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암나사
넛트
nut
조리개
견과
열매
로크너트
d라이브러리
"
너트
"(으)로 총 43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구 1년만에 발견, 그리고 1년 후에 노벨상
과학동아
l
199603
1922년 3월에 발표됐다.1922년 2월 임상실험을 위한 대량의 인슐린 제조가 토론토대학 코
너트
연구소에서 시작됐다. 콜립은 생산책임자가 됐고 밴팅과 베스트는 1차 추출액을 만들어 콜립에게 제공했다. 그러나 이상하게도 점차 생산율은 저하됐고 콜립은 더 이상 제조를 할 수 없다고 실패를 선언했다. ... ...
달착륙 4반세기 새로운 도전 NASA 우주센터를 가다
과학동아
l
199409
훈련을 받을 때 (물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지만 우주유영장치를 조종하면서 볼트와
너트
를 조립하는 훈련) 이 말을 조금이나마 실감할 수 있었다. 도전의 상징, 우주선착장디즈니월드로 세계의 어린이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는 플로리다반도 올랜도에서 자동차를 타고 동쪽으로 30분 정도 ... ...
허블망원경 수리 성공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401
다루던 중이었다. 사고 발생 후 이러한 계획은 수정되었다.그 후 무스그레이브는 볼트와
너트
에 심취하기 시작했다. 특히 그의 신경은 온통 특정한 나사에 대해 쏠려 있다. 'A래치'라고 불리는 이 나사는 결코 보통 나사는 아니다. 이것은 2백10㎝ 길이의 막대 모양이다. 이것은 그랜드 피아노 ... ...
망원경 조립·조정 요령
과학동아
l
199303
오도록 파인더를 움직여 조금씩 조정한다. 정확한 위치에 왔으면 조절나사를 고정
너트
로 굳게 잠궈 고정한다. 물론 지상물체를 통해 조정을 한 후에도, 본격적인 관측을 위해서는 천체를 대상으로 다시 주망원경과 파인더를 번갈아 가며 확인해 양쪽이 일치하도록 완벽히 조정해야한다. 극축 ... ...
곤충서 힌트 얻은 여섯발 로봇
과학동아
l
199204
개발 되었다. 스탠퍼드/JPL로 명명된 이 세 손가락의 요괴인간은 손 안에서 볼트와
너트
를 꿰마출 수도 있었다. 이보다 더 발달된 유타/MIT의 로봇손은 사람보다 3배나 센 악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민감도는 사람과 유사할 정도로 정밀했다. 한 동작시범에서 그 로봇은 달걀을 깨서 그 내용물을 꺼내 ... ...
1 에스컬레이터도 일종의 도르래
과학동아
l
199202
그러나 나사의 발명은 그보다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사 프레스는 볼트와
너트
를 응용한 압축기계로 알렉산드리아의 헤론이 이에 대한 기록을 남겨놓고 있다.1556년에 독일의 광산 기술자 아그리코라가 남긴 기록에는 나무에 가죽을 나사로 고정시켜 내구력 있는 풀무를 만드는 방법이 ... ...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집합
과학동아
l
199112
감싸 뿌리가 심지를 뚫고 급수통으로 나가는 것을 막았으며 스테인리스파이프와
너트
(nut)를 이용, 심지 연결부분에서는 물 한방울 새 나오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시켰다. 여기에 급수통 속의 수량을 알려주는 계수기와 화분을 자유롭게 옮길 수 있는 바퀴도 달았다. 그가 이 발명으로 얻은 권리는 ... ...
컴퓨터에 상식을 가르친다
과학동아
l
199010
더그 레
너트
는 컴퓨터에 1억개 이상의 일상적인 정보를 입력시켜 '상식을 가진 컴퓨터'를 만드는데 열중하고 있다.컴퓨터 학자인 더그 레
너트
(Doug Lenat)는 컴퓨터에게 일상적인 모 ... 일이다. 우리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그렇게 이해하기 힘든 존재는 아니다"라고 레
너트
는 믿고 있다 ... ...
로봇의 눈 컴퓨터비전의 가능성
과학동아
l
198907
자동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분야이다.이용가능한 예를 들어보면, 볼트나
너트
와 같은 제품의 직경을 측정하여 합격 불합격을 판별해내거나, 천이나 옷감에 구멍이 뚫여있는가 또는 음료수의 용량이 적합한가를 판별하는등 매우 다양한 응용분야에 쓰여질 수 있다.여기에서는 프랑스 ... ...
과학에세이 인공지능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198904
우리가 가지고 있는 오래된 고정관념 때문인지도 모른다.우리는 기계라는 것을 볼트와
너트
그리고 기어와 피스톤과 크랭크 같은 것으로 이루어진 우악스런 구조물로서 먼저 떠올리거나, 한치의 오차도 없고 융통성도 없는 인정사정 모르는 차가운 어떤 것으로 생각해온 것이 보통이었다. 이곳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