작에 들어가는 등 아이디어를 사업으로 발전시킨 성공 사례는 1100건을 넘어섰다. 실제 창업에 성공한 사례도 속속 나오고 있다. 원명희 씨는 어디서든 빛을 내는 인테리어 소품 ‘불빛공 ... ...
쌈배추에 개똥쑥 추출물 계속 뿌렸더니…
2014.09.17
안전과 품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진은 이 물질에 대한 국내 특허
출원
을 마쳤으며, 현장에서 다양한 작물에 적용하는 시험을 거친 뒤 기술을 이전할 계획이다. ... ...
보습력 높고 잘 뭉치는 ‘명품’ 흙으로 산사태 복원
2014.08.25
토사구간 현장 적용 60일 경과 후 모습. 생태복원 녹화기술을 적용한 구간(왼쪽에서 첫 번째)이 기존 공법이 다른 공법에 비해 녹화속도 가 ... 주변 환경을 복구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지질연은 이 기술의 특허
출원
을 완료했으며 산수조경건설을 통해 상용화할 계획이다. ... ...
연구논문 2개에 동시에 이름 올린 중앙대 교수
과학동아
l
2014.07.30
Advanced Materials)' 온라인판 8일자에 실렸으며, 원료물질 등에 대해 3건의 국내특허를
출원
했다. ●정대성 중앙대 교수, 연구논문 2편에 동시에 이름 올려 한편 두 연구팀에서 개발한 플라스틱이 실제 반도체로 쓰일 수 있게 만든 연구팀이 있다. 정대성 중앙대 화학공학과 교수팀은 두 플라스틱 ... ...
OLED TV, 값싸게 대량생산 가능해졌다
과학동아
l
2014.07.28
종이처럼 얇고 자유롭게 휘어지는 TV나 컴퓨터 모니터를 만들 수 있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를 값싸게 대량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국내 기업 ... 원) 규모로 커질 전망이다. 연구팀은 기술 및 장비와 관련해 국내외에 16건의 특허를
출원
했다. ... ...
담뱃잎에서 찾은 치매 치료제 임상 돌입
과학동아
l
2014.07.28
계약금 20억 원과 총매출액 6%를 받는 조건이다. 국내는 물론 유럽과 미국 등에서 특허
출원
을 마친 상태다. 김 교수는 “기존 치료제는 치매의 진행을 늦추는 것이 전부였지만 이번 신약은 신경세포를 회복시킬 수 있는 만큼 치료가 가능하다”며 “기술이전을 통해 상용화해 치매 치료제 10조 원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