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손"(으)로 총 6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핵융합 장치 실현하는 맥가이버들과학동아 l199810
- 헬륨과 같은 조금 무거운 원소의 핵을 형성하는 물리현상이다. 이때 발생하는 질량 결손 때문에 엄청난 에너지가 방출돼 수소폭탄의 위력을 발휘할 수 있다. 핵융합은 바닷물에 포함돼 있는 중수소를 원료로 삼기 때문에 화석연료처럼 자원고갈이나 환경오염의 염려가 없다. 또 원자력에너지 10배 ... ...
- 보이는 빛 보이지 않는 빛과학동아 l199809
- 태양에서는 오는 빛은 2개의 수소 원자가 1개의 헬륨으로 융합되면서 생기는 질량 결손이 에너지로 방출된 것이다. 또 형광등에서 보는 빛은 원자의 각 궤도에서 전자가 전이할 때 일어나는 현상이다. 전자가 에너지가 높은 궤도에서 낮은 궤도로 이동하면 전자의 에너지 차이 만큼이 빛으로 ... ...
- ① 수명 1백억년의 거대한 핵융합로과학동아 l199807
- 1g의 수소가 헬륨 핵으로 전환될 때 0.007g의 질량결손이 생긴다는 것이다.이때 생긴 질량결손은 아인슈타인의 공식 E=mc²에 따라 에너지로 전환된다. 이러한 과정을 '수소 핵융합반응'이라고 부르는데, 태양 중심부에서는 지금 이 순간에도 매초 7억톤의 수소가 헬륨으로 변환되고 있다. 실제로 ... ...
- 포항공대 신희섭 교수, 세계 최초로 간질 유전자 발견과학동아 l199710
- 여러 세대가 지나자 PLC-베타1이 결핍된 생쥐는 극심한 발작 증상을 나타냈고, PLC-베타4가 결손된 경우 어미 젖을 빠는 일도 어려울 정도로 하반신이 마비되는 현상을 보였다. 세계 최초로 PLC 유전자가 생체 내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밝혀지는 순간이었다.신교수에 따르면, 인간의 경우 간질이나 ... ...
- 2. 특수상대성 이론의 예언과학동아 l199602
- 질량결손 에너지가 나온다. 태양과 별에서 나오는 열과 빛은 바로 핵융합에 따른 질량결손 에너지다. 그러나 핵분열과 달리 핵융합은 아주 높은 온도와 높은 압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실생활에서 응용되고 있지 못하다 ... ...
- 기계도 피로를 느낀다과학동아 l199506
- 표면 상태 및 금속구조, 사용온도, 잔류응력 등 여러 인자에 의해 영향받는다. 시험편에 결손 부위나 구멍, 불순물 등이 있으면 그 주변의 응력이 다른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응력 집중'이 일어나기 때문에 피로 한도는 대단히 낮아진다. 볼트를 조이기 위한 구멍, 용접 부위 등 접합부가 ... ...
- 에이즈를 극복하는 사람들과학동아 l199505
- 한번 확인시켜 주었다. 모든 장기생존자의 바이러스 nef 유전자가 결여돼 있었는데 이 nef 결손 HIV 바이러스를 원숭이에 주입했더니 바이러스의 복제빈도가 줄어들고 에이즈로의 이행이 이뤄지지 않았다.한편 사이비 HIV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은 HIV 생균(生菌) 백신(이런 백신은 아직 개발되지 ... ...
- 3. 꿈의 에너지 핵융합, '인공태양'까지 구상과학동아 l199503
- ${ }^{4}$He)과 같이 좀더 무거운 원소의 핵을 형성하는 물리현상을 말한다. 이 때에도 질량결손에 의해 생겨나는 에너지는 방출되는 입자들의 운동에너지로 나오게 된다. 이 핵반응 에너지를 이용한 수소폭탄 폭발의 큰 위력은 너무나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에너지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제어된 ... ...
- 우라늄·플루토늄·핵무기의 삼각관계과학동아 l199407
- 중성자 중의 일부가 옆에 있는 우라늄235를 때려 핵분열 연쇄반응을 일으킨다. 물론 질량결손분은 한번 핵분열마다 엄청난 에너지(2억4천만eV)로 분출된다.우라늄238은 핵분열반응이 일어나지 않지만 중성자 하나를 흡수해서 플루토늄239로 변한다. 그렇다면 플루토늄239란 어떤 물질인가. 이 원소도 ... ...
- 터빈없는 발전기 MHD과학동아 l199405
- 이온화된 가스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따로 만들어야 한다. 왜냐하면 원자로에서 질량결손분의 에너지는 중성자로 나타나는데, 중성자는 이온화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중성자의 에너지로부터 이온화된 가스를 얻는 시스템은 두가지 형태로 연구되고 있다.하나는 원자로에서 발생하는 열을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