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세
조류
진행
경향
유입
유통
형국
뉴스
"
흐름
"(으)로 총 1,64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전자의 발견
2021.09.02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동아사이언스DB 음극선을 음의 전기를 띤 어떤 작은 입자들의
흐름
이라고 생각하면 이 입자가 전기장과 자기장에 의해서 휘어지는 정도를 뉴턴역학과 전자기학을 이용해 쉽게 기술할 수 있다. 보통 전기장이 작용하는 구간은 음극선이 진행하는 전체 경로에서 굉장히 ... ...
[팩트체크]립밤이 코로나 확산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9
침의 막이 얇아지다가 실 모양으로 갈라지는데 이때 목구멍에서 올라오는 공기의
흐름
에 의해 분리돼 밖으로 날아간다고 소개했다. 칼럼의 필자는 이어 “입술보호제인 립밤이 침방울의 형성을 4분의 1이나 줄인다”라는 마누 아브카리앙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연구원팀의 연구 결과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글쓰기 세미나에서 배운 삶의 지혜
2021.08.28
편이다. 사람마다 개인차가 있겠지만 분량이 조금 있는 글을 쓰기 위해서는 생각의
흐름
이 끊기지 않는 것이 도움이 되므로 일주일에 몇 시간 정도를 글 쓰는 시간으로 정해두는 것이 좋다고 한다. ②피곤해질 때 하지만 집중하기 좋은 시간을 골랐다고 해도 글을 쓴다고 머리를 굴리다 보면 ... ...
[인터뷰]"시민이 행복하지 않은 도시는 사라진다" 뇌 공학자가 그린 도시의 미래
과학동아
l
2021.08.28
유지하면서 이런 도시가 지역에 여럿 공생하도록 하는 게 앞으로 도시가 가야 할 큰
흐름
이 될 것이다. 스마트시티 세종 국가시범도시 주요 혁신서비스. 세종국가시험도시사업단 제공 Q. 코로나19라는 감염병 유행까지 겹쳤다. 이동은 감염 확산 위험을 높일 수 있다. 도시는 사라지지 않아도 ... ...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4) 우주발사체의 강력한 불꽃 지피는 고속 회전날개를 만들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7
현상이 발생한다”며 “날개 주변에 모여든 기포는 산화제가 연소실로 향하는 배관 내
흐름
을 방해한다”고 설명했다. 이로 인해 “공급되는 산화제 양이 줄게 되고 자연스레 압력이 줄어 엔진 추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고 덧붙였다. 캐비테이션으로 인해 떨어지는 압력을 높이기 위해 ... ...
전기전도성·두께·신축성 세계 최고 수준 나노박막 전극 국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8.27
차곡차곡 정렬된다. 마랑고니
흐름
은 국부적인 표면장력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유체의
흐름
을 말한다. 계면활성제를 수조 중앙에 소량 넣으면 가장자리에 정렬된 은 나노선들이 압력을 받아 더 밀착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용매가 증발하면 얇은 고무막이 남으며 은 나노선들이 나노박막에 ... ...
코로나 바이러스 전파 막기 위한 교실 환기의 조건
동아사이언스
l
2021.08.23
높이까지 올라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약 창문 온도를 히터로 먼저 높이면 이런 공기
흐름
이 생기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릭스먼 교수는 “마스크 착용과 구조를 고려한 환기 효율을 높여 학생이 호흡하는 위치의 에어로졸 농도를 최소화하는 것이 교실 환기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방사능의 발견
2021.08.19
더 짧다.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바로 이들 방사선이다. 베타선, 즉 전자의
흐름
은 얇은 금속판으로도 막을 수 있다. 헬륨 원자핵은 전자보다 수천 배 더 무겁고 더 크다. 그래서 종이 한 장 정도로도 막을 수 있다. 반면 감마선은 투과력이 아주 좋아서 두꺼운 콘크리트나 납덩어리가 ... ...
코로나 비말 감염 '폐 손상', 접촉 감염보다 훨씬 심하다
연합뉴스
l
2021.08.18
중요한 변수로 작용했다. 감염 개체(햄스터)로부터 비 감염 개체 쪽으로 향하던 공기
흐름
을 반대쪽으로 돌리면 바이러스의 전염 효율성이 크게 떨어졌다. 이번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신종 코로나의 실내 공기 전염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춘 현행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방역 ... ...
플라즈마 난류와 밀폐 이론 전문가 함택수 서울대 교수 '찬드라세카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8.17
난류와 밀폐 연구의 핵심인 선회운동론 전산모사 코드의 기틀이 됐다. 함 교수는
흐름
층밀림을 통한 난류 억제를 이론으로 예측하고 실험과 비교해 수송장벽을 만드는 원리에 대한 이해에 공헌했다. 이는 한국형초전도핵융합장치(KSTAR)에서도 1억도 이상의 고성능 플라즈마를 얻는 데 활용됐다.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