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이름
계몽
개화
d라이브러리
"
계명
"(으)로 총 40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이 사는 곳은 몇점?
과학동아
l
199512
서울이라고 모든 지역이 오염된 것은 아니다. 몇가지 환경지료를 이용, 도시에서 건강한 생태계를 찾아보자.서울이라는 '도시'는 대표적인 인공 생태계다. '생태계(生態界)'란 어떤 지역에서 생물이 살아가는(生) 모습(態)에 따라 어우러진 시스템을 말한다. 따라서 인공생태계는 그 안에 존재하는 ... ...
서울의 밤하늘, 경남 단성보다 7배오염
과학동아
l
199310
의견이 일치했다. 특히 작년과는 다르게 현저히 관측결과가 나빠진 대구 근교인
계명
대 성서 캠퍼스는 작년에 일어났던 화재로 가로등이 많이 증설됐으며 주변에 새로 조성된 대단위 아파트 단지를 비롯, 성서공단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관측팀이 의견을 제시했다. 분광광도계를 통한 새로운 ... ...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09
걱정이 된다고 관측일지에 적었다.대구 근교는 성서 인터체인지에서 버스로 7분 거리인
계명
대 성서캠퍼스에서 이 학교 아마추어천문회(팀장 김은주)가 관측을 시행 했다. 8월1일 관측을 하던중 미확인비행물체(UFO)로 추정되는 이상한 물체를 발견하는 신비스러운 경험을 했다고 밝히면서 이 물체의 ... ...
α(알파)파와 θ(세타)파를 만들어라
과학동아
l
199109
한국의 초능력자 김성한군5년전 경북도교위 상황실에서 도지사 교육감 대구지법원장
계명
대 총장 및 각급 기관장과 한국초능력협회장 박충서 교수(영남대)등 1백여명이 보는 가운데 한시간 동안 각종 초능력 시범을 보여줘 참석자들을 놀라게 한 학생이 있었다. 당시 중학교 3학년이었던 김성한군은 ... ...
2. PC에서 미디를 구현하려면 책상위의 작은 오케스트라
과학동아
l
199102
만들어 낼 수도 있다. 즉 원래 입력된 것을 복사하여 여러번 반복하게 한다거나 입력받은
계명
을 한 옥타브씩 낮추는 등의 조작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음원/롤랜드제품이 주류음원부분은 소리를 발생시켜주는 가장 원천적이면서 중요한 부분이다.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미디 시스템은 ... ...
마야(Maya)문명
과학동아
l
199101
등에 새겨져 전해지고 있다.마야문학의 극치마야문학의 극치로는 포폴 부(Popol Vuh,
계명
서란 뜻)를 들 수 있다. 이 책은 외부의 영향을 조금도 받지않은 순수 토착적인 내용으로 일관한다. 일부 학자들은 이 책을 라마야나(Ramayana) 일리아다(Iliada) 오디세아(Odisea)등의 고서(古書)와 버금가는 가치를 ... ...
슈퍼컴퓨터 본격가동 우주생성연구에서 영화제작까지
과학동아
l
198902
포항공과대 울산대학교 한양대학교 충남대학교 부산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계명
대학교 경북대학교 영남대학교 인하대학교 등 20여개 기관으로부터 있었다.지난 10월부터 시험가동된 슈퍼컴퓨터 이용률은 급장하고 있는 추세로 10월에는 60%정도, 11월에는 90%, 12월에는 98%의 이용률을 보여주고 있다. ... ...
희귀학과 전성시대
과학동아
l
198812
원광대 홍익대 경원대 동신공대(도시계획공학과), 서울시립대(도시계획학과), 충북대
계명
대 동아대 영남대 한양대 수원대(도시공학과) 등이다. 목원대와 부산대는 금년에 처음 신입생을 선발한다.■박용기계공학과부산수산대에 유일하게 설치돼 있으며 선박의 심장부인 박용기계장치를 담당할 ... ...
세계의 억만장자들 PART 1 얼마나 갖고 어떻게 사나?
과학동아
l
198709
될 금액을 흔쾌히 내놓았던 것이다.일본에서는 '오쿠라'의 동경경제대학 '미쓰이'의
계명
학원 '야스다'의 야스다학원 '이와사키'의 성계학원 등의 예가 있다. 미국에서도 록펠러의 시카고대학 등 부자들이 세운 대학이 많다."결국 부자들에게도 성숙기라는 것이 있지 않을까요. 주식을 상장하여 ... ...
난청분야의 세계적 권위 전성균 박사
과학동아
l
198709
저는 귀국할 때마다 대학에 부속 난청연구소를 설립토록 역설하고 있읍니다. 지난해에는
계명
대에 난청연구소가 세워져 보람을 느꼈읍니다. 결국 우리나라에도 '국립의학연구소'와 같은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 기초의학연구가 활발해져야만 선진국을 따라잡을 수 있고 또 해외의 두뇌도 유치할 수 ... ...
이전
1
2
3
4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