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맞은편
월편
d라이브러리
"
건너편
"(으)로 총 75건 검색되었습니다.
피지 사탕수수 기행
과학동아
l
200911
뻗은 나무줄기는 굵기도 전봇대와 비슷할 뿐 아니라 색깔도 시멘트 회색빛이다.야자수
건너편
에 폭이 2~3m인 인도가 있고 그 다음에 철로가 나란히 뻗어 있다. 마침 사탕수수 묶음을 실은 운반차 수십 대를 매달고 서 있는 기관차가 보인다. 놀이공원에 있는, 실물을 반으로 축소한 기차 같다. 기관차 ... ...
2. 모양 속에 안전 있다
수학동아
l
200910
홀수인 도형을 이용하면 폭이 똑같은 도형을 만들 수 있다. 각 도형의 꼭지점을 중심으로
건너편
꼭지점 사이를 지나는 원호를 그리면 된다. 19세기 독일의 기계공학자 프란츠 뢸로는 처음으로 정삼각형을 이용해 어디서나 폭이 같은 ‘뢸로삼각형’을 개발했다. 이처럼 폭이 일정한 도형을 ... ...
한국 과학, 아프리카에 희망을 심다
과학동아
l
200909
숲 사이로 차를 몰아 20여 분쯤 갔을까. 드디어 눈앞에 나쿠루호수가 펼쳐졌다. 호수
건너편
이 가물가물해 마치 바닷가에 서서 수평선을 바라보는 것 같았다. 희한하게도 호수 가장자리가 불그스름하다. 홍학이다! 도무지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홍학 떼가 호숫가에서 한가롭게 노닐고 있었다. 순간 돈 ... ...
길 위의 공포, 로드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2
끊어진 녹지나 생태축을 직접 연결하는 다리로 동물이 찻길을 건너지 않고도 길
건너편
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해 준다. 현재 우리나라 고속도로에 설치됐거나 설치하고 있는 생태다리는 모두 19개. 고속도로를 다닐 때 한번 찾아보자. 2 땅 밑으로 안전하게! - 수로와 파이프도로 아래에 설치돼 있던 ... ...
합성첨가물 안 쓰는 식품개발 꿈꾼다
과학동아
l
200811
감칠맛만 높여주는 MSG를 대체하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셈이다.
건너편
실험대에서는 우현화 책임연구원이 발사믹 드레싱을 만들고 있다. 물과 기름을 섞는 유화제를 쓰지 않아 발사믹 식초가 주성분인 물 층과 올리브 오일이 주성분인 기름 층이 나뉘어 있다. “드레싱을 하기 ... ...
원티드
과학동아
l
200809
이런 옥에 티는 또 있다. 킬러 한 명이 고층 빌딩에서 총격을 당하는데, 상대 킬러는 건물
건너편
에서 기관총을 쏘아대는 절체절명의 상황이다. 이때부터 갑자기 킬러의 심장이 빠르게 뛰기 시작한다. 귀에서 심장 박동 소리가 들리고 눈앞이 어질어질하며 이마에선 식은땀이 비 오듯 흐른다. 그리고 ... ...
봉도사의 벼락을 피하는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6
주문을 외우기 시작했다.“$%#!@#$$%*%”그러자우연인지, 아니면 주문 때문인지 별안간
건너편
봉우리에 번쩍 하면서 벼락이 내려치는 게 아닌가! 쏟아지는 빗속에서 두려움에 휩싸인 봉 산악회 회원들. 이 와중에 봉도사는 부적이 적힌 자신의 우비를입어야지우산을쓰면큰일을당할거라고말 하는데… ... ...
점점 커지는 구덩이는 외계인의 흔적?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3
황당할 데가! 그렇다고 이무기의 전설은 더더욱 황당한 닥터고글.“와우! 25m!”이 때
건너편
에서 다시 들려오는 왕공상 씨 목소리. 지름을 재어 보니 25m나 된단다.“이렇게 큰 구덩이가 저절로 생겨났다니 정말 미스터리하네요. 그렇지만 외계인의 흔적이라고 단정짓는 건 성급해요. 과학적으로 ... ...
여인의 초상 제8화
과학동아
l
200711
잡아두고 기다리시오.”래빗이 눈을 찡긋 해보였다.나는 기대 반 우려 반, 방을 나와서
건너편
호텔로 갔다.택시를 부른 뒤 고개를 들어 래빗이 묵고 있는 호텔 최상층을 올려다보았다. 복도는 물론 층층마다 경호 인력이 깔려 있으리라. 다시 시선을 내려 호텔 입구를 살폈다. 중절모를 깊이 눌러 쓴 ... ...
캐나다인이 미국인보다 가벼운 이유
과학동아
l
200706
뉴욕에 사는 60kg짜리 사람이 오대호 바로
건너편
의 캐나다 북서부로 이사 가면 몸무게가 2.4g 정도 줄어든다. 이 재미있는 현상의 이유가 밝혀졌다. 미국 하버드 스미스소니언센터의 마크 타미시아 박사팀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쌍둥이 관측위성 ‘그레이스’(GRACE)를 이용해 캐나다의 중력 변화를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