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념관
기념물
묘비
비석
d라이브러리
"
기념비
"(으)로 총 8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도 과학의 오랜 친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1
지금 모스크바 외곽‘스타시티’에 러시아의 우주 개발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기념비
에 가면 볼 수 있어.북극점과 남극점을 처음 정복한 것도 개!1909년 4월 6일. 133마리의 우리 조상들이 끌었던 썰매를 타고 미국인 피어리를 비롯한 24명의 대원들이 북극점을 처음 밟았지. 그로부터 2년후인 1911년 ... ...
1905년 11월 1일 날씨맑음
과학동아
l
200512
정한 것은 성급한 측면이 많다. 정부는 목포에 근대 기상관측의 시작지임을 알리는
기념비
까지 세웠다. 여러 다른 의견이 있었음에도 일본기상학회의 주장만을 따른 결과다. 물론 보는 각도에 따라 일본의 주장이 옳다 할 수도 있겠으나, 침략의 역사를 잔치까지 열어가며 기념한 것은 아무래도 ... ...
56년의 난제 다시 미궁에 빠지나?
과학동아
l
200510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ETRI 홍보 관계자 역시 “몇가지 오해에서 불거진 문제일 뿐
기념비
적인 연구임은 분명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연구결과도 불연속 ‘점프’그렇다면 이번 논란의 중심이 된 ETRI의 금속절연체전이(MIT, Metal Insulator Transition) 연구는 어떤 것일까.연구원이 뿌린 ... ...
생명의 기원은 스스로 복제하는 RNA
과학동아
l
200510
큰 손실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독일 루르대의 거터 키에드로스키 교수는 “이것은
기념비
적인 논문”이라며 “생물학의 빅뱅은 스스로를 복제하는 리보자임이 처음 어떻게 생겼는지 밝히는 것”이라고 말했다 ... ...
발생의 마법사, 신경제세포
과학동아
l
200508
많은 발생학자들이 신경제세포의 이동경로와 분화과정에 대해 연구해왔다. 이 중 가장
기념비
적인 것은 니콜 르 다우린 박사가 실험한 메추라기와 닭의 이종이식.르 다우린 박사는 발생 중 신경관 일부를 제거한 닭의 배아에 메추라기의 신경관 일부를 이식했다. 많은 경우 닭은 무사히 성체로 ... ...
의자로 본 디자인 변천사
과학동아
l
200503
보고 강철 파이프를 구부려 만든 의자를 착안했다. 현존하는 수많은 의자들의 원형이 된
기념비
적인 작품이다. 파이미오1930~1931년, 자작나무쿠션없이 딱딱한 의자가 오히려 편안하다는 컨셉으로 핀란드의 건축학자이자 가구 디자이너인 알바 알토가 디자인했다. 유연하고 저렴한 합판을 사용했다 ... ...
민간 유인로켓, 고도 64km 비행성공
과학동아
l
200406
컴포지츠사는 “이번 비행은 민간 유인우주비행을 실현시키려는 노력에 또 하나의
기념비
적 사건이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스페이스쉽원은 별도 추진로켓으로 단독비행을 성공적으로 마친 뒤 지상으로 복귀할 때는 공중에서 맴을 돌며 모하비공항 활주로에 착륙했다 ... ...
과학으로 승부한다 - '무어의 법칙' 을 추월한 괴력의 삼성전자
과학동아
l
200406
개발한 2기가, 4기가비트 플래시 메모리는 역사상 처음으로 nm급 선폭 기술을 사용해 만든
기념비
적인 반도체다. 4기가 플래시 메모리는 머리카락 1천4백분의 1 굵기인 70nm(nm=10억분의 1m) 선폭기술로 제조됐다. 마이크론 등 대부분의 반도체 회사는 아직도 ‘마의 장벽’인 0.1μm를 돌파하지 못하고 ... ...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02
해밀턴 박사님이 대학원 시절을 이곳 런던정경대학에서 보내면서 현대 진화생물학의
기념비
적인 논문인 ‘사회적 행동의 유전적 진화’(1964년)를 집필했다는 사실을 아시는 분은 그리 많지 않을 겁니다. 사실 더 큰 규모의 강당도 있었지만 굳이 이곳을 다윈의 식탁 마지막 장소로 선택한 것은 바로 ... ...
비행기 1백년의 파노라마
과학동아
l
200312
역사적 순간이었다.올해 12월은 라이트 형제의 첫 비행이 성공한지 정확히 1백년이 된다.
기념비
적인 해를 맞이해 지난 1백년 간 숨가쁘게 진행된 인류 비행의 역사를 되돌아본다.세계대전 거치면서 스타로 부상1백년 전 라이트 형제의 비행은 비행기라는 존재를 세상에 처음 선보였다. 이후 많은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