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급
놀람
혼소
대경 실색
d라이브러리
"
경악
"(으)로 총 100건 검색되었습니다.
뇌가 아이스크림 덩어리 쌓이듯 진화했다고?
과학동아
l
200912
버몬트주 철도공사장에서 발파 작업을 하려다 사고를 당한 피니어스 게이지의 이야기는
경악
할 만한 사례이지만, 사람의 성격을 결정짓는 주체가 뇌, 특히 전두피질이라는 사실을 이해하기 쉽도록 한다.쇠막대가 게이지의 왼쪽 뺨으로 솟구쳐 올라 거의 수직으로 눈구멍을 꿰뚫고 왼쪽 전두피질에 ...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병원성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06
죽었다고 알려지면서 “무시무시한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나타났다”며 다들
경악
했다. 하지만 그 뒤 사망자 대다수가 허수로 밝혀지고 감염자에 비해 사망자 비율이 아주 높지는 않다는 게 알려지면서 한시름 놓는 분위기다. 물론 주춤하던 바이러스가 다시 빠른 속도로 퍼지면서 각국은 ... ...
별빛 끝에는 무엇이 있는가
과학동아
l
200906
전파신호가 삐, 삐, 삐 소리를 내며 전 세계로 퍼지자 미국을 비롯한 서방국가들은
경악
했다. 2차 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 사이의 패권다툼이 치열하던 시기에 소련의 인공위성 발사는 심각한 군사적 위협이 됐기 때문이다. 스푸트니크호를 싣고 우주로 날아갔던 로켓의 본체는 미국을 견제하기 위한 ... ...
실종 아동을 둘러싼 진한 모성애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03
집으로 데려온다. 다음날 아침 정신을 차린 크리스틴은 아이의 키가 5cm나 줄어든 사실에
경악
을 금치 못하고 뒤늦게 경찰에 항의한다. 하지만 사건수습에만 급급한 경찰은 그녀의 주장을 묵살해 버리고 만다. 심지어 경찰 편에 선 의사를 보내 스트레스를 받으면 아이의 키가 줄어들 수 있다는 ... ...
DNA검사에 숨어 있는 확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03
다음날 범인이 진술한 곳을 파자 정말 실종자들의 시체가 줄줄이 나와 사람들을
경악
시켰다.이번 사건에서 DNA가 범인을 밝히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지만 언제나 그럴까. 다음 경우를 생각해 보자. 범죄 현장에서 범인이 뱉은 것으로 보이는 침이 발견됐다. DNA 테스트를 시행한 ... ...
엑스파일 나는 믿고 싶다
과학동아
l
200810
환자의 머리를 다른 사람의 몸에 붙이는 괴상망측한 이식수술을 하고 있었다. 멀더는
경악
해 이들에게 총구를 겨누지만 그때 누군가에게 뒤통수를 맞아 의식을 잃는다.장기이식은 말 그대로 질병이나 사고로 제 기능이 다한 인체의 장기를 떼어내고 다른 사람의 장기를 떼어내 붙이는 일이다. 장기 ... ...
다윈도 깜짝 놀랄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0807
베네수엘라의 한 숲에서 마침내 발견한 것. 탐사대는 말로만 듣던 숲새의 부리를 보고
경악
했다. 그렇다면 도대체 이 녀석들은 어떻게 이런 부리모양을 하게 됐을까.콜롬비아대 게리 스틸레스 연구팀은 숲새의 부리모양은 대나무 대 속에 살고 있는 벌레를 효과적으로 잡아먹기 위한 형태라고 2007년 ... ...
여름방학과 여름휴가를 수학책과 함께
과학동아
l
200807
1993년 6월 21~23일 3회에 걸친 강의에서 페르마의 정리를 증명했음을 보여줘 수학자들을
경악
시켰다. 그 뒤 증명에서 오류가 발견돼 제자였던 리처드 테일러와 1년간 해결에 몰두, 마침내 1994년 9월 증명을 완결지었다. 도대체 수학의 무엇이 이처럼 천재들을 사로잡을까.이 밖에 추천된 책들-소수의 ... ...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06
1982년 처음 실체가 밝혀진 뒤 과학 상식을 뛰어넘는 현상들을 보이며 수많은 과학자들을
경악
시킨 단백질 ‘프리온’은 아직까지도 많은 부분이 베일에 쌓여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프리온의 실체를 들여다보자. 변형 프리온 종류 따라 CJD 증상도 달라프리온(prion)은 미국 샌프란시스코 ... ...
소설 경지에 오른 논문조작
과학동아
l
200804
교수는 이번 사건에 대해 “꿈에도 이런 일이 일어나리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며
경악
했다. 김 교수는 매니아티스 교수 실험실에 있을 때 STAT1이라는 신호전달단백질이 조절되는 메커니즘을 밝혀 1996년 ‘사이언스’에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이런 성과가 인정돼 2002년 KAIST에 부임한 김 교수는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