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개
d라이브러리
"
농무
"(으)로 총 49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보다 맛있고 영양가 높게
과학동아
l
199909
이 기술을‘전핵(前核) 주입법’이라고 부른다. 1980년대 초 쥐에서 시도된 후 1985년 미국
농무
부가 최초로 양과 돼지에서 성공을 거둔 기술이다.하지만 전핵 주입법은 커다란 한계를 지니고 있다. 성공률이 3-5%로 너무 낮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1백개의 돼지 수정란에 산양유전자를 넣는다면 겨우 3- ... ...
식물 고통 덜어주는 아스피린
과학동아
l
199809
팬과 랄프 백하우스, 프랑스에 위치한 식물 분자생물학 연구소의 빌라르 카마라, 미국
농무
부의 헤롤드 가드너 등이 참여했다.아스피린은 동물의 세포조직이 손상됐을 때 방출되는 화합물인 프로스타글라딘의 생성을 억제한다. 프로스타글라딘은 물리적 손상을 입었을 때 상처를 붓게 하고 고통을 ... ...
4. 바퀴벌레의 지혜터득한 로보로치
과학동아
l
199708
곤충에 의해 이루어지는 수분(受粉)작용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을 찾던 일본
농무
성이 5백만 달러를 지원했다. 로봇 곤충이 어느날 한떼의 곤충을 몰고와 가루받이를 하거나, 해충들을 꾀어내 동반자살할 수 있게 해달라고 주문한 것이다. 페로몬 응용으로 얻는 이득곤충로봇을 구현하고자 ... ...
미국 정부 '식품중독과의 전쟁'선포
과학동아
l
199706
과일주스를 마신 후 대장균에 감염된 49명의 식중독 환자가 발생하자 클린턴 대통령은
농무
부와 환경청 등에 구체적인 대책안을 마련할 것을 지시했다. 이번에 백악관에서 발표한 계획안이 그 결과물인데,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첫째 소비자에게 적절한 식품처리방법을 알리는 공공교육 ... ...
음악듣고 자라는 식물들
과학동아
l
199701
한 그루당 3마리밖에 안됐는데, 음악이 없었던 곳에서는 무려 1백10마리나 됐다. 캐나다
농무
부 연구원 피터 벨튼은 옥수수 밭에 박쥐가 내는 5만Hz의 초음파를 매일 들려주었더니 옥수수 조명나방으로 인한 피해가 5%인데 비해 안 들려 준 곳은 50%나 됐다고 했다.배추에 복숭아 혹진딧물을 30마리씩 ... ...
식물, 밤 낮 구분하는 눈 있다
과학동아
l
199408
눈이 있을까?상추 종자 발아 실험에서 '적생광·근적외선 가역반응'을 발견한 미국
농무
부 농학연구소 사람들은 곧이어 이 반응에 관여하는 빛수용체 색소 물질을 찾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1959년 여름 버틀러(W.L. Butler) 등은 특별한 색소-단백질 복합체인 피토크롬을 식물조직에서 추출, 발견했다. ... ...
43만 가구 일시에 정전시킨 '섬락현상'
과학동아
l
199403
짙은 안개(濃霧) 때문에 일어난 '염해사고'(鹽害事故)라고 밝혔다. 즉 염분을 많이 포함한
농무
가 때마침 내린 눈에 섞여 진눈개비로 변해 송전탑의 애자(碍子)등 송전설비에 얼어 붙으면서 섬락현상(閃絡現狀)이 발생, 전주나 변전소의 자동차단장치가 송전을 차단해 일어났다는 것.섬락현상이란 ... ...
생장호르몬 지베렐린 투여로 해충 쫓는다
과학동아
l
199310
껍질이 두껍고도 잘 익은, 밝은 색의 목표물을 찾아 알을 낳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미국
농무
부에 근무하는 패트릭 그리니는 최근파리를 내쫓고 자몽이 파리의 습격을 피하는 방법을 고안해냈다. 이 방법이란 상록 감귤류에 고등식물의 생장호르몬인 지베렐린을 투여하는 것이다.한 그루의 나무당 1 ... ...
유럽에 「바이오디젤자동차」 등장
과학동아
l
199212
오스트리아의 업자들은 디젤과 같은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영국
농무
부는 RME가 디젤을 대체할 것이라는 데 다소 회의적인 입장이다. RME라는 '바이오디젤'(biodiesel)은 결국 동등한 조건에서 디젤과 경쟁해야 하는데 경제성면에서 따라잡기가 어려울 것이라는 얘기다.물론 이에 대한 ... ...
맥주에 취한 쥐가 오래 산다
과학동아
l
199010
나왔다. 어쩌면 맥주의 소비량을 폭발적으로 늘려 놓을지도 모르는 이 실험은 미국
농무
부의 영양학자 레슬리 클레베이에 의해 이루어졌다.이 실험의 원래 목적은 구리의 결핍이 혈액내 콜레스테롤을 축적시켜 심장병을 유발한다는 종래의 학설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실제 클레베이는 쥐에게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