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출생
출산
낳음
산출
생산
기원
시작
뉴스
"
탄생
"(으)로 총 2,015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가 무거워졌다' 데이터 무게의 진실
과학동아
l
2021.04.03
개발되기도 전입니다. 비과학적이었던 표현이 SSD의 개발과 함께 과학적인 표현으로 재
탄생
한 셈입니다. 물론 전자의 무게를 느낄 수 있는 사람에게만 해당하지만요. 그렇다면 정말로 앞으로 지구 무게의 대부분을 데이터가 차지하게 될까요. 다행스럽게도 그런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됩니다. 황 ... ...
[우주산업 리포트] 탑재능력 키우고 재활용도 쓴다 …美저가 발사서비스 맞선 러시아의 새 전략
2021.03.30
마무리됐기 때문이다. 소유스 로켓은 1966년 미국과 소련의 군비경쟁의 부산물로
탄생
했다. 이날 발사는 러시아가 그런 과거의 정체성에서 완전히 벗어나 순수 상업 발사 시장에 도전장을 내민 역사적인 첫 시험대로 평가받고 있다. 한국의 차세대중형위성 1호를 포함해 이날 ... ...
자손 낳는 인공생명체 세계 첫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1.03.30
유지할 뿐 아니라 자손 번식까지 가능한 진정한 의미의 인공생명체가 세계 최초로
탄생
했다. 미국 크레이그 벤터 연구소는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매사추세츠공대(MIT) 비트및원자센터와 공동으로 스스로 성장한 뒤 균일하게 분열하는 인공생명체 ‘JCVI-syn3A’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실험실에서
탄생
한 태아의 씨앗 '배반포'
동아사이언스
l
2021.03.27
국제학술지 ‘네이처’ 25일 표지 기사로 ‘인간 배반포 유사체’ 연구가 선정됐다. 네이처 제공 사람의 생식세포인 난자와 정자가 만나면 수정란이 만들어진다. 수정란은 자궁에 착상하기 전 약 수 백개의 세포로 분열해 공 모양의 세포 덩어리인 '배반포'가 된다. 배반포는 신체를 구성하는 각종 ... ...
전기차 핵심 리튬이온전지, 30년간 가격 97%까지 떨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핵심 기술 대부분에도 리튬이온전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리튬이온전지는 이들 기술의
탄생
을 도운 일등공신으로 인정받아 2019년에는 리튬이온전지를 처음 개발한 과학자들이 노벨화학상도 받았다. 제시카 트랜식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데이터·시스템·사회연구소 교수는 미카 지글러 ... ...
‘빅뱅 머신’ LHC, 10년 간 힉스 포함 59개 새 입자 발견…국내 중소기업 역할 톡톡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속 장치에서 빛의 속도로 달려간 양성자(수소이온)들을 정면충돌시켜 137억 년 전 우주를
탄생
시킨 빅뱅 직후를 재현해왔다. 그 과정에서 만물에 질량을 부여해 '신(神)의 입자'로 불렸지만 실체를 규명하지 못하던 '힉스' 입자를 비롯해 59개에 이르는 새로운 입자를 발견했다. CERN은 이달 ... ...
최고급 시계의
탄생
팝뉴스
l
2021.03.19
설계하는 것부터 완성품이 나오기까지의 과정을 아주 아름답게 담아내고 있다. 그렇게
탄생
한 시계는 예술 작품이라고 해도 될 만큼 멋지다. 이쯤 되면 ‘과연 저 시계는 가격이 얼마나 될까?’ 궁금해진다. 검색결과 대략 30억 원 정도라고 한다. 비싸도 너무 비싸다는 사람도 있지만, 예술 ... ...
올해 아벨상에 수학과 컴퓨터 과학 결합한 로바스·위그더슨
2021.03.18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아벨상은 노르웨이 수학자 닐스 헨리크 아벨의
탄생
200주년을 기리기 위해 노르웨이 정부가 제정해 2003년부터 수여하고 있다. 4년에 한 번씩 2~4명의 수상자에게 상을 주며 나이 제한이 없고 수상자의 연구 분야는 순수수학과 응용수학을 아우른다. 상금으로는 75 ... ...
연간 50억 번 내리친 번개, 원시 생명체
탄생
도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연구팀은 기후 모델링을 이용해 지구가 처음 형성되던 약 45억 년 전부터 생명체가 처음
탄생
하던 약 35억 년 전까지는 번개가 연평균 10억~50억 번 발생했을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헤스 연구원은 “번개가 생명의 기원에 중대한 길을 열었다”고 말했다. 우주생물학자인 힐레어리 하트넷 미국 ... ...
시베리아 바이칼 호수 1.3km 밑엔 세계 최대 수중 ‘유령입자’ 검출기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5
태양에서 오는 중성미자보다도 1000억 배가량 많다. 최근에는 우리은하 내 펄사나 별
탄생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대적으로 낮은 에너지의 중성미자를 관측하기 위해 일부 과학자들을 중심으로 한국중성미자관측소(KNO·Korean Neutrino Observatory)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KNO의 핵심 멤버인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