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증"(으)로 총 196건 검색되었습니다.
- 명예기자와 기자단이 만나 제주에서 우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411
- 지난 4월에 문을 연 아시아 최대 규모의 항공우주박물관이에요. 공군이 기증한 실물 항공기와 항공·우주를 아우르는 알찬 과학 콘텐츠, 360도 화면에서 입체영상이 튀어 나오는 5D부터 돔까지 다양한 상영관이 자랑거리랍니다.제주항공우주박물관에는 36대의 공군기가 전시돼 있어요. 우리나라 ... ...
- “친부모가 3명이라고?” 영국, 세 부모 체외수정법 도입 추진과학동아 l201407
- 않으면서, 핵의 유전 정보는 안전하게 전달될 수 있다. 또는 아예 수정하기 전에, 기증 받은 난자에서 핵을 제거한 뒤 그 안에 실제 어머니의 난자 핵을 넣은 다음 그 난자를 아버지의 정자와 체외수정시킬 수도 있다.관리국은 이 기술이 “충분히 안전하다”며, “2년 안에 임상 시험에 성공할 수 ... ...
- 게임으로 알아보는 컴퓨터의 역사! 넥슨컴퓨터박물관수학동아 l201407
- 800여 점은 기증품이에요. 여러분도 집에 잠자고 있는 컴퓨터나 디지털 자료가 있다면 기증해 주세요. 가치가 있는 물건이라면 넥슨컴퓨터박물관에 전시될 수 있어요.가장 수집하기 어려운 것은 80~90년대 출시된 국산 컴퓨터예요. 당시 버리는 컴퓨터를 각 대리점에서 무료로 수거하고 그 자재를 ... ...
- 개와 고양이가 자외선을 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06
- 생물학과의 론 더글라스 교수 연구팀은 동물원에서 이미 죽은 여러 종류의 동물들을 기증받았어요. 그리고 동물의 눈에 자외선을 쏘아 수정체를 통과해 망막까지 도달하는지 측정하는 실험을 했지요. 그 결과 개와 고양이, 흰담비, 고슴도치 같은 동물은 자외선이 수정체를 지나 망막에 도달하는 ... ...
- “학생들에게 검색 대신 사색을 선물하세요”과학동아 l201403
- 분교, 지역아동센터, 공부방, 과학/수학 동아리, 독서 동아리에 작은 도서관을 선물합니다. 기증을 받으시려면 단체 소개와 함께 받고 싶은 이유를 간단히 적어서 slibrary@outlook.com으로 보내 주시거나, 홈페이지(event.dongascience.com/library)에서 신청해 주세요. 60곳을 선정해 작은 도서관을 보내드립니다 ...
- 빛으로 부활한 마크 로스코과학동아 l201403
- 같은 금과 강렬한 색은 그의 트레이드 마크다.그의 작품 중 1962년에 그려 하버드대에 기증한 5점의 연작 ‘하버드 벽화’ 시리즈는 창 밖에서 들어오는 햇빛 때문에 심하게 변색됐다. 1979년에 보호를 위해 창고로 옮겨지고, 1988년에는 ‘뉴욕타임스’가 복구가 불가능하다고 보도했을 정도다. 그런데 ... ...
- 상속자들 공평한 분배법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02
- 되었습니다.교환이식 프로그램이 잘 이뤄지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뭔가요?기증자와 수여자 데이터를 많이 구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신장 이식이 이뤄지기까지 제한 조건이 많기 때문이지요.실제로 교환이식 프로그램이 이뤄지고 있는 병원이 있나요?미국 텍사스에 있는 한 병원에서 ... ...
- 지사탐 대장님이 상 받으셨대요~!어린이과학동아 l201317
- 생태학자를 표창하기 위한 상이에요. 2005년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인 여천 김준호 박사가 기증한 기금을 바탕으로 여천생태연구회에서 만들었지요. 장 교수님은 여섯 번째 수상자랍니다.장 교수님은 2012년부터 어과동 독자와 함께 수원청개구리를 비롯한 여러 생물의 생태를 연구했어요. 특히 ... ...
- 사람의 복제 배아줄기세포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1311
- 박사가 성공했다고 발표했지만, 논문을 조작해 만든 ‘가짜 성공’이었답니다.연구팀은 기증받은 난자에서 핵을 제거하고 여기에 태아의 피부 세포핵을 넣어 배아줄기세포를 만든 뒤 심장 세포로 무사히 키워냈어요. 전문가들은 연구팀의 결과가 확실하다면, 수년 안에 복제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 ...
- Part 1. 출항 : 우주보다 복잡한 지도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09
- 것이다.다만 인간의 뇌는 다른 동물보다 워낙 커서 지도화 작업이 오랜 걸린다. 뇌 기증자가 매우 적고, 다른 장기보다 사후에 유독 더 변형되기 쉬운 점도 뇌지도 제작이 어려운 이유다.데이터 처리 능력도 문제다. 1μm 길이를 구분할 수 있는 쥐의 뇌 입체영상은 자료 크기가 빅브레인의 8배인 8TB다.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