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지가지
갖가지
제반
모든것
각반
각종
스페셜
"
여러가지
"(으)로 총 1,09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열역학과 엔트로피
2020.06.25
산업혁명으로 전성기를 누린 영국 빅토리아 시대의 상징물 타워브릿지. 위키피디아 제공 19세기 영국의 빅토리아 전성기를 이끈 원동력 중의 하나를 꼽으라면 이전 18세기의 산업혁명을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산업혁명 하면 거의 모든 사람들이 반사적으로 증기기관과 제임스 와트를 떠올린다. 과 ... ...
"우리의 실패는 '집단면역' 아니라 어르신들 보호 못한 것" 스웨덴에서 배우는 교훈
동아사이언스
l
2020.06.24
가짜뉴스로 집단면역 정책 실패 국가로 오명 의료진 39% 육아로 못나올 것 우려해 학교 유치원 문 안닫아 집단면역보다 고령환자 치명률 관리 신경 못쓴 게 진짜 실패 실패 교훈삼아 GDP 1% 코로나19 치료제 백신 개발 투자 야곱 할그렌 주한스웨덴대사. 연합뉴스 제공 미국 존스홉킨스대가 운영 ... ...
[인간·공감·AI]④ 눈에 안 띄는 교통 표지판 AI로 퇴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3
김승준 광주과학기술원(GIST) 융합기술학제학부 교수팀은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HCI)과 인공지능(AI), 그리고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을 연구하고 있다. 이 기술을 집대성해 도심재생에 필요한 공공시설물 및 표지판 디자인 정량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있다. VR을 이용해 실제와 비슷하게 구축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강미생물이 대장에 진출할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6.23
코로나19로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되면서 입 냄새로 고민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입 냄새의 90%는 혀나 치아, 잇몸에 존재하는 막인 플라크(바이오필름)에 거주하는 구강미생물이 먹이(음식물 찌꺼기나 죽은 세포)를 대사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휘발성 분자 때문이다. 위키피디아 제공 코로나19가 장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결과는 짧지만 과정은 길다
2020.06.20
잘 못한다는 생각이 들면 바로 도망치곤 했다. 왜 그랬을까? 심리학자들은 사람들이
여러가지
수행을 할 때 과정을 중시하는지 아니면 결과를 중시하는지, 또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얼마나 큰지에 따라 목표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눈다. 하나는 성과목표(performance goal)로 수행의 결과와 실패하지 ... ...
"인류와 소통 가능한 외계문명 최소 36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16
외계행성 상상도. 우리은하에는 서로 통신이 가능한 외계문명이 30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구 외의 외계 생명체에 대한 통찰력을 제시한 연구결과로 관심을 끈다. 크리스토퍼 콘슬라이스 영국 노팅엄대 천체물리학 교수는 “수천년에 걸쳐 질문이 제기됐지만 아직 명확한 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소는 진정한 ‘그린연료’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20.06.16
2016년 12월 미국의 니콜라는 수소트럭 ‘니콜라 원’을 공개했고 2018년 맥주회사 앤하이저부시로부터 최대 800대 선주문을 받아 2020년부터 공급하기로 했다. 그러나 양산 체제를 갖추는 게 늦어져 2023년에야 출시될 것으로 보인다. 니콜라 제공 지난주 신문 경제면에서 흥미로운 기사를 봤다. 2018년 11 ... ...
코로나19가 드러낸 시대의 불평등
동아사이언스
l
2020.06.16
미국의 한 쇼핑몰 매장에서 시민들이 생필품을 사재기 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중국에서 시작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이 반년 가까이 전 세계를 휩쓸고 있다. 전례 없는 미지의 바이러스가 무차별적으로 확산하면서 그 동안 감춰왔던 인류 사회의 ‘민낯’도 함께 드러 ... ...
감염학회장 "렘데시비르 코로나 사망률 줄이는데는 별 도움 안되는 약"
동아사이언스
l
2020.06.14
실망스러웠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의 지속시간과 치명률은 크게 줄지 않았고
여러가지
심각한 부작용도 발생해 임상 시험을 조기에 종료했다”고 말했다. 유 회장이 언급한 임상시험은 환자 237명을 대상으로 했다. 158명에게 렘데시비르를 투약하고, 나머지 79명은 가짜 약을 투약 받았다. ... ...
[프리미엄 리포트]돌돌 말고 피부에 붙이는 자체발광 '퀀텀닷'
과학동아
l
2020.06.13
U S Army RDECOM/위키피디아 제공 퀀텀닷은 수㎚(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크기의 아주 작은 반도체 입자를 뜻하는 용어다. 1982년 러시아 과학자들이 처음 발견한 뒤 1993년 마크 캐스트너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가 처음 합성했다. 이어 삼성전자가 친환경 퀀텀닷 소자를 활용한 첫 번째 상품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